"빈대 잡으려다 꿀벌 잡을라"...살충제 허가에 양봉농가들 '한숨'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3-11-15 09:34:02
  • -
  • +
  • 인쇄
美 캘리포니아주서 금지한 DTN 살충제 도입
독성보다 잔류 위험성 문제...사람에게도 위험
▲인천공항철도 용유차량기지 직통열차에서 빈대 예방을 위해 살균작업을 하는 모습 (사진=연합뉴스)


빈대가 발견됐다는 신고가 늘어나자, 보건당국이 빈대 박멸을 위해 그동안 사용을 제한했던 살충제를 긴급허가하면서 양봉농가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가뜩이나 기후변화 등으로 해마다 꿀벌 집단폐사 피해를 당하고 있는 지경인데 꿀벌에게 치명적인 살충제까지 허가됐기 때문이다.

최근 '빈대믹'이라는 신조어가 등장할 정도로 전국 곳곳에서 빈대가 출몰했다는 뉴스가 연일 이어지고 있다. 이에 질병관리청은 국립환경과학원에 빈대 방제용으로 네오니코티노이드 계열의 '디노테퓨란'(DTN) 살충제 8개 제품의 긴급사용 승인을 요청해 지난 10일 사용을 허가받았다. 

이 살충제들은 현재 미국 일부지역과 유럽에서 시판되고 있고, 비교적 인체와 생태 독성이 낮다는 게 질병관리청의 설명이다. 그러나 네오니코티노이드 계열 살충제는 니코틴을 화학적으로 합성해 곤충의 신경계를 교란하는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빈대 뿐 아니라 꿀벌에게도 치명적이다. 전세계적으로 꿀벌 집단폐사의 원인으로 지목되기도 했다. 그래서 미국 캘리포니아주를 비롯한 일부 주에서는 꿀벌을 보호하기 위해 DTN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 

니코틴 합성 살충제가 꿀벌에게 얼마나 치명적인 것인지를 연구한 자료도 있다. 일본 가나자와대학교 연구결과에 따르면 DTN 살충제를 10배 희석시켜 먹이와 섞어서 벌통에 공급했을 때 꿀벌들은 급성 독성으로 집단폐사했다. 또 100배로 희석시킨 살충제를 먹이에 섞어서 공급했을 때도 만성 독성으로 이어져 결국 군집 붕괴를 초래했다.

보건당국이 긴급사용 허가한 DTN 살충제를 100배 희석하더라도 꿀벌들은 종국에 집단폐사로 이어질 수 있다. 이에 양봉농가에서는 "빈대 잡으려다 초가삼간 다 태우는 격"이라고 비판했다. 남양주시의 한 양봉업자는 "다른 나라에서 시판한다고 해서 무작정 받아들이고, 빈대를 잡는다고 익충인 꿀벌을 죽이는 약을 쓰는 건 너무 성급하고 한쪽만 보는 탁상행정"이라고 꼬집었다.

질병관리청은 DTN 살충제를 빈대 방제용으로만 사용하겠다는 방침이지만, 빈대가 특정지역에서만 출몰하는 벌레가 아니므로 DTN을 살포하다보면 생태계 누출은 피할 수 없다는 지적이다. 빈대는 질병을 옮기는 매개체가 아니어서 감염병으로 관리되지 않으므로, 출몰 신고가 들어오면 그때마다 방제를 진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꿀벌 영양제품 제조업체 한 관계자는 "DTN 살충제가 누출되면 당장의 독성보다 생태계에 잔류하기 때문에 더 위험한 것"이라며 "네오니코티노이드 계열 살충제 남용으로 2006년부터 수십년째 군집 붕괴 현상이 계속되는 미국을 그대로 답습하는 꼴"이라며 정부의 졸속행정을 비판했다.

게다가 질병관리청은 가정용 DTN 살충제도 허가를 검토중이다. 이에 한 시민은 "집안에 살충제를 뿌리게 되면 빈대보다 사람이 살충제를 더 많이 흡입하게 될 것"이라며 "살충제 내성이 생긴 빈대가 나타나면 또 더 강한 살충제를 써야 하는 건가"라며 우려했다.

서울환경연합 최영 생태도시팀장은 "야외에서 사용하던 살충제를 인체 피부와 직접 접촉하는 침대와 소파 그리고 방안 구석구석을 뿌리게 되면 사람에게 해가 없을까"라며 "정부는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 증기나 고온처리·진공청소기 흡입 등 우선 물리적 방제를 통해 해결하는데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현대차, 올해 청년 7200명 신규 채용...내년엔 1만명 확대 검토

현대자동차그룹이 올해 총 7200명을 신규 채용한다고 18일 밝혔다. 내년에는 청년 채용 규모를 1만명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한다.현대차그룹의 청년

롯데카드, 해킹으로 297만명 정보 털렸다...카드번호, CVC까지 유출

롯데카드 해킹 사고 피해규모가 당초 예상했던 것보다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롯데카드는 피해 고객 전원에게 전액 보상을 하겠다는 방침이

삼성전자, 5년간 6만명 신규채용...'반도체·바이오·AI' 중심

삼성전자가 성장사업 육성과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해 앞으로 5년간 6만명을 신규 채용하겠다고 18일 밝혔다. 매년 1만2000명씩 채용하겠다는 계획이다.

"상장기업 보고, 6개월로 바꾸자"...트럼프 주장에 美 또 '술렁'

미국 상장기업의 보고서가 분기에서 반기로 변경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17일(현지시간) AP통신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장기업의

카카오, 지역 AI생태계 조성 위해 5년간 '500억원' 푼다

카카오그룹이 앞으로 5년간 500억원의 기금을 조성해 지역 인공지능(AI) 생태계 육성에 투자한다고 18일 밝혔다. 카카오그룹은 지역 AI 육성을 위한 거점

[ESG;NOW] 올해 RE100 100% 목표 LG엔솔 '절반의 성공'

국내 많은 기업들이 지속가능한 경영을 내세우면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보고서 혹은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를 주기적으로 발간하고 있

기후/환경

+

가뭄이거나 폭우거나...온난화로 지구기후 갈수록 '극과극'

전 지구적으로 기후 불균형이 심각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18일(현지시간) 세계기상기구(WMO)는 '글로벌 수자원 현황 2024' 보고서를 통해 수개월째 비가

"재생에너지 188조 필요한데…정책금융 투자액은 여전히 안갯속"

2030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를 달성하려면 재생에너지 설비에 188조원을 투자해야 하지만 마중물 역할을 하는 정책금융 대부분은 재생에너지보다 화

지역 1인당 교통 배출량, 서울의 2배…"무상버스가 대안"

비수도권 교통 배출량이 서울의 2배에 달하면서 '무상버스'가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녹색전환연구소가 18일 발표한 보고서 '작은 도시의 교통 혁명,

'2035 NDC' 60% 넘어설까...환경부, 7차례 토론회 연다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2035 NDC)를 설정하기 위한 대국민 논의가 시작된다.환경부는 오는 19일부터 내달 14일까지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뜨거워지는 한반도...2100년 폭염일수 9배 늘어난다

한반도 기온이 매년 상승하고 있어 2100년에 이르면 여름철 극한강우 영향지역이 37%로 확대되고 강수량도 12.6% 증가한다는 전망이다. 또 폭염일수도 지

국민 61.7% "2035년 온실가스 감축목표 60% 넘어야"

우리나라 국민의 61.7%는 2035년까지 온실가스를 60% 이상 감축해야 한다는데 동의하는 것으로 나왔다.기후솔루션이 지난달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성인 200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