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릉도 해역 열대어 10배 증가...뜨거워지는 바다탓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3-11-21 13:40:34
  • -
  • +
  • 인쇄
제주 서식하는 '파랑돔', '다금바리' 북상
관찰된 어종 중 열대·아열대어 '절반이상'
▲울릉도 주변 해역에서 관찰된 열대어 파랑돔 무리 (사진=국립생물자원관)

기후변화로 수온이 상승하면서 울릉도 연안에까지 열대어가 출몰하고 있다.

21일 국립생물자원관은 2021년부터 최근까지 울릉도 연안어류 종 다양성을 조사한 결과 131종이 관찰됐다고 밝혔다. 문헌이나 기록이 있는 종을 합치면 울릉도 연안어류는 올 10월 기준 총 174종으로 지난해보다 20종 늘었다.

직접 관찰된 131종 가운데 열대성 어류와 아열대성 어류가 각각 49종과 27종으로 전체 58.5%를 차지했다. 열대·아열대성 어류는 온대성 어류(48종·36.9%)의 1.5배에 달했다.

생물자원관은 몇몇 조사 지점에서 열대어인 파랑돔이 100마리 이상 관찰돼 기존보다 10배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자원관 관계자는 "재작년과 작년엔 파랑돔 무리 규모가 50마리 남짓이었는데 올해는 최대 500마리 무리가 관찰되기도 했다"고 했다.

파랑돔은 다 자라도 10㎝ 정도에 불과한 작은 물고기로 수심 20m 내외 바위가 많은 곳에서 무리지어 산다. 서식 수온은 16∼31℃이다. 원래는 수온이 따뜻하게 유지되는 제주 해역에 주로 서식했으나, 현재는 울릉도와 독도 해역까지 서식지가 넓어졌다.

파랑돔은 올해 4월 '기후변화 지표종'으로 선정됐다.

이번 자원관 조사에서는 제주에서 '다금바리'로 불리는 자바리와 연무자리돔, 흰꼬리노랑자리돔, 검은줄꼬리돔, 검은줄촉수, 큰점촉수 등 아열대성 어류가 대거 새로 발견되기도 했다. 이밖의 열대·아열대성 어류는 용치놀래기와 놀래기 등이 많이 관찰됐다.

울릉도 해양생태계 변화 주원인은 해수 온도 상승이다. 국립수산과학원에 따르면 올해 8월 하순부터 9월 초순까지 한반도 주변 해역 표층 수온은 26℃로, 위성을 이용한 표층수온 관측을 시작한 1990년 이래 가장 높았다. 이 기간 동해 표층 수온은 25.8℃로, 평년 치보다 2℃ 이상 높았다.

올여름만 유독 바다가 뜨거워진 것은 아니다. 한반도 주변 해역 해수면 온도 변화를 보면 2001~2010년 평균은 15.9℃, 2011~2020년 평균은 16.7℃로 20년 사이 뚜렷한 상승세를 보였다.

미래 전망도 어둡다. 성장만을 중시해 화석연료를 계속 사용하는 '고탄소 시나리오'(SSP5-8.5)를 적용하면 동해와 남해 해수면 온도는 2041~2060년에 현재(14℃)보다 2.4℃, 2081~2100년에는 4.9℃ 높아질 전망이다.

다만 지속가능한 사회를 만드는 데 성공하는 '저탄소 시나리오'를 적용하면 동해와 남해 해수면 온도는 2014~2060년과 2081~2100년에 각각 현재보다 1.8℃와 1.6℃ 높은 데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하나금융, 사회혁신기업 지원한다...'ESG 더블임팩트 매칭펀드' 데모데이

하나금융그룹이 사회혁신기업 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하나 ESG 더블임팩트 매칭펀드' 데모데이를 지난 30일 오후 서울 마포구 프론트원에서 개최했다고

우리은행, 기후취약계층에 한파대응 물품과 김장김치 전달

우리은행이 기후변화 취약계층의 겨울나기를 돕는 데 나섰다.우리은행은 홀몸어르신, 쪽방촌 저소득주민, 장애인 가구 등 기후변화 취약계층이 따뜻

쉐코 해상방제로봇 'CES 2024' 2개부문 혁신상 수상

SK이노베이션이 육성하는 환경소셜벤처 쉐코가 내년 1월 초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가전∙IT 박람회 'CES 2024'를 앞두고 발표된 'CES 혁

토요타·폭스바겐·현대기아...SUV 판매증가로 탄소저감 노력 '물거품'

연비가 낮은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판매비중이 늘면서 발생한 탄소배출량이 전기차 판매로 저감된 탄소배출량을 압도하고 있어 자동차 제조기업들

KT, ESG 벤처지원 프로그램 '따뜻한기술더하기' 성과공유회 개최

KT가 '따뜻한기술더하기' 챌린지의 6개월간 일정을 마치고 참여한 기업의 결과물을 공유하는 '최종 성과 공유회'를 진행했다고 29일 밝혔다.따뜻한기술

제주도, 쓰레기로 12억원 벌었다

제주도가 올해 쓰레기를 수거해 12억원 이상 벌었다.28일 제주도는 올해 10월말까지 제주광역생활자원회수센터로 반입된 재활용품 5687톤 가운데 4944톤

TECH

+

LIFE

+

순환경제

+

Start-u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