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석연료업계 청정에너지 투자 '쥐꼬리'..."7년내 50%까지 늘려야"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3-11-24 11:56:18
  • -
  • +
  • 인쇄
올해 글로벌 청정에너지 투자액 1.8조달러
화석연료 수익성 하락돼 좌초자산 위험성


국제에너지기구(IEA)가 화석연료 산업이 탄소포집에 대한 환상을 버리고 청정에너지 투자를 대폭 늘려야 한다고 촉구했다.

23일(현지시간) 파티 비롤 IEA 사무총장은 오는 30일 제28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8)를 앞두고 성명을 통해 "화석연료 업계가 현실을 마주할 순간이 왔다"며 "기후위기 심화에 기여할 것인지, 청정에너지 전환을 수용해 해결책의 일부가 될 것인지 선택해야만 한다"고 강조했다.

비롤 사무총장에 따르면 화석연료 업계는 2018년부터 연평균 3조5000억달러(약 4546조원)의 수익을 거두고 있지만, 지난 2022년 기준 업계 전체 자본지출의 2.5%만 청정에너지에 투입했다. 이는 글로벌 청정에너지 투자의 1% 수준이다. 지구 평균기온 상승폭을 1.5℃ 이내로 억제하려면 7년 내 자본지출을 50%까지 끌어올려야 한다는 게 IEA의 진단이다.

올해말까지 글로벌 에너지부문 투자액은 2020년보다 40% 늘어난 2조8000억달러(약 3639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이 가운데 청정에너지 투자액은 1조8000억달러(약 2340조원), 석유와 가스 등 화석연료 투자액은 1조달러(약 1300조원) 수준이다. IEA의 넷제로 시나리오에 따르면 2030년까지 화석연료 투자는 5000억달러로 감소하고 청정에너지 투자는 2조달러를 넘어설 전망이다.

결국 에너지전환 속도가 빠를수록 화석연료 업계의 좌초자산과 가격변동성 위험이 오르면서 대규모 상각이 발생하고, 수익률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 비롤 사무총장은 "결론은 석유 및 가스가 수익성이 낮고 위험한 사업이 된다는 것"이라며 "청정에너지 전환은 석유 및 가스 생산업체들이 함께하든 함께하지 않든 진행되는 것이지만, 이들의 참여가 없으면 비용만 늘어나고 난항을 겪을 것"이라며 업계의 결단을 촉구했다.

IEA는 화석연료 업계가 석유추출, 정제, 이송 등의 기술을 살려 수소, 액체 바이오연료, 바이오메탄, 지열발전 등에서 강점을 발휘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또 화석연료의 추출, 이송, 정제 과정에서만 글로벌 에너지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의 15%가 발생하는데, 메탄 누출만 막아도 이를 절반으로 줄일 수 있다는 분석이다.

다만 IEA는 이산화탄소 포집·활용·저장기술(CCUS)에 대해서는 경계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CCUS는 몇몇 부문에서는 넷제로 달성을 위해 필요한 기술이지만, 화석연료 산업의 현상유지를 위해 쓰여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IEA 추산으로는 현재 화석연료 산업의 탄소배출량을 그대로 유지한 채 '1.5℃ 목표'를 지키려면 2050년까지 320억톤의 탄소를 포집해야 한다.

탄소포집 설비를 돌리는 데 필요한 전력은 2050년 2만6000테라와트시(TWh)로, 2022년 전세계 전력수요와 맞먹는 수준이다. 또 2050년까지 최근 화석연료 업계 전체의 연간수익인 3조5000억달러를 매년 투입해야 한다는 전망이다.

비롤 사무총장은 "통상업무(BAU) 수준을 유지하는 것은 사회적으로나 환경적으로나 책임있는 자세가 아니다"며 "전세계 석유·가스 생산업체들은 글로벌 에너지 분야에서 자신들의 미래 위상에 대해 중대한 결단을 내릴 때가 됐다"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하나금융, 장애인 거주시설 개보수·친환경 차량 지원

하나금융그룹이 장애인의 건강한 일상과 이동권 보장을 위해 노후화된 장애인 거주시설 개보수 및 친환경 차량 지원사업을 실시한다고 24일 밝혔다.이

자동차부품산업 'ESG·탄소중립 박람회' 25일까지 개최

자동차 부품산업의 지속가능 경영을 위한 청사진을 제시하는 '2025 자동차부품산업 ESG·탄소중립 박람회'가 서울 서초동 aT센터에서 23일부터 25일까

KB국민은행, 서울숲에서 어린이 꿀벌 체험 프로그램 진행

KB국민은행은 생태계 다양성 보전에 앞장서고자 서울숲 꿀벌정원에서 어린이 꿀벌체험 '안녕, 꿀벌' 프로그램을 진행한다고 22일 밝혔다.이번 프로그램

22일 지구의 날...뷰티·식품업계 '기후감수성' 살리는 캠페인 전개

뷰티·식품 등 유통업계가 4월 22일 지구의 날을 맞아 '기후감수성' 소비 트렌드를 반영한 다양한 친환경 캠페인을 전개한다.동원F&B는 제주 해안

'친환경 소비촉진'...현대이지웰, 국내 첫 '온라인 그린카드' 도입

현대이지웰이 국내 최초로 '온라인 그린카드'를 도입해 친환경 소비촉진에 나선다. 현대백화점그룹 계열 토탈 복지솔루션기업 현대이지웰은 21일 한국

경기도, 사회적경제조직·사회복지기관에 'ESG경영' 지원한다

경기도가 오는 5월 16일까지 'ESG 경영지원 사업'에 참여할 도내 사회적경제조직 및 사회복지기관을 모집한다고 21일 밝혔다.사회적경제조직과 사회복지

기후/환경

+

습지 미생물 메탄배출량 대폭 증가...원인은 기온상승

기온이 오를수록 습지에 서식하는 미생물의 메탄배출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3일(현지시간) 미국 스미소니언 연구소는 메릴랜드주 스미소니

美 원격진료가 의료와 교통의 탄소발자국 줄였다

미국에서 '원격진료'가 증가하면서 온실가스 배출량이 감소해 기후위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UCLA 데이비드 게펜 의과

"새끼는 안굶겨"...남극 '아델리펭귄'의 영리한 사냥전략

남극에 사는 아델리펭귄이 주변환경 변화에 따라 사냥 전략이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24일 극지연구소는 남극 로스해 아델리펭귄 약 50여마리의 이

대지진 참사 2년만에 또?...이스탄불 인근서 규모 6.2 지진

튀르키예 이스탄불 인근 해상에서 규모 6.2의 지진이 발생해 151명이 부상을 입었다.23일(현지시간) 낮 12시49분경 독일지구과학연구센터(GFZ)는 이같이 밝

한반도 바다 이대로 괜찮나?...해수온 벌써 1.58℃ 상승

1968년부터 2024년까지 지난 57년간 지구의 표층 수온은 0.74℃ 상승했는데 우리나라 해역의 수온은 이보다 2배 높은 1.58℃까지 상승했다.해양수산부 국립

전세계 산호초 84% '하얗게 변했다'...원인은?

해수 온도 상승으로 전세계 산호초 84%에서 백화(白化) 현상이 나타난 것으로 확인됐다.미국 산호초감시기구(CRW)는 지난 2023년 1월 이후 최소 82개국 근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