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소떼 풀어놨더니...초원지대 토양 탄소흡수력 10배 늘었다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4-05-16 15:43:32
  • -
  • +
  • 인쇄
차량 200만대 내뿜는 탄소배출량 흡수
생물다양성·기후위기 동시해결 가능해
▲루마니아 남카르파티아 산맥에서 '재야생화'한 유럽들소떼 (사진=리와일딩유럽)


들소 170마리를 야생으로 되돌려보내자 서식지 인근 생태계가 저절로 복원되면서 내연기관 자동차 200만대가 1년간 내뿜는 탄소배출량을 상쇄하는 '탄소흡수원'으로 거듭났다.

16일(현지시간) 네덜란드에 기반을 둔 국제비영리환경단체 리와일딩유럽(Rewilding Europe)은 최근 미국 예일대학교 환경대학원의 오스왈드 슈미츠 교수 연구팀과 유럽들소떼의 긍정적인 환경영향을 분석한 연구결과를 공개했다. 이 연구에 따르면 들소떼는 서식지 일대의 탄소흡수 능력을 10배가량 증진시켰다.

리와일딩유럽은 인위적인 개입을 최소화해 생태계의 자생력에 초점을 맞춰 생태복원을 시도하는 '재야생화'(리와일딩) 사업을 벌이고 있다. 일례로 지난 2014년 리와일딩유럽은 루마니아 남카르파티아 산맥에 200여년전 자취를 감춘 유럽들소 99마리를 풀어놨다. 이 들소떼는 남카르파티아 산맥 서쪽 가장자리 타르쿠산 인근 50㎢ 초원지대에 자리잡았다. 현재는 개체수가 170여마리로 늘었고, 활동반경이 300㎢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아직 동료심사를 거치지는 않았지만, 슈미츠 교수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들소떼를 활용한 '재야생화'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정밀하게 분석하기 위해 새로운 측정모델을 개발했다. 이 측정모델은 토양이 주변에서 자라나는 식생과 함께 대기중 이산화탄소를 얼마만큼 포집하는지 분석한다. 해당 모델을 통해 처음 들소떼를 풀어놓은 50㎢ 초원지대를 분석한 결과, 탄소흡수능력이 9.8배가량(오차범위 ±5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들소떼가 일대의 풀을 뜯어먹은 뒤 배변을 통해 영양분을 재분배하고, 이때 섭취한 식물의 씨앗들도 뿌려지면서 식생들이 다양하게 번성한 덕분이다. 또 들소떼가 이동할 때 발굽으로 두드린 토양이 빈틈없이 굳어지고, 식생이 더욱 단단하게 뿌리내리면서 토양내 이산화탄소가 새어나가지 않고 확실하게 포집되는 데 일조했다.

이렇게 들소떼가 '재야생화'하기 이전 해당 초원지대의 탄소흡수능력은 1㎢당 5544톤에 불과했다. 하지만 재야생화 이후 탄소흡수 능력은 1㎢당 5만4310톤으로 늘어났다. 이를 통해 총 236만톤의 탄소가 추가로 저감되는 것인데, 이는 내연기관 자동차 188만대가 1년간 내뿜는 탄소배출량과 맞먹는다는 분석이다.

연구에 참여하지는 않았지만, 영국 맨체스터 메트로폴리탄 대학교 알렉산더 리스 부교수는 영국 가디언과의 인터뷰에서 "기후위기 해결을 위한 '자연기반해법'의 설득력 있는 하나의 사례"로 평가하며 "재야생화는 복잡하게 얽혀있는 생물다양성과 기후위기를 해결할 대표적인 도구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자연기반해법'은 이미 훼손된 자연을 생태계 서비스를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재복원해 환경문제를 해결하는 방편으로 지난 2008년 세계은행(WB)이 공식적으로 소개했다. 자연적인 빗물순환관리, 도심 녹지공간 조성, 흙에 탄소를 가두는 탄소농업, 해양탄소흡수량을 늘리기 위한 갯벌 정비 사업, 산불위험을 최소화한 조림사업 등이 대표적인 사례다.

한편 슈미츠 교수연구팀은 이같은 '동물기반 탄소순환촉진'(AAC, Animating the Carbon Cycle) 방식을 활성화해 각국이 기후위기 대응 정책으로도 도입할 수 있도록 유럽들소와 마찬가지로 생태계 복원에 있어 중추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핵심종들인 열대우림 코끼리, 사향소, 해달 등 '쐐기돌(keystone) 생물종' 9종에 대한 연구를 이어갈 계획이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낡은 옷, 포인트로 바꾸세요"...현대百 '바이백' 서비스 시행

현대백화점이 중고패션 보상프로그램 '바이백(buy back)' 서비스를 도입한다. 가지고 있는 의류를 되팔면 해당 상품 중고시세에 해당하는 금액을 현대백

SK이노베이션, 2030년까지 베트남 맹그로브숲 복원 나선다

SK이노베이션이 베트남에서 '아시아의 허파'로 불리는 맹그로브숲 복원사업에 나선다.SK이노베이션은 7일 베트남 짜빈(Tra Vinh)성 정부 및 현지 사회적기

KCC글라스 '2024-25 ESG보고서' 발간...KPI와 연계

KCC글라스가 지속가능경영 성과와 성장전략을 담은 '2024/25 ESG보고서'를 발간했다고 7일 밝혔다.올해 다섯번째로 발간된 이번 보고서는 △ESG 전략목표와

[최남수의 ESG풍향계] 글로벌 기업들 '지속가능 공시' 적극적인 이유

이재명 정부는 ESG 정책에 대해 전향적인 변화를 줄 것으로 예상된다. 그 가운데 정책의 우선순위를 둘 것으로 보이는 정책은 지속가능성 공시다. 윤석

SK케미칼 '2024 지속가능 경영보고서' 발간..."5대 과제 평가 담아"

SK케미칼이 1년간의 ESG성과와 향후 전략을 담은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보고서는 글로벌 공시 기준으로 통용되는 △

정부 '위약금 면제' 수용한 SKT..."정보보호에 7000억 투자" 결정

SK텔레콤이 해킹 사고로 번호이동한 가입자에 대해 위약금을 면제해야 한다는 정부의 요청을 수용하기로 결정했다.SKT는 침해사고 발생전인 4월 18일 기

기후/환경

+

또 물에 잠긴 파키스탄...폭우에 빙하 녹은 물까지 덮쳤다

몬순(우기)를 맞은 파키스탄에 이상고온으로 빙하까지 녹아내리면서 홍수가 발생해 100명이 넘는 사상자가 발생했다.파키스탄 국가재난관리청(NDMA)은 1

40℃로 치솟는 英..."이 추세면 2070년대 폭염 사망자 3만명" 경고

영국 잉글랜드와 웨일스에서 2070년대에 연간 3만명 넘는 사람들이 폭염에 의해 사망하는 최악의 상황을 맞을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10일(현지시간)

李대통령 한마디에 지자체들 발빠르게 폭염대책 마련

폭염에 취약계층과 농민들의 피해가 없도록 해달라는 이재명 대통령의 지시에 지방자치단체들이 발빠르게 대응하고 나섰다.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10

서울 지역에 따라 지표면 온도 4.2℃까지 차이...이유는?

서울지역 한낮 최고기온이 35℃를 넘나들고 있는 가운데 서울도 지역에 따라 지표면 온도가 최대 4.2℃까지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숲의 면

[주말날씨] 백두대간 서쪽은 '찜통더위'...동쪽은 '더위' 꺾여

이번 주말에도 백두대간 서쪽과 내륙은 체감온도가 35℃를 넘나드는 '극한폭염'이 이어지겠다. 곳곳에서 낮동안의 폭염의 영향으로 밤에도 기온이 내

'참치' 늘고 '오징어' 줄고...뜨거워진 동해안 어종 바뀌고 있다

동해안은 전세계 연안에 비해 수온이 3배 빠르게 상승하고 있는 탓에 어종도 바뀌고 있다.연일 35℃가 넘는 폭염이 한창인 10일 오후 3시 동해안의 수온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