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장벽' 갇힌 韓 RE100 기업들...재생에너지 때문에 '산업공동화' 우려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4-06-05 14:09:09
  • -
  • +
  • 인쇄


정부가 2030년 재생에너지 발전비중 목표를 더 높이지 않으면 RE100에 가입한 시가총액 상위 10대 기업들은 재생에너지를 확보하기 위해 해외로 사업장을 줄줄이 이전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을 전망이다.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 총괄위원회가 지난달 31일 발표한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르면 2030년 재생에너지 발전비중은 전체 전력수요 641.4TWh의 21.6%인 138.4테라와트시(TWh)로, RE100 10대 기업이 필요로 하는 재생에너지 용량을 충족시키지 못할 것으로 관측된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LG에너지솔루션, 현대자동차, 삼성바이오로직스, 기아, KB금융, 네이버, 삼성SDI, LG화학 등 10대 기업은 2040~2050년까지 재생에너지로 생산한 전력으로 모두 전환하겠다는 RE100을 선언했다. 이 기업들은 국제적으로 RE100을 선언했기 때문에 자사가 목표한 연도에 재생에너지 100%를 실현해야만 한다. 

그러나 국내 재생에너지 공급현실은 녹록하지 않다. 우리나라 재생에너지 발전비중은 2022년 8.2%에서 2023년 약 9% 수준으로 찔끔 늘었다. 전세계 평균 30.3%에 한참 못미친다. 10대 기업들이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를 통해 밝힌 2022년 전력사용량을 모두 합치면 총 72.5TWh로, 2022년 국가 전체 재생에너지 발전용량 50.4TWh보다 많다.

정부가 올해부터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용량을 증설해 138.4TWh까지 확충하더라도 10대 기업이 필요로 하는 재생에너지 용량을 충족시키지 못할 공산이 크다. 대기업들은 앞으로 인공지능(AI)과 전기자동차 수요가 늘어날 것에 대비해 공장증설을 계획하고 있기 때문이다. 공장이 늘어나면 전력사용량도 그만큼 증가하게 된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2026년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에 입주할 예정이고, 10대 완성차업체 자국 생산비중이 1위인 현대차·기아는 전기차 수요를 반영해 2025년까지 전기차 공장을 국내에 증설한다는 계획이다. 이에 따라 2030년 삼성전자의 전력사용량은 55TWh, SK하이닉스는 36TWh에 달할 전망이다. 삼성전자는 현재보다 2배, SK하이닉스는 3배 늘어난다. 두 기업을 합친 전력사용량만 91TWh에 달한다. 여기에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등 배터리 업체들도 전기차 수요가 증가하면 덩달아 증설할 수 있으니, 2030년에 이르면 10대 기업의 전력사용량은 현재보다 최소 0.5~2배 늘어날 것으로 추정된다.

10대 기업들이 2030년 전력사용량이 2022년보다 2배 늘어난 145TWh라고 가정한다면, 이는 국내 재생에너지 발전비중 138.4TWh를 넘어선다. RE100을 실현해야 하는 입장인데 국내에서 재생에너지로 모든 전력을 충당할 수 없다는 얘기가 된다. 더구나 RE100을 선언한 국내 기업은 이 10곳 외에도 26곳이 더 있다. 뿐만 아니라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재생에너지가 필요한 기업이 236곳에 달한다. 기업 재생에너지 이니셔티브(CoREi)와 플랜1.5가 공동으로 발간한 '2030 국내 재생에너지 수요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2030년 국내기업 재생에너지 수요는 157.5~172.3TWh로 전망됐다.

▲2022년 기준 RE100 가입 기업 가운데 시가총액 상위 10곳의 재생에너지 사용량 및 총 전력사용량 비교. (1TWh=100만MWh)


현재 기업들은 부족한 재생에너지를 충당하기 위해 '녹색 프리미엄 제도'에 의존하고 있다. '녹색 프리미엄 제도'는 실제로 재생에너지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일반 전기요금에 웃돈을 얹어 재생에너지 사용실적으로 인정받는 것이다. SK하이닉스의 경우, 녹색 프리미엄 제도를 이용해 재생에너지 사용비율을 2021년 4%에서 2022년 29.6%로 올렸다.

RE100 기업들은 궁여지책으로 현재 '녹색 프리미엄 제도'를 활용하고 있지만 장기적으로 이를 계속 활용하기는 어렵다. 녹색 프리미엄 제도는 재생에너지 확대에 기여하는 바가 가장 적고, 탄소저감 실적으로 인정되지 않기 때문이다. RE100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전세계 RE100 기업 가운데 녹색 프리미엄 제도를 활용한 비중은 19%에 불과했다. 반면 국내 RE100 기업의 녹색 프리미엄 제도를 활용한 비중은 80%에 달했다.

이에 산업계에서는 RE100 기업들이 재생에너지를 확보하기 위해 해외로 사업장을 이전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정부는 원전을 친환경 에너지로 분류하면서 원전 신규 증설을 통해 탄소없는 에너지를 공급하겠다고 밝혔지만, RE100 기준에서 원전은 재생에너지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기업들 입장에서는 재생에너지를 해외에서 구해야 하는 지경에 이를 수도 있다는 것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재생에너지 때문에 우리나라가 산업 공동화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면서 "글로벌 스탠다드를 따라야 하는 수출기업들은 마냥 정부만 바라볼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양연호 그린피스 기후에너지 캠페이너는 "전세계 주요 국가들이 재생에너지 목표를 높이기 위해 전폭적인 투자를 하고 있다"면서 "국내 반도체 기업들이 재생에너지로의 전환없이 화석연료 기반으로 글로벌 탄소 무역장벽에 대응한다는 것은 사실상 힘들기 때문에 산업경쟁력 차원에서라도 정부는 재생에너지 발전비중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삼성전자 이사회 의장 신제윤...대표이사 전영현 선임

신제윤 사외이사가 삼성전자 이사회 의장에 선임됐다. 또 전영현 부회장이 삼성전자 대표이사로 선임됐다.삼성전자는 19일 '제56기 정기 주주총회' 직

화학·시멘트·반도체...고배출산업 '탄소감축 기술' 공동개발

화학산업, 시멘트산업, 반도체산업 등 고배출 산업군이 모여 기후테크를 연구개발하기 위한 협의체를 출범시킨다.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19

함영주 하나금융 회장 '글로벌 경영' 관심도 1위에 뽑혀

지난해 국내 금융지주 수장들 가운데 하나금융의 함영주 회장이 '글로벌 경영'에 가장 관심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양종희 KB금융 회장과 진옥동 신

美기업들 너도나도 '기후변화' 지우기…트럼프發 '그린허싱' 확산

월마트와 하인즈 등 다수의 미국 기업들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반(反) 기후정책에 발맞춰 홈페이지에서 기후변화나 친환경과 관련된 내용을

서울시, 버려지던 바이오가스로 8500가구에 에너지공급

서울시가 버려지던 바이오가스를 활용해 도시가스를 공급하는 사업을 이어간다.서울시는 지난 5일 예스코와 '중랑물재생센터 바이오가스 공급 및 수

대기업 ESG위원회 '유명무실'...회의도 안건도 '요식행위'

ESG경영이 본격화된지 4년이 지났지만, 국내 대기업 가운데 ESG위원회를 설치한 기업은 아직도 절반에 그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나마 설치된 ESG

기후/환경

+

온난화로 점점 건조해지는 대기..."호흡기 질환자 증가할 것"

기후변화로 점점 건조해지는 대기는 기도에 탈수와 염증 증세를 일으킬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기도에 염증이 발생하면 천식, 알레르기성 비염

COP30 최고경영자 "기후대응 강화하지 않으면 전쟁 증가할 것"

다가오는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의 최고경영자가 기후변화에 대응하지 않으면 더 많은 전쟁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18일

기후 마지노선 1.5℃ 뚫렸다...지난해 1.55℃까지 상승

가장 뜨거웠던 한해였던 2024년을 거치면서 지구 평균기온은 약 1.55℃까지 올랐다. 이는 파리기후변화협약에서 지구 평균기온 임계치로 설정했던 1.5℃

호주 해변가를 뒤덮은 수상한 거품...물고기들도 떼죽음

호주 애들레이드에서 남쪽으로 약 80km 떨어진 웨이트핑가와 파슨스 해변은 수상한 거품으로 가득 차 있다. 이 거품 때문에 인근의 해양생물들이 집단

한은의 경고..."기후대응 안하면 2100년 금융손실 46조"

국내 금융권에서 기후변화에 제대로 대응하지 않는다면 2100년에 이르러 금융권 누적손실이 46조원에 육박할 것이라는 분석이다.한국은행은 18일 금융

'반중·反환경' 트럼프 고립될라...英-中, 기후회담으로 밀착행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파리기후변화협약에 탈퇴하는데 이어 각종 환경규제를 철회하고 있는 가운데 영국과 중국이 기후협력에 나서면서 반(反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