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홍수 겪었는데 강수량 부족...브라질 습지대 '산불 9.8배'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4-06-07 16:44:24
  • -
  • +
  • 인쇄
7월 건기 한달 남았는데 급속 확산세
기후위기·엘니뇨 겹쳐 가뭄 지속된 탓
▲지난 2020년 브라질 판타나우에서 발생한 산불 (사진=세계자연기금/Silas Ismael) 


얼마전 한달치 비가 나흘만에 쏟아지는 대홍수를 겪은 브라질이 이제 산불로 습지대마저 불타는 지경에 이르렀다.

6일(현지시간) 브라질 국립우주연구소(INPE)는 올들어 지난 5일까지 판타나우 습지대에서 발생한 산불건수가 전년대비 9.8배 폭증했다고 밝혔다. 예년 같은기간에 90여건에 그쳤던 산불이 올해 880건으로 폭발적으로 증가한 것이다.

판타나우는 불이 붙기 어려운 습지대라는 점에서 우려가 더 커지고 있다. 브라질 중서부와 볼리비아, 파라과이 국경에 걸쳐있는 판타나우는 세계 최대의 민물 습지생태계다. 이곳 면적은 한반도 크기와 비슷한 19만㎢에 달하는데, 11월~3월 우기가 되면 면적의 80%가량이 물에 잠긴다.

그런데 산불이 무려 10배 가까이 늘어난 것이다. 게다가 브라질은 지난 5월 첫째주와 둘째주 2주동안 3개월치 비가 한꺼번에 쏟아져 대홍수가 발생했기 때문에 산불 급증은 이례적이라고 볼 수밖에 없다. 브라질은 7월~9월이 건기다. 아직 건기를 한달이나 앞둔 시점인데 거대한 습지대 전역에서 불이 번지고 있는 것이다.

현재 습지대 화재의 원인으로 지난해부터 이어진 가뭄으로 지목되고 있다. 기후위기와 엘니뇨가 겹치면서 극한가뭄이 이어져 한번 화재가 발생하면 습지의 풀이 불쏘시개 역할을 하면서 급속도로 번지고 있다는 것이다. 세계기상기구(WMO)에 따르면 지난해 중남미의 평균기온은 1991∼2020년 평균기온보다 0.82℃ 높았다. 역대 최고기온이다. 지난해 평균기온을 1961∼1990년 평균기온과 비교하면 무려 1.39℃ 높다. 고온건조한 날씨가 토양의 수분을 말라버리게 만들었다고 할 수 있다.

실제로 브라질은 우기에 속하는 지난 5월 대홍수를 겪었지만, 우기에 내린 브라질의 강수량은 예년의 60%에 불과했다. 비가 짧은 시간에 한꺼번에 퍼부었을 뿐, 전체적인 강수량은 크게 줄어들었던 것이다. 강수량이 부족하니 당연히 범람해야 할 강물이 범람하지 못하면서 습지 초원이 바싹 마르게 된 것이 산불 확산의 원인이 됐다. 

지난해에도 비슷한 상황이 펼쳐졌다. 지난해 건기 막바지인 11월 판타나우 산불건수는 예년의 584건을 훌쩍 넘은 4134건이 발생했다. 그런데 건기가 시작되지도 않았는데 산불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다보니, 올해 건기에 산불이 얼마나 더 증가하게 될지 우려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판타나우지역 비정부기구(NGO) 생명연구센터(ICV)의 조사관 비니시우스 시우게이로는 이날 로이터통신과의 인터뷰에서 "가장 우려스러운 점은 우기였던 연초부터 산불이 계속 발생했다는 것"이라며 "지난 1998년부터 산불건수를 측정하기 시작한 이래 올해가 가장 좋지 못한 한해의 시작"이라고 걱정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삼성전자, 5년간 6만명 신규채용...'반도체·바이오·AI' 중심

삼성전자가 성장사업 육성과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해 앞으로 5년간 6만명을 신규 채용하겠다고 18일 밝혔다. 매년 1만2000명씩 채용하겠다는 계획이다.

"상장기업 보고, 6개월로 바꾸자"...트럼프 주장에 美 또 '술렁'

미국 상장기업의 보고서가 분기에서 반기로 변경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17일(현지시간) AP통신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장기업의

카카오, 지역 AI생태계 조성 위해 5년간 '500억원' 푼다

카카오그룹이 앞으로 5년간 500억원의 기금을 조성해 지역 인공지능(AI) 생태계 육성에 투자한다고 18일 밝혔다. 카카오그룹은 지역 AI 육성을 위한 거점

[ESG;NOW] 올해 RE100 100% 목표 LG엔솔 '절반의 성공'

국내 많은 기업들이 지속가능한 경영을 내세우면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보고서 혹은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를 주기적으로 발간하고 있

HLB, HLB사이언스 흡수합병..."글로벌 신약개발 역량 고도화"

글로벌 항암제 개발기업 'HLB'와 펩타이드 기반 신약개발 기업인 'HLB사이언스'가 합병한다.HLB와 HLB사이언스는 17일 각각 이사회를 열고 두 회사의 합병

[르포] 플라스틱을 바이오가스로?...'2025 그린에너텍' 가보니

17일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개막한 '2025 그린에너텍(GreenEnerTEC)'의 주요 테마는 '바이오플라스틱'이라고 할 수 있었다.올해 4회를 맞이하는 그린에너텍

기후/환경

+

'2035 NDC' 60% 넘어설까...환경부, 7차례 토론회 연다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2035 NDC)를 설정하기 위한 대국민 논의가 시작된다.환경부는 오는 19일부터 내달 14일까지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뜨거워지는 한반도...2100년 폭염일수 9배 늘어난다

한반도 기온이 매년 상승하고 있어 2100년에 이르면 여름철 극한강우 영향지역이 37%로 확대되고 강수량도 12.6% 증가한다는 전망이다. 또 폭염일수도 지

국민 61.7% "2035년 온실가스 감축목표 60% 넘어야"

우리나라 국민의 61.7%는 2035년까지 온실가스를 60% 이상 감축해야 한다는데 동의하는 것으로 나왔다.기후솔루션이 지난달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성인 200

美 트럼프 법무부 '기후 슈퍼펀드법'까지 폐지한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법무부가 석유화학 대기업에 기후피해를 배상하게 하는 '기후 슈퍼펀드법'까지 폐지하려는 것으로 드러났다.17일(현지시

강릉 가뭄 '한숨 돌렸다'...'단비' 덕분에 저수율 23.4%까지 회복

한때 11%까지 내려갔던 강릉의 저수율이 지난 수요일 내린 폭우 덕분에 18일 오전 6시 기준 23.4%까지 회복됐다. 아직도 평년 저수율 71.8%에 크게 못미치는

폭염 '조용한 살인자'...유럽과 호주, 온열질환 사망자 급증

북반구와 남반구 할 것 없이 기후변화로 뜨거워진 폭염에 사람들이 죽어나가고 있다. 올여름 유럽에서 온열질환으로 사망한 사람 3분의 2는 지구온난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