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도심에 미세플라스틱 '둥둥'...폴리에틸렌(PE) 가장 많다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4-08-13 11:48:40
  • -
  • +
  • 인쇄
▲폴리에틸렌(PE) 현미경 사진( 사진=연합뉴스/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서울시 도심 대기중에 둥둥 떠다니는 미세플라스틱 가운데 폴리에틸렌(PE)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해 9월~올 2월까지 서초구 양재동 연구원 옥상에서 월 1회 포집한 미세먼지 시료를 라만 분광법으로 분석한 결과 크기가 5마이크로미터(㎛·100만분의 1미터) 이상의 미세플라스틱 평균 개수는 대기 1㎥당 71개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13일 밝혔다. 1년 중 대기 미세플라스틱이 가장 많은 달은 12월로, 대기 1㎥당 평균 개수가 122개에 달했다.

연구원은 전국 시도 보건환경연구원 가운데 처음으로 2021년 라만분광기를 활용한 미세플라스틱 분석시스템을 구축했다. 라만분광기를 활용한 미세플라스틱 분석시스템은 20㎛ 이하의 미세플라스틱 분석을 할 수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5㎛ 이상 미세먼지를 분석했다.

서울도심 공기에 떠다니는 미세플라스틱의 종류는 폴리에틸렌(PE)을 비롯해 폴리스타이렌(PS)·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폴리프로필렌(PP)·폴리우레탄(PU)·폴리염화비닐(PVC)·폴리아마이드(PA)·아크릴 등 8종으로 확인됐다.

이 가운데 비율이 가장 높은 소재는 PE였고, 그 다음으로 PS였다. PE는 비닐봉지, 일회용 포장재 등 각종 용기에 널리 사용되는 플라스틱 소재이고, PS는 식품용기, 컵 등에 널리 사용되는 소재다.

가을철인 9∼11월에는 PE-PS-PP 순으로 많이 검출됐고, 겨울철인 12∼2월 사이에는 PE-PS-PU 순으로 많이 검출됐다. 앞으로 연구원은 미세플라스틱 분석 크기를 1㎛까지 확대하고 봄과 여름철 모니터링을 통해 계절별 미세플라스틱 발생 특성까지 파악할 계획이다.

박주성 보건환경연구원장은 "그동안 미세플라스틱 분석은 대부분 해양, 토양 환경에 편중돼 도심 대기 미세플라스틱 조사·연구 결과는 부족하다"며 "앞으로 대기질에 포함된 미세플라스틱 분석 방법을 표준화하고 생활밀착형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 다양한 데이터를 확보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신규 원전건설 백지화 시사한 환경장관 "탈원전은 아냐"

곧 출범할 기후에너지환경부를 이끌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새로운 원전을 짓는 데 대해 국민 공론화를 통한 재논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신규 원전을 추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한은 "극한기후가 물가상승 야기…기후대응 없으면 상승률 2배"

폭우나 폭염과 같은 극한기후고 소비자물가에 단기적인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1년 넘게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기후변화

기후/환경

+

"환경장관 약속 못믿어"...세종보 천막농성 철회 안한다

4대강 보 철거를 요구하며 금강 세종보에서 500일간 농성했던 환경단체들이 농성을 중단하기로 했다가 이를 철회했다.11일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직접

화석연료 기업들 내뿜는 탄소...치명적인 폭염을 낳았다

엑손모빌 등 석유 대기업들의 탄소배출량이 2000년 이후 전세계에서 발생했던 수십건의 폭염과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있다는 사실이 처음으로 밝혀졌다

강릉 식수원 고갈 일보직전 '비소식'...이틀간 20~60㎜ 내린다

강릉 시민들의 식수원으로 쓰이는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이 11일 오전 8시 기준 11.8%까지 낮아진 가운데 토요일인 13일 동해안에 비가 내린다는 소식이다.

1.5℃ 임계점 넘었나?...전세계 산호 84% 하얗게 변했다

전세계 바다의 산호초 84%가 해양폭염으로 백화 현상을 겪는 등 최근 해양생태계가 전례없는 위기를 맞고 있다. 미국 해양대기청(NOAA)이 지난 2일 발표

바다커튼·유리구슬...지구공학 방법론 온난화 억제 "효과없다"

지구공학 기술을 이용해 지구온난화를 대처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온난화를 막기는커녕 오히려 환경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평가다.영국 엑스터대학 마

경기도민 89% "기후위기 심각…적극대응 필요하다"

경기도민 10명 중 9명이 기후위기 심각성을 인지하며 이에 대한 정부와 지자체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경기도는 지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