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스피'에 속타는 기업들...축 처진 주가 살리기에 '안간힘'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4-11-22 16:56:32
  • -
  • +
  • 인쇄
자사주 소각에 배당성향 높이기 잇단 발표
주주가치 제고에 하방 지지선 형성됐지만...
▲코스피가 2500선을 회복한 22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현황판에 코스피·코스닥 지수 종가가 표시돼있다 (사진=연합뉴스)


주요 국가 가운데 유일하게 주식시장이 휘청거리며 맥을 못추고 있는 가운데 기업들이 자사주 소각, 배당성향 높이기 등 일제히 주주가치 제고를 통한 주식시장 살리기에 나섰다.

지난 15일 코스피가 3개월만에 2400선이 붕괴되고, 코스닥은 1년 11개월만에 670선을 내줬다. 이에 지난 21일부터 한국거래소, 한국증권금융, 한국예탁결제원, 금융투자협회, 코스콤이 코스피의 하단을 받쳐주기 위해 2000억원 규모 '기업 밸류업 펀드' 투자를 시작하면서 22일 코스피는 지수를 2501.24선까지 끌어올리며 상승장으로 마감했다.

이날 2500선이 회복됐지만 이는 단기 처방이라는 의견도 적지않다. 도널드 트럼프가 미국을 재집권하고, 중국의 경기부양 기조, 가상자산 시장의 강세로 코스피는 앞으로 수년간 박스권에 갇힐 수 있다는 우려가 지배적이다.

이에 보다 못한 기업들이 잇달아 자사주 매각을 발표하는 등 주식시장 살리기에 나서고 있다. 지난 15일 삼성전자는 향후 1년간 10조원 규모의 자사주를 분할 매입하겠다고 밝히면서 첫 거래일인 18일에 주가가 6% 올랐다. 10조원 가운데 3조원의 자사주는 3개월 내에 사들여 전량 소각하기로 했다.

지난 19일에는 카카오 임원들이 주주신뢰 회복을 위해 주식 매입에 일제히 나섰다. 카카오 컨트롤타워인 CA협의체 권대열 ESG위원장, 이나리 브랜드커뮤니케이션 위원장, 정종욱 책임경영위원장, 황태선 총괄 등 4명의 위원장을 포함해 9명의 임원이 총 4억5260만원의 주식을 사들였다.

셀트리온은 지난 21일 3개월간 자사주 58만3431주를 주당 17만1400원(전날 종가)로 매입해 약 1000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취득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LG생활건강은 이날 '기업가치 제고계획'을 공시해 앞으로 3년간 보유중인 자사주를 전량 소각한다고 밝혔다. 내년부터는 주주에게 지급되는 배당성향을 현행 20% 중후반 수준에서 30% 이상으로 올리고, 중간배당도 실시할 예정이다. 주주 환원 강화 방안으로 현재 보유 중인 자사주 보통주 95만8412주와 우선주 3438주를 2025년부터 2027년까지 3년간 전량 소각할 예정이다. 이는 발행 주식수 대비 각각 6.1%, 0.2%로 전거래일(11월21일) 종가 기준으로 3014억원 규모다.

같은날 LG유플러스도 중장기 재무 목표와 달성방안, 주주 환원 계획을 포함한 '밸류업 플랜'(Value-up Plan)을 공시했다. LG유플러스는 주주환원율을 43.2%에서 최대 60%까지 높일 예정으로, 우선 지난 2021년 매입했던 약 1000억원 규모의 자사주 소각을 검토중이다. 빙그레도 22일 자사주 100만9440주(총 발행주식의 10.25%)를 전량 소각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22일 기업의 주주가치 제고 정책에 따른 하방 지지선이 형성되면서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이 1170억원을, 기관이 3227억원을 순매수했다. 외국인이 코스피 순매수세를 보인 것은 지난 7일 이후 11거래일만이다. 아울러 거래소 등 유관기관은 펀드 조성액을 3000억원 늘릴 예정이어서 당분간 주식시장의 반등이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다만 기업들의 실적개선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이같은 효과가 지속되기 어려울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 실제로 '위기론'에 시달리던 삼성전자는 지난 18일 5만7000원선에서 거래를 시작했지만 5일이 지난 22일 5만6000원에서 장을 마감하면서 좀처럼 자사주 매입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새벽배송 금지' 놓고 극과극 입장차...합리적 해법 나올까

최근 발생한 쿠팡 새벽배송 노동자 사망 사건을 계기로 새벽배송 문제가 다시 '뜨거운 감자'로 대두됐다. 숨진 노동자는 극심한 업무강도에 시달린 것

"국민연금, ESG 원칙 위반한 키움·흥국증권을 거래사로 선정"

국민연금이 ESG 경영 강화를 내세우며 거래증권사 평가에서 ESG 비중을 확대했지만, 신규 석탄발전소 채권을 주관한 증권사들이 여전히 거래증권사 명

[손기원의 ESG 인사이드] 美캘리포니아 '기후공시 3법'의 위력

최근 글로벌 ESG 공시 지형이 복잡하게 흘러가고 있다. 미국은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기후공시 규칙이 무력화됐고,

현대차그룹, 평택항 '탄소중립 수소항만' 구축 참여

현대자동차그룹이 평택시 등과 함께 수소 생태계 조성에 앞장선다.현대차그룹은 11일 평택 시청에서 현대차그룹 켄 라미레즈 에너지&수소 사업본부

현대백화점, 업사이클 옷 2000벌 에너지 취약계층에 전달

현대백화점이 업사이클 다운베스트 2000벌을 에너지 취약계층에 전달했다.현대백화점은 서울 중구 서울시청 8층 간담회장에서 '에너지 취약계층을 위

"에어컨 물도 다시"...LG화학 리사이클 공모전서 초등학생 최우수상

한 초등학생이 에어컨 물을 재활용하는 아이디어로 리사이클 공모전서 최우수상을 받았다. LG화학은 지난 8월 주최한 '리사이클 사회공헌 임팩트 챌린

기후/환경

+

60℃까지 버틴다...고온에서 오히려 성장하는 식물의 원리

60℃ 기온에서도 잘 자라는 식물의 기전이 밝혀졌다.9일(현지시간) 미국 미시간주립대학 연구팀은 데스밸리에 서식하는 '티데스트로미아 오블롱기폴리

녹을 이용해 독성 황화물 제거하는 미생물 발견

산화철을 이용해 독성 황화물을 제거하는 미생물이 발견됐다.오스트리아 비엔나대학교의 미생물학자 마크 무스만(Marc Mussmann)과 알렉산더 로이(Alexander

벼농사·태양광발전 동시에 했더니...수익 8배 늘었다

벼농사와 태양광 발전을 동시에 진행한 논의 소득이 벼농사만 지은 것보다 8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지난 2023년 농림축산식품부의 지원을 받

북극이 녹색으로..."기후변화로 지구 최북단에 녹지 생겨"

새하얀 북극이 기후변화로 인해 녹색으로 변하고 있다.극지연구소는 지구의 최북단인 북그린란드 북위 82도에서 급격히 진행 중인 녹화 현상과 토양

[COP30] 고함치고 격렬한 몸싸움...원주민 시위대와 경비원 충돌

유엔 기후총회에서 원주민과 비정부기구(NGO)로 구성된 시위대와 경비원이 충돌하는 일이 발생했다.12일 AP, AFP, 가디언 등 외신에 따르면 지난 11일 밤(

[COP30] "트럼프는 침입종"...美 캘리포니아 주지사의 직격

차기 미국 민주당 대권주자로 유력한 개빈 뉴섬 캘리포니아 주지사가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향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