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씨] 녹은 눈 '빙판길'로 변한다...29일 영하권에 강풍까지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4-11-28 17:52:52
  • -
  • +
  • 인쇄
▲28일 오전 경기도 수원시 수원역 버스정류장에서 시민들이 버스를 기다리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질퍽질퍽하게 녹은 도로의 눈들이 한밤부터 기온이 뚝 떨어지면서 빙판길로 변할 것으로 보인다.

29일 아침 대부분의 지역은 영하권으로 떨어져 이틀동안 내린 눈은 얼어붙을 것으로 우려된다. 아침 최저기온은 영하 8~6℃ 사이로 평년기온을 약간 밑돌겠다. 낮 최고기온도 영상 3∼12℃ 안팎에 머물겠다. 중부지방은 하루 사이에 기온이 5∼10℃ 떨어지게 된다.

여기에 바람까지 강하게 불면서 체감기온은 더 추워지겠다. 충남서해안·전북·전남 해안에 29일까지, 제주에 당분간 순간풍속 시속 70㎞(산지는 90㎞) 이상 강풍이 이어질 전망이다. 내륙과 강원산지엔 순간풍속 시속 55㎞(산지는 70㎞) 안팎 강풍이 불겠다.

강원남부내륙과 강원산지, 충청, 남부지방, 제주에 29일 아침까지 비나 눈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예상되는 추가 적설은 제주산지 5∼15㎝, 전북동부 2∼7㎝, 충청 1∼5㎝, 강원남부내륙·강원산지·경북내륙·경북북동산지·경남서부내륙·울릉도·독도 1∼3㎝이다.

강수량은 제주 5∼30㎜, 전북 5∼10㎜, 나머지 지역 5㎜ 내외 또는 5㎜ 미만일 것으로 전망된다.

이후 29일 오전부터 충청과 호남, 경북, 경남북서내륙, 제주에 다시 비나 눈이 내리겠다. 수도권과 강원내륙·산지에도 오후에서 밤까지 비나 눈이 오락가락 내릴 수 있다. 호남서부와 제주는 30일 이른 새벽까지 강수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29일 오전부터 30일 이른 새벽까지 예상 적설은 제주산지 3∼8㎝, 경기남부내륙과 강원내륙·산지 1∼5㎝, 수도권(경기남부내륙 제외)·충청·전북동부·경북북부내륙·경북북동산지·경남북서내륙·울릉도·독도 1∼3㎝, 서해5도 1㎝ 미만이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신규 원전건설 백지화 시사한 환경장관 "탈원전은 아냐"

곧 출범할 기후에너지환경부를 이끌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새로운 원전을 짓는 데 대해 국민 공론화를 통한 재논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신규 원전을 추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한은 "극한기후가 물가상승 야기…기후대응 없으면 상승률 2배"

폭우나 폭염과 같은 극한기후고 소비자물가에 단기적인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1년 넘게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기후변화

기후/환경

+

바다커튼·유리구슬...지구공학 방법론 온난화 억제 "효과없다"

지구공학 기술을 이용해 지구온난화를 대처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온난화를 막기는커녕 오히려 환경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평가다.영국 엑스터대학 마

경기도민 89% "기후위기 심각…적극대응 필요하다"

경기도민 10명 중 9명이 기후위기 심각성을 인지하며 이에 대한 정부와 지자체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경기도는 지

강릉시, 평창 도암댐 비상방류 한시적 수용..."20일 시험방류"

최악의 가뭄을 겪고 있는 강릉이 평창 도암댐의 물을 한시적으로 수용하기로 했다.강릉시는 환경부 장관 방문 이후 거론됐던 도암댐 도수관로 비상 방

강릉 저수율 12% '간당간당'...단수 상황에 곳곳에서 '아우성'

18만명 강릉 시민의 생활용수 87%를 책임지고 있는 오봉저수지의 저수율 12%가 붕괴되기 직전이다. 10일 오전 6시 기준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은 전일 같은

해양온난화 지속되면..."2100년쯤 플랑크톤 절반으로 감소"

해양온난화가 지속되면 2100년쯤 바다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하는 역할을 하는 남조류 '프로클로로코쿠스'(Prochlorococcus)의 양이 절반

곧 물 바닥나는데 도암댐 물공급 주저하는 강릉시...왜?

강릉시가 최악의 가뭄으로 물이 바닥날 지경에 놓였는데도 3000만톤의 물을 담고 있는 평창의 도암댐 사용을 주저하는 까닭은 무엇일까.9일 강릉 오봉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