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전기차 보조금 지급일정 한달 당겨졌다...최대 '580만원+α'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5-01-02 16:47:42
  • -
  • +
  • 인쇄
보조금 기준선은 작년보다 200만원 하향
기본 차값 8300만원 미만만 보조금 대상
(사진=연합뉴스)

올해 전기승용차를 구매하면 최대 '580만원+α'의 보조금을 받을 수 있다. 또 생애 첫차로 전기차를 구매하는 청년에겐 추가 보조금을 20% 지원한다.

환경부는 '2025년도 전기차 구매보조금 개편방안'을 예년보다 한달 앞당겨 2일 행정예고했다. 이에 따라 전기차 보조금 지급일정도 한달 앞당겨질 것으로 보인다.

개편방안에 따르면 지난해보다 보조금 전액 지급 기준선이 200만원 하향됐다. 8500만원 미만의 전기차에 대해서만 보조금을 지급한다. 5300~8300만원은 보조금이 50% 지급되며, 5300만원 미만이면 전액 지급된다.

1회충전 주행거리 기준으로 책정되는 올해 성능 보조금은 중대형이 최대 300만원, 소형이 최대 250만원이다. 중대형은 1회충전시 주행거리 440㎞, 소형은 280㎞를 기준이다. 이를 미달시 10㎞당 각각 8만1000원, 5만원씩 보조금이 깎인다.

올해부터는 '차량정보 수집장치'(OBD Ⅱ)를 장착한 차량과 충전중 배터리 상태를 알려주는 차량에 대해 각각 20만원의 보조금을 추가로 지원한다. 또 주차중 이상을 감지하거나 알려주는 배터리관리시스템(BMS)을 갖춘 차량에 대해서는 10만원을 더 준다. 쉐보레의 볼트EV와 르노삼성 SM3 등 BMS 업데이트가 불가능한 전기차를 폐차하고 새 전기차를 구매하는 사람에게도 20만원을 더 준다.

올해부터는 제조물 책임보험에 가입하지 않거나 충전량 정보(SoC)를 제공하지 않는 제조·수입사에 대해서는 보조금을 지급하지 않는다. 현재 자동차 제조·수입사 중 제조물 책임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곳은 테슬라와 BMW 2곳으로 알려졌다. 다만 책임보험과 충전량 정보 미제공은 각각 6개월, 12개월의 유예기간이 있어 당장 영향을 주지는 않을 전망이다.

배터리안전보조금을 측정하는 계수인 '배터리효율계수'와 '배터리환경성계수', AS·부품센터와 정비이력·부품관리 전산시스템 운영여부에 따른 '사후관리계수'는 모두 지난해와 동일하다. 차 제조·수입사 '저공해차 보급 목표' 달성시 주어지는 보조금, 금속충전기 일정 이상 설치했을 때 보조금, 차량에 외부로 전력을 내보낼 수 있는 기능이 탑재된 경우 보조금, 고속 충전이 가능하면 지급되는 보조금 등 추가보조금도 변화는 없다.

이에 중대형 승용차는 최대 '580만원+α', 소형 승용차는 최대 '530만원+α'의 국비 보조금을 받을 수 있다. 지난해와 비교하면 각각 70만원, 20만원이 감소한 셈이다. 여기에 지방정부로부터 보조금을 받으면 지원금은 더 늘어난다.

올해는 또 생애 첫 차를 전기차로 구매하는 19~34세 청년에게는 보조금을 20% 더 추가해준다. 또 다자녀 가구는 자녀 수에 따라 구매지원이 늘어난다. 18세 이하 자녀가 2명이면 100만원, 3명이면 200만원, 4명 이상이면 300만원을 준다.

올해부터 수소버스를 파는 자동차 제조사의 전기버스를 구매하면 최대 700만원의 '보급인프라보조금'도 준다. 자동차 제조·수입사가 최근 1년간 '수소버스를 20대 이상' 또는 '어린이 통학용 버스를 20대 이상' 보급하면 각각 250만원씩 해당 제조·수입사 전기버스에 보조금을 더 준다.

또 제조·수입사 인력과 장비가 기준을 충족하면 보조금을 200만원을 지급한다. 보조금 상한액은 대형 7000만원, 중형 5000만원이다. 수소버스 보급 조건을 충족하는 제조사는 현대자동차가 유일하고, 어린이 통학용 버스 보급 조건을 충족하는 제조사는 현대차·우진산전·KGM 등으로 알려졌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KT 판교·방배 사옥 경찰 압수수색…서버폐기로 증거은닉 의혹

해킹사고 처리과정에서 서버를 의도적으로 폐기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KT가 압수수색을 당했다.19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경기남부경찰청 반부패·

셀트리온, 美에 1.4조 韓에 4조원 투자..."4Q 실적 턴어라운드"

일라이 릴리로부터 미국 공장을 인수해 세계 최대 의약품 시장인 미국에 생산기지를 확보한 셀트리온은 의약품에 대한 미국 관세리스크를 털어내고

한국ESG기준원, ESG평가 'A+등급' 20곳...올해도 S등급 'O'

하나금융지주와 KB금융, 신한지주와 현대백화점, 현대로템 등 20개 기업이 한국ESG기준원에서 주관하는 '2025 ESG 평가'에서 통합등급 'A+'를 획득했다. 이

CJ제일제당 '빨대없는 스토어' 캠페인...대체소재로 PHA 제안

CJ제일제당이 자원순환사회연대(NGO), CJ푸드빌과 함께 일회용 석유계 플라스틱 빨대 사용을 줄이기 위한 '빨대없는 스토어 만들기(Be Straw Free)' 캠페인을

호텔신라, 친환경 운영체계 구축 나선다

호텔신라의 모든 호텔 브랜드가 친환경 호텔로 도약한다.호텔신라는 글로벌 친환경 인증기관인 '환경교육재단(FEE; Foundation for Environmental Education)'과 업

KT 새 대표이사 후보군 33명...본격 심사 착수

KT의 대표이사 후보 공개모집이 마감되면서 차기 대표이사 후보군이 33명으로 확정됐다.KT 이사후보추천위원회는 지난 4∼16일 진행한 대표이사 후보

기후/환경

+

[COP30]"BTS에 영감받아"...K팝 팬들도 '탈탄소화' 촉구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가 열리고 있는 브라질 벨렝에서 케이팝(K-팝) 팬들이 '문화 분야의 탈탄소화'를 촉구하는 목소리를 냈다.K-팝

내년부터 수도권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1700톤 쓰레기 어디로?

내년부터 수도권 지역에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가 시행됨에 따라, 소각장 설비를 아직 마련하지 못한 경기도와 서울 등 지방자치단체들은 예기치 못

[COP30] 산림지키는 기후총회에...농업 로비스트 300명 활동

브라질 벨렝에서 열린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에 300명이 넘는 농업 로비스트가 몰리자, 원주민과 환경단체가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COP30] AI는 기후위기 해결사? 새로운 위협?

인공지능(AI) 기술이 기후대응 해법으로 주목받고 있는 동시에 막대한 전기수요를 발생시켜 기후위기를 악화시키는 요인이라는 지적도 나온다.18일(현

섬에서 새로 발견된 미기록 곤충 55.5% '열대·아열대성'

국내 섬 지역에서 발견된 미기록종 곤충 가운데 약 절반이 열대·아열대성 곤충인 것으로 나타났다.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은 2021년부터 2024년까지

'농촌 기후대응 직불금' 도입되나...기후보험 대상 확대

기후변화로 인해 농작물을 재배하기 적합한 지역이 바뀌는 경우나 기후변화 대응 품종을 도입할 때 직불금을 주는 방안을 정부가 추진한다.정부는 19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