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투자기업 기후리스크 관리한다더니...2년간 '뒷짐'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5-03-12 10:45:14
  • -
  • +
  • 인쇄
▲국민연금공단 본사 전경(사진=연합뉴스)

국민연금이 투자기업의 기후변화 대응을 '중점관리사안'으로 지정해놓고도 기후리스크 관리를 위한 실질적 조치를 취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기후솔루션이 12일 발간한 '기업을 움직이는 국민연금: 기후리스크 관리의 한계와 개선 방향' 보고서에 따르면 국민연금은 지난 2023년부터 투자기업 중점관리사안에 '기후변화 관련 위험관리'를 추가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최소한의 조치도 취하지 않았다. 

국민연금은 2023년 3월 '국민연금기금 수탁자 책임에 관한 원칙'을 개정해 '기후변화'와 '산업안전'을 중점관리사안에 추가했다. 투자대상 기업 중 온실가스를 대량 배출하면서도 감축계획 및 조처가 미흡하거나 이로 인해 기업가치 하락 위험이 생길 경우 전략 개선을 요구하거나 주주제안을 진행하는 등 적극적인 개입을 할 수 있도록 제도적 기반을 마련한 것이다.

국민연금이 운용자산 1200조원에 달하는 국내 최대 기관투자자인 만큼 투자 활동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은 무시할 수 없다.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과 후즈굿의 공동분석에 따르면 2021년 기준 국민연금 투자기업 중 온실가스 배출량을 공시한 312곳의 금융배출량은 국내 전체 배출량의 약 4%에 해당할 정도로 비중이 크다. 금융배출량이란 대출, 투자, 보험 등을 제공하면서 발생하는 간접배출량을 뜻한다.

특히 국민연금은 국내에서도 탄소배출량이 많은 한국전력공사, 포스코홀딩스, 현대제철 등의 최대주주 혹은 주요주주기 때문에 기후리스크 관리에 큰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보고서에 따르면 국민연금은 기후변화를 중점관리사안으로 지정한 이후에도, 기후리스크 관리를 위한 주주 활동을 사실상 전혀 수행하지 않았다.

국민연금은 중점관리사안과 관련해 관리 대상으로 판단될 시 우선 '비공개 대화 대상 기업'으로 선정한 뒤, 이후에도 개선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비공개 중점관리 기업', '공개 중점관리 기업', '주주제안 등 적극적 주주활동'의 순서대로 조처의 강도를 높여간다.

그런데 지난해 10월 말 기준 국민연금이 기후변화 사안과 관련해 중점관리 기업은 고사하고 비공개 대화 대상 기업 선정조차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화 대상 기업 선정 이전의 사전절차격인 비공개 면담을 13곳의 기업과 진행한 것이 전부였다.

투명성 문제도 제기됐다. 국민연금은 공개 중점관리 기업 지정 전까진 대상 기업명과 논의 내용, 이후 개선 실적 등의 정보를 비공개 처리한다. 이에 따라 어떤 기업이 비공개 대화 대상 기업으로 지정됐는지, 이후 기후 리스크 개선이 이뤄졌는지 등을 외부 투자자 및 이해관계자들이 알 수 없다.

세계 3대 연기금으로 꼽히는 '노르웨이 정부 연기금'(GPFG)의 경우, 포트폴리오 내 모든 기업들이 늦어도 2040년까지 '2050 넷제로'를 위한 목표 및 계획을 수립해 직·간접 배출량을 감축하도록 촉구하고 있다. 이 때 중점관리 기업의 목록과 기업별 대화 주제는 웹사이트와 보고서에 게시된다. '네널란드 공적연기금'(ABP)도 온실가스 배출이 많은 산업에 대해 우선적으로 저탄소 비즈니스 모델 전환을 유도하며, 논의 내용과 진행 과정 등을 투명하게 공개한다.

기후솔루션은 국민연금이 실효성 있는 기후리스크 관리를 위해선 △중점관리 기업을 확대하고 한전, 포스코, 현대제철 등 다배출 기업을 우선적으로 관리할 것 △해외투자 비중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해외 기업과의 대화를 강화할 것 △모든 과정에서 정보공개 범위를 확대할 것 △관여 목표를 명확히 설정하고 필요 시 강력한 후속 조치를 이행할 것 등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황보은영 기후솔루션 기후금융팀 연구원은 "국민연금은 중점관리사안에 기후변화를 추가하고 최근 석탄투자 제한 정책을 도입하는 등 겉으로는 기후위기 대응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실효성 측면에서는 해외 연기금에 비해 부족하다"며 "국민연금은 기업의 기후위기 대응 강화를 유도하여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끄는 것과 함께 국민연금의 장기적인 수익성을 제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새벽배송 금지' 놓고 극과극 입장차...합리적 해법 나올까

최근 발생한 쿠팡 새벽배송 노동자 사망 사건을 계기로 새벽배송 문제가 다시 '뜨거운 감자'로 대두됐다. 숨진 노동자는 극심한 업무강도에 시달린 것

"국민연금, ESG 원칙 위반한 키움·흥국증권을 거래사로 선정"

국민연금이 ESG 경영 강화를 내세우며 거래증권사 평가에서 ESG 비중을 확대했지만, 신규 석탄발전소 채권을 주관한 증권사들이 여전히 거래증권사 명

[손기원의 ESG 인사이드] 美캘리포니아 '기후공시 3법'의 위력

최근 글로벌 ESG 공시 지형이 복잡하게 흘러가고 있다. 미국은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기후공시 규칙이 무력화됐고,

현대차그룹, 평택항 '탄소중립 수소항만' 구축 참여

현대자동차그룹이 평택시 등과 함께 수소 생태계 조성에 앞장선다.현대차그룹은 11일 평택 시청에서 현대차그룹 켄 라미레즈 에너지&수소 사업본부

현대백화점, 업사이클 옷 2000벌 에너지 취약계층에 전달

현대백화점이 업사이클 다운베스트 2000벌을 에너지 취약계층에 전달했다.현대백화점은 서울 중구 서울시청 8층 간담회장에서 '에너지 취약계층을 위

"에어컨 물도 다시"...LG화학 리사이클 공모전서 초등학생 최우수상

한 초등학생이 에어컨 물을 재활용하는 아이디어로 리사이클 공모전서 최우수상을 받았다. LG화학은 지난 8월 주최한 '리사이클 사회공헌 임팩트 챌린

기후/환경

+

60℃까지 버틴다...고온에서 오히려 성장하는 식물의 원리

60℃ 기온에서도 잘 자라는 식물의 기전이 밝혀졌다.9일(현지시간) 미국 미시간주립대학 연구팀은 데스밸리에 서식하는 '티데스트로미아 오블롱기폴리

녹을 이용해 독성 황화물 제거하는 미생물 발견

산화철을 이용해 독성 황화물을 제거하는 미생물이 발견됐다.오스트리아 비엔나대학교의 미생물학자 마크 무스만(Marc Mussmann)과 알렉산더 로이(Alexander

벼농사·태양광발전 동시에 했더니...수익 8배 늘었다

벼농사와 태양광 발전을 동시에 진행한 논의 소득이 벼농사만 지은 것보다 8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지난 2023년 농림축산식품부의 지원을 받

북극이 녹색으로..."기후변화로 지구 최북단에 녹지 생겨"

새하얀 북극이 기후변화로 인해 녹색으로 변하고 있다.극지연구소는 지구의 최북단인 북그린란드 북위 82도에서 급격히 진행 중인 녹화 현상과 토양

[COP30] 고함치고 격렬한 몸싸움...원주민 시위대와 경비원 충돌

유엔 기후총회에서 원주민과 비정부기구(NGO)로 구성된 시위대와 경비원이 충돌하는 일이 발생했다.12일 AP, AFP, 가디언 등 외신에 따르면 지난 11일 밤(

[COP30] "트럼프는 침입종"...美 캘리포니아 주지사의 직격

차기 미국 민주당 대권주자로 유력한 개빈 뉴섬 캘리포니아 주지사가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향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