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끼는 안굶겨"...남극 '아델리펭귄'의 영리한 사냥전략

장다해 기자 / 기사승인 : 2025-04-24 11:53:33
  • -
  • +
  • 인쇄

남극에 사는 아델리펭귄이 주변환경 변화에 따라 사냥 전략이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극지연구소는 남극 로스해 아델리펭귄 약 50여마리의 이동경로와 먹이사냥을 추적해 번식기에 먹이를 구하기 어려워졌을 때 나타나는 이같은 사냥 전략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크릴새우 등을 주로 먹는 아델리펭귄은 얼음을 오고가며 바다 사냥을 한다. 사냥터로 가기 위해 마주치는 얼음 면적이 클수록 아델리펭귄이 먹이를 구하기 힘들어진다. 연구진에 따르면 2021년에서 2022년 사이에는 사냥터 접근을 방해하는 얼음 면적이 2022년에서 2023년 사이보다 10% 이상 넓어 이동하기가 어려웠다. 하필 이 시기에 아델리펭귄의 주요 먹잇감도 크게 감소해 먹이 구하기가 더욱 어려웠을 것으로 보인다.

먹이 구하기가 어려워진 이 시기에 아델리펭귄은 새끼의 먹이는 가까운 곳에서, 자신이 먹는 먹이는 먼 곳에서 구하는 행동을 보였다. 즉, 새끼의 먹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얼어붙은 바다에 뚫린 구멍 등을 이용해 비교적 가까운 평균 약 7km를 이동했다. 반면 자기 먹이는 평균 약 45km를 이동해서 사냥했다. 먹잇감이 충분했던 2022년에서 2023년 사이에는 사냥터를 나누는 행동을 보이지 않았다. 

이처럼 아델리펭귄은 새끼 양육과 자기 영양상태 유지를 위해 '이원적 먹이사냥 전략(Bimodal foraging strategy)'을 선택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원적 먹이사냥 전략은 새끼 먹이는 가까운 사냥터에서, 자신의 먹이는 먼 사냥터에서 확보하기 위해 가깝고 먼 사냥터를 번갈아 이동해 먹이를 찾는 전략이다. 

남극 로스해 해양보호구역에는 100만마리가 넘는 아델리펭귄과 수만 마리의 황제펭귄을 비롯해 고래와 물범, 바닷새 그리고 크릴 등이 서식하고 있다. 하지만 급격한 환경변화로 먹이를 구하는 것이 점점 더 힘들어진다면 아델리펭귄 부모와 새끼 모두 먹이부족에 시달리면서 생태계 전반이 위협받게 될 것이라고 연구진은 우려했다.

신형철 극지연구소장은 "펭귄은 남극 생태계 먹이사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기 때문에 남극 펭귄의 생존이 위협받으면 생태계 전반이 흔들릴 수 있다"라고 말했다.

4월 25일은 세계 펭귄의 날이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궁금;이슈] 경찰 출두한 방시혁...투자자에게 IPO계획 숨겼다?

글로벌 스타 방탄소년단(BTS)를 탄생시킨 하이브의 방시혁 의장이 투자자들에게 기업공개(IPO) 계획을 숨기고 지분 매각을 유도했다는 혐의를 조사받기

해군 입대한 이재용 삼성 회장 장남...해군 통역장교로 복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장남 이지호(24)씨가 15일 해군 장교로 입대했다. 2000년 미국에서 태어나 한국과 미국 복수 국적을 가지고 있던 이씨는 해군 장

신규 원전건설 백지화 시사한 환경장관 "탈원전은 아냐"

곧 출범할 기후에너지환경부를 이끌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새로운 원전을 짓는 데 대해 국민 공론화를 통한 재논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신규 원전을 추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기후/환경

+

"2035년 NDC 61.2% 정해야...산업 경쟁력 강화할 기회"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2018년 대비 최소 61.2%로 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15일 국회 기후행동의원모임 '비상'은 성명을 통해 "20

환경부 '낙동강 녹조' 독성조사 착수...공기중 조류독소도 조사

환경부가 환경단체와 함께 낙동강 녹조 조사에 착수한다.환경부는 15일 오후부터 낙동강네트워크, 환경운동연합과 낙동강 녹조 심화지역에 대한 조류

국립공원 개구리 산란시기 18일 빨라졌다...기후변화 뚜렷한 징후

국내 서식하는 개구리들이 기후변화로 산란시기가 앞당겨진 것이 확인됐다.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은 국립공원 내 산림과 무인도서에서 장기간 생

호주 시드니 3°C 오르면..."온열질환 사망자 450% 급증할 것"

지구 평균기온이 3℃ 상승하면 호주 시드니에서만 온열질환으로 인한 사망자가 약 450% 급증할 것으로 나타났다.15일(현지시간) 호주 기후청과 기후변화

美 온실가스 배출량 '깜깜이 국가' 되나...기업 의무보고 없앤다

미국 환경보호청(EPA)이 대형 시설의 온실가스 배출량 보고 제도를 폐지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기후정책의 핵심자료였던 배출 데이터가 사라질 경

단비에 강릉 저수율 16.3%로 상승...아직 '가뭄의 끝' 아니다

이틀간 강릉에 많은 비가 내리면서 최악의 사태를 면했다. 하지만 가뭄이 해갈되기까지는 아직 갈길이 멀어보인다. 15일 강릉의 생활용수 87%를 공급하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