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전세계 메탄 배출량 3.5억톤...에너지 부문이 3분의 1 차지

송상민 기자 / 기사승인 : 2025-05-14 17:48:45
  • -
  • +
  • 인쇄

2024년 전세계 에너지 부문 메탄 배출량이 1억4400만톤을 넘어섰다. 이는 2023년과 비슷한 수치로, 감축기술이 발전하고 있음에도 실행 수준은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상황이다.

국제에너지기구(IEA)가 7일(현지시간) 공개한 '세계 메탄 추적 보고서 2025(Global Methane Tracker 2025)'에 따르면 2024년 세계 메탄 배출은 약 3억5400만톤으로, 이 가운데 에너지 부문에서만 전세계 메탄 배출의 약 3분의 1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석유와 가스, 석탄 생산량 증가로 배출량도 높아졌다. 또 폐광 및 방치된 유정과 가스정에서만 연간 약 800만톤의 메탄이 배출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 규모는 화석연료에서 배출되는 메탄의 양과 맞먹는 수준이다.

보고서는 현재 기술로 에너지 부문 메탄 배출의 약 70%를 감축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일부 감축 수단은 회수된 가스를 판매함으로써 1년 내 투자비 회수가 가능하다고 했다. 2024년 감축 수준이라면 약 1000억㎥의 가스를 추가 공급할 수 있었을 것으로 봤다. 이는 노르웨이 연간 수출량에 맞먹는다.

우리나라의 지난해 메탄 배출량이 약 1151킬로톤(kt)으로 추정됐다. 이 가운데 농업이 500kt으로 가장 많이 차지했고, 폐기물이 479kt, 에너지 부문이 146kt를 차지했다. 에너지 부문 메탄 배출량 기준으로는 세계 62위, 전체 배출량 기준으로는 47위를 기록했다.

파티 비롤 IEA 사무총장은 "메탄 누출과 연소 감축은 에너지 안보와 온실가스 감축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이중 효과를 가진다"며 "정부와 산업계가 목표를 실현할 수 있도록 IEA가 필요한 도구와 지식을 지속적으로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보고서는 IEA 홈페이지에 공개돼 있으며, 기존 정책을 유지할 경우 메탄 감축만으로도 2050년까지 약 0.1℃ 상승 억제 효과가 있을 것으로 전망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우리은행, 대한적십자사와 '기부신탁' 업무협약 체결

우리은행이 대한적십자사에 적십자회비를 전달하고 기부문화 확산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우리은행이 성숙한 기부문화 확산을 위해 대한적십자

KB국민은행, 새내기 장애대학생 135명에게 노트북PC 지원

KB국민은행이 새내기 장애대학생 135명에게 최신형 노트북과 학습보조기구를 지원했다고 14일 밝혔다.KB국민은행과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은 지금까지 2

하나은행, 지역 상생 '대전 D-도약펀드' 1000억원 출자

하나은행이 지역 상생을 위해 '대전 D-도약펀드'에 1000억원을 출자한다. 하나은행이 대전광역시, 대전투자금융과 함께 지역 스타트업 혁신성장 지원 및

포스코홀딩스, 이차전지소재 사업회사 유상증자에 '1조원 출자'

포스코홀딩스가 그룹 이차전지소재 사업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책임경영을 강화하기 위해 사업회사 유상증자에 총 9226억원을 출자하기로 했다.포스코

CDP 환경평가 A등급 기업은 2만2777개 중 2%에 그쳐

지난해 전세계 2만2700여개 기업 가운데 환경성과 평가에서 A등급을 받은 기업은 2%에 불과했다.국제비영리기구 CDP(옛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가 지난해

국내 기업 69.6% "탄소중립 경쟁력에 도움"...그러나 현실은

국내 기업 10곳 중 7곳은 탄소중립 대응이 기업 경쟁력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지만 투자리스크 때문에 선뜻 실행하기 어려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

기후/환경

+

훼손된 산림 회복속도 길어진다..."기온상승과 수분부족탓"

나무가 훼손된 산림이 기온상승과 강수량 부족 등으로 회복하는 시간이 점점 늦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베이징대학교와 미국 콜로라도주

탄소만 줄이는 온실가스 정책...'탄소고착' 현상 초래한다

영국 정부의 탈탄소화 정책이 오히려 새로운 기술혁신을 제한하고, 장기적으로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저해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아랍에미

곤충도 못 버티는 '열대야'...도시 꿀벌 65% 줄었다

꿀벌을 비롯한 곤충도 열대야를 견디지 못하고 있다.독일 뷔르츠부르크대학교(JMU) 연구팀은 독일 바이에른주 전역 179곳에서 곤충 현황을 조사해보니

30년간 전세계 해수면 10cm 상승..."상승속도 점점 빨라져"

해수면 상승 속도가 점점 더 빨라지고 있다.9일(현지시간) 미 항공우주국(NASA)이 위성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1993년 이후 지구의 해수면은 약 10c

'EU 기후목표' 환영했던 오스트리아 입장 돌변...왜?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의 '2040 온실가스 90% 감축'을 가장 먼저 환영했던 오스트리아가 새 정부가 들어서면서 EU 권고안에 대한 지지를 철회하고 나서

트럼프, 국가기후평가 직원 400명 해고…美보고서 발간 종료?

트럼프 행정부가 국가기후평가(National Climate Assessment) 보고서 작성을 주도해온 과학자 및 연구자 약 400명을 해고했다. 이들은 지난 4월 28일(현지시간)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