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기온 1.5℃ 억제해도 해수면 상승 못막는다"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5-05-21 11:01:03
  • -
  • +
  • 인쇄

파리기후변화협약 목표인 지구 평균기온 상승을 산업화 이전대비 1.5℃ 이내로 억제한다고 해도 해수면 상승을 막을 수 없다는 충격적인 연구결과가 나왔다.

영국 더럼대 크리스 스토크스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온난화로 인한 과거·현재 데이터와 미래 빙상 손실과 해수면 상승 예측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2100년까지 지구 평균기온 상승을 산업화 이전 대비 1.5℃ 이내로 억제하는 파리협약 목표를 달성해도 극지방 빙상 손실과 해수면 급상승을 막기 어렵다고 20일(현지시간) 밝혔다.

연구팀은 "지구 기온이 1.5℃ 상승할 경우 그린란드와 남극 빙상 손실이 빨라져 수세기에 걸쳐 해수면이 수미터(m) 상승할 가능성이 크다"며 "이를 피하려면 온난화 억제 목표가 1℃에 가까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린란드와 남극 빙상이 모두 녹으면 해수면이 65m가량 높아질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스토크스 교수는 "1.5℃는 그린란드와 남극 빙상에 너무 높은 온도"라며 "일정수준의 해수면 상승은 불가피하지만 최근 빙상 손실 속도는 현재 기후 조건에서도 매우 우려스러운 수준"이라고 말했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에 따르면 빙상에서 손실되는 얼음양은 1990년 이후 4배 늘었고, 산업화 이전 대비 1.2℃ 상승한 기온 수준에서 연간 3700억톤(t)의 얼음이 사라지고 있다. 

연구팀은 1.5℃ 상승이 그린란드와 남극 빙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방대한 증거들을 검토하고 시뮬레이션으로 향후 변화를 예측했다. 과거 온난화 시기 증거들을 분석하고, 현재 빙상이 얼마나 손실되고 있는지를 측정한 자료와 향후 수 세기 동안 온도 상승 수준에 따라 얼마나 많은 빙상이 녹을지 예측한 모델을 결합했다.

연구 결과, 만약 지구 기온이 1.5℃ 상승하면 그린란드와 남극 빙상의 녹는 속도가 가속화되면서 해수면 상승 폭은 빠르면 수십 년, 길어도 수 세기 안에 수m에 달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해수면 상승이 해안 및 섬 주민에게 큰 피해를 입히고 수억 명의 이주를 초래할 수 있다며 정책 입안자들과 각국 정부가 지구 온도 1.5℃ 상승이 해수면에 미칠 영향을 잘 인식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현재 해수면으로부터 1m 이내에 거주하는 이들은 전세계 2억3000만명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스토크스 교수는 "1990년대 초 지구 온도는 산업화 이전보다 약 1℃ 높았고, 이산화탄소 농도는 350ppm 정도였는데 현재는 424ppm에 달하고 또 계속 높아지고 있다"며 "우리 삶이 유지될 수 있는 온도 상승 한계치는 1℃ 정도로 보인다"고 밝혔다.

한편 지난 2024년은 지구 평균 기온이 산업화 이전 대비 1.6℃ 오른 해로 기록됐다. 파리협약 목표는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기온 상승을 제한하는 것이기 때문에 1년 평균이 1.5℃를 넘어섰다고 실패한 건 아니지만 이처럼 뜨거운 날이 늘어갈수록 지구 온도 억제는 더욱 힘들어질 것이다.

이번 연구결과는 과학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지구&환경(Communications Earth & Environment)에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한은 "극한기후가 물가상승 야기…기후대응 없으면 상승률 2배"

폭우나 폭염과 같은 극한기후고 소비자물가에 단기적인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1년 넘게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기후변화

美투자 압박하면서 취업비자는 '외면'..."해결책 없으면 상황 반복"

미국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의 한국인 근로자 300여명 체포·구금 사태는 '예견된 일'이라는 반응이 대부분이다. 미

기후/환경

+

해양온난화 지속되면..."2100년쯤 플랑크톤 절반으로 감소"

해양온난화가 지속되면 2100년쯤 바다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하는 역할을 하는 남조류 '프로클로로코쿠스'(Prochlorococcus)의 양이 절반

곧 물 바닥나는데 도암댐 물공급 주저하는 강릉시...왜?

강릉시가 최악의 가뭄으로 물이 바닥날 지경에 놓였는데도 3000만톤의 물을 담고 있는 평창의 도암댐 사용을 주저하는 까닭은 무엇일까.9일 강릉 오봉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낙뢰로 인한 산불 증가"...기후위기의 연쇄작용 경고

기후위기가 낙뢰로 인한 산불을 더욱 빈번하게 발생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6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머세드 캠퍼스 시에라 네바다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