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0㎞ 떨어진 사람과 '가위바위보'…세계 최초 6G통신 시연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5-06-05 18:28:25
  • -
  • +
  • 인쇄
▲부산에 있는 시연자와 실시간으로 가위바위보를 시연하는 방승찬 ETRI 원장(사진=ETRI)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세계 최초로 위성을 활용한 6세대(6G) 실시간 통신 기술을 시연했다.

방승찬 ETRI 원장은 5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ETRI 컨퍼런스 2025'에서 직접 단상에 올라 약 800㎞ 떨어진 부산에 있는 시연자와 실시간 가위바위보 게임을 선보였다. 방 원장과 시연자는 조금의 시간 차이도 없이 동시에 자신의 패를 냈다. 지연시간 5밀리초(ms) 미만, 전송속도는 초당 200기가비피에스(Gbps), ETRI가 개발한 6G 기술이 현장에서 첫 공개된 것이다.

6G 통신은 이론상 최고속도 1테라비트(Tbps)를 구현할 수 있는데, 이는 5G 최고속도보다 50배 빠른 수준이다. 이론대로 통신망이 구성되면 125GB급 대용량 데이터를 1초만에 옮길 수 있고, 네트워크 지연 속도는 0.1ms로 5G대비 10분의 1로 줄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이론적 속도로 아직 기술 개발중에 있다.

ETRI는 시연에 사용된 6G 네트워크는 서브테라헤르츠(Sub-THz) 대역과 10기가헤르츠(GHz) 광대역폭을 활용했다고 설명했다. 서브테라헤르츠는 100~300GHz 사이의 초고주파 영역으로 6G의 초고속·저지연 특성을 구현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ETRI는 이 대역에 다중 송수신(MIMO) 기술을 적용해 실시간으로도 지연 없는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는 점을 입증했다.

가위바위보 외에도 시연자가 노래와 춤을 추는 모습을 실시간으로 코엑스 현장에서 메타버스로 재연하는 시연도 이뤄졌다. 음성과 영상 모두 지연 없이 자연스럽게 이어졌고, 메타버스로 전환한 동작도 애니메이션 같은 느낌은 있지만 동작에 끊김은 없었다.

방 원장은 "실시간 원격 게임 및 협업 메타버스 공연 시연은 세계 최초"라며 "일반 네트워크와는 달리 6G는 수백km 떨어져 데이터를 전송하더라도 지연 현상을 거의 느낄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6년 간의 연구 결과를 이렇게 선보일 수 있어 감동"이라며 소감을 전했다.

6G 통신을 소개한 후 행사 마지막에 시각장애인을 위한 인공지능(AI) 안내로봇 '에디'를 선보여 관람객들의 시선을 끌었다.

에디는 4족 보행 플랫폼에 실시간 음성 안내와 대화 기능이 탑재된 멀티모달 AI 로봇으로 종이박스나 계단 등 보행을 방해하는 장애물이 있으면 상황을 음성으로 설명하고 갈 길을 찾아 이끄는 등 시각장애인 안내 역할을 톡톡히 해냈다.

ETRI는 오는 2027년에 시각장애인 안내견 시험에 에디를 합격시키는 걸 목표로 개발 중이라 밝혔다.

이밖에도 초실감 공간현실 스트리밍, 무안경 3D 디스플레이, 웨어러블 혈당센서, 국산 가속기를 탑재한 고성능 HPC 클러스터, 지상-위성 통합 6G 기술 등 ETRI의 30개 성과 기술이 전시됐다.

모든 기술은 관람객이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시연 형태로 구성됐다. 일부 기술은 기업 IR을 통해 민간 투자자들과 사업화 논의도 이뤄졌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노동자 사망사고·압수수색 이후...SPC '컴플라이언스 위원회' 출범

노동자 끼임 사망 사고로 압수수색을 받았던 SPC그룹이 윤리·준법 체계를 감독하는 상설독립기구인 'SPC 컴플라이언스 위원회'를 구성하고 19일 출

틱톡, 광고 제작과정 탄소배출까지 체크한다

숏폼 플랫폼 틱톡(TikTok)이 송출되는 광고는 물론, 해당 광고가 제작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까지 측정한다.16일 틱톡에 따르면, 플랫폼 내 광고 캠

대선 후 서울서 수거된 폐현수막 7.3톤...전량 '재활용'

서울시가 제21대 대통령 선거 이후 수거된 폐현수막 전량 재활용에 나선다. 선거기간 서울 시내에서 배출된 폐현수막 재활용률을 30%에서 100%까지 끌어

하나은행 '간판 및 실내보수' 지원할 소상공인 2000곳 모집

하나은행이 소상공인을 위해 간판 및 실내 보수 등 '사업장 환경개선 지원 사업'에 나선다. 하나은행은 '사업장 환경개선 지원 사업'을 실시하고 간판

경기도, 중소기업 200곳 ESG 진단평가비 '전액 지원'...27일까지 모집

경기도가 중소기업의 지속가능한 경영 체계 구축을 위해 오는 27일 오후 5시까지 '경기도 중소기업 ESG 진단·평가 지원사업' 참가 기업을 모집한다

국제환경산업기술·그린에너지전 11∼13일 코엑스 개막

환경부와 한국환경보전원이 중소녹색기업의 우수 녹색기술을 교류하고 국내외 판로개척 지원을 위해 오는 11일부터 13일까지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기후/환경

+

기후대응 위해 '도시숲'은 필수…조성계획은 지역마다 '중구난방'

우리나라가 '2050 탄소중립' 실현하기 위해 지방자치단체의 탄소중립 목표와 계획이 뒷받침돼야 한다. 이에 본지는 각 지자체별로 온실가스 배출 실태

"3년 뒤 기후재앙 '마지노선' 1.5℃ 넘는다"...IGCC의 경고

탄소배출량이 지금처럼 지속되면 3년 뒤에는 기후변화 마지노선인 1.5℃를 넘어설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19일 지구 기후변화 지표(IGCC)는 지금처럼 이

백두대간 보호지역 지정 20년…"산림 훼손 여전"

백두대간이 보호지역으로 지정된지 20년이 지났지만 복원은커녕 광산 개발 등으로 인한 산림 훼손이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녹색연합은 백두대간 보

EU '탄소상쇄 크레딧' 재도입되나?..."조건부 부활시켜야"

유럽연합(EU) 배출권거래제(ETS)를 설계한 조스 델베크 전 유럽연합집행위원회 기후총국장이 국제 탄소상쇄 크레딧의 제한적 재도입을 주장하고 나섰다

'인조잔디' 안전한가!...유해성 알리려던 과학자들 고소 당해

아이들이 뛰노는 놀이터와 학교 운동장에 깔린 인조잔디의 유해성 여부를 놓고 논란이 일고 있다.인조잔디에서 발암 가능성이 있는 화학물질이 검출

머스크 AI기업, 멤피스 흑인지역에 무허가 터빈 설치…환경차별 논란

일론 머스크의 인공지능 기업 xAI가 미국 멤피스의 흑인 밀집 지역에 무허가 가스 터빈을 설치해 대기오염을 유발했다는 이유로 소송에 직면했다.NAACP(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