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PC그룹이 생산직 야근을 8시간 이내로 제한해 장시간 야간근로를 없앤다.
SPC그룹은 지난 25일 경기도 시흥 SPC삼립 시화공장에서 이재명 대통령 주재로 열린 현장 간담회에서 지적된 야간근로 및 노동강도 문제에 대해 엄중하게 인식하고, 대표이사 협의체인 'SPC 커미티'를 27일 긴급 개최해 이같은 내용으로 야근 근로를 개선하기로 결정했다.
SPC그룹 관계자는 "8시간 초과 야근 폐지를 위해 인력 확충, 생산품목 및 생산량 조정, 라인재편 등 전반적인 생산구조를 완전히 바꿀 계획"이라며 "각 사별 실행 방안을 마련해 10월 1일부터 전면 시행한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SPC그룹은 제품 특성상 필수적인 품목 외에 야간 생산을 최대한 없애 공장 가동 시간을 축소해나갈 계획이다. 주간근무 시간도 점진적으로 줄여 장시간 근무로 인한 피로 누적, 집중력 저하, 사고 위험 등을 사전에 차단하겠다는 방침이다.
또 이번 근무제 개편이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노동조합과 지속적으로 협의하고, 전환 과정에서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한 교육과 매뉴얼 정비도 함께 추진하기로 했다.
SPC의 이같은 근로조건 개선은 이재명 대통령의 반복적인 사망 사고가 장시간 근로에 따른 것 아니냐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이 대통령은 "현재 3교대 체제에서 인건비가 2교대보다 더 많은데 굳이 3교대를 하는 이유는 기본급이 낮아서가 아닌가"라고 반문하며 "1주일에 나흘동안 야간 근로를 12시간 연속하는 것에 따른 피로도와 집중력 저하가 사고를 불러일으키는 것 아니냐"며 근본적 개선 필요성을 짚었다.
지난 5월 SPC삼립 공장에서 50대 여성 근로자가 크림빵 생산라인의 컨베이어에 윤활유를 뿌리는 일을 하다 기계에 끼여 사망했고, 지난 2022년 10월에는 SPL 평택 제빵공장에서 그리고 2023년 8월 샤니 성남공장에서 근로자가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한 바 있다.
SPC그룹은 대통령과 간담회에서 오는 2027년까지 2조 2교대를 20%로 줄이는 것을 포함해 안전설비 확충과 위험 작업 자동화, 작업환경 개선, 장비 안전성 강화에 624억원을 추가 투입하는 계획을 공개한 데 이어, 이날 8시간 초과 야근 폐지 등의 생산직 근로 체계 개편 시행 계획도 내놨다.
SPC그룹 관계자는 "생산현장의 장시간 야간 근로에 대한 지적과 우려를 무겁게 받아들여 근무 형태를 비롯한 생산 시스템 전반에 대한 개혁을 추진하기로 했다"면서 "앞으로도 근로자의 안전이 최우선 되는 일터를 만들 수 있도록 적극적인 개선과 투자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