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정도일 줄이야?...매일 미세플라스틱 6만8000개 '꿀꺽'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5-08-29 13:39:21
  • -
  • +
  • 인쇄
AI 이미지

한 사람이 매일 6만8000개의 미세플라스틱을 집안이나 차에서 흡입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28일(현지시간) 나디아 야코벤코 툴루즈대학 박사가 이끈 연구팀은 여러 아파트 실내와 자동차 내 공기를 측정한 결과 아파트 실내는 1m³당 평균 528개, 자동차 내부는 2238개의 미세플라스틱이 측정됐다. 아파트는 미세플라스틱의 수가 288개부터 2487개까지 다양했고, 자동차 내부는 1515~2245개를 기록했다.

이를 통해 연구팀은 사람이 하루평균 흡입할 수 있는 미세플라스틱 입자의 양이 성인은 6만8000개, 아동은 4만7000개라고 계산했다. 측정 대상 미세플라스틱은 1~10마이크로미터(μm) 크기로, 인간 머리카락 두께의 약 7분의1이다. 이 정도의 크기는 폐까지 파고들 수 있다고 연구팀은 경고했다.

연구팀은 실내공기가 실외보다 더 밀폐돼 있어 미세플라스틱 농도가 더 짙으며 실내 미세플라스틱은 의류, 주방용품, 카펫 등 가구와 소비재에서 비롯된다고 설명했다.

자동차는 아파트 실내보다도 공기 중 미세플라스틱 농도가 약 4배 더 높았다. 이는 핸들, 카시트 등 자동차 부품에서 미세플라스틱이 유발되는 데 비해 좁고 밀폐된 공간에 환기가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야코벤코 박사는 "작은 입자의 경우 더 가벼워서 공기 중에 더 오래 부유한다"며 "앉고 일어서고 걷는 등 사람이 움직임마다 플라스틱 입자가 공중에 흩날리길 반복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연구팀은 미세플라스틱 흡입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당초 예상보다 더 클 수 있다고 주장했다. 야코벤코 박사는 "공기 중 미세플라스틱 수준은 이전 추정치보다 훨씬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작은 입자는 혈류에 유입돼 폐에 깊숙이 들어갈 수 있어 위험하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목재, 금속, 천연섬유 및 원료로 만든 제품을 사용하면 실내 공기 중 미세플라스틱을 줄일 수 있다고 조언했다. 자동차의 경우 창문을 열어 환기시킬 수 있지만 타이어 분진이 유입될 수 있어 미세플라스틱 농도를 낮추기가 어렵다고 짚었다.

이번 연구결과는 '플로스원(Plos One)' 학술지에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현장&] "아름다운가게 지역매장은 왜 소비쿠폰 안돼요?"

계절이 바뀔 때마다 옷정리를 한다. 여름내내 입었던 옷들을 옷장에서 꺼내 상자에 집어넣고, 상자에 있던 가을겨울 옷들을 꺼내서 옷장에 하나씩 정

보이스피싱 183건 잡은 KB국민은행 직원들..."세심한 관찰 덕분"

KB은행의 한 지점을 찾은 고객이 1억원짜리 수표를 소액권으로 다시 발행해달라고 요청하자, 은행 창구 직원은 고객에게 자금출처와 발행인 정보를 물

빙그레, 임직원 대상 '전자제품 자원순환' 캠페인 실시

빙그레가 전자제품 회수 및 재활용을 위한 자원순환 캠페인을 실시했다.빙그레는 14일 '국제 전자폐기물 없는 날'을 맞아 E-순환거버넌스와 함께 이번

'아시아 녹색금융 평가' 中은 1위인데...한국은 13개국 중 8위

아시아 13개국을 대상으로 진행한 녹색금융 평가에서 한국이 8위를 기록했다. 중국은 1위를 차지했다.14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차규근(조국혁신당) 의

LG전자 인도법인 '인도증시' 상장..."인도 국민기업으로 도약" 다짐

LG전자 인도법인이 14일(현지시간) 인도 증권시장에 상장했다.LG전자는 이날 인도 뭄바이 국립증권거래소(NSE)에서 조주완 CEO, 김창태 CFO, 전홍주 인도법

내년부터 기업 '온실가스 배출허용총량' 16.4% 줄어든다

내년부터 국내 기업들의 온실가스 배출허용 총량이 현재보다 16.4% 줄어든다.14일 기후에너지환경부는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국정감사에서 '

기후/환경

+

기후변화에 위력 커진 태풍...알래스카 마을 휩쓸었다

미국 알래스카 해안이 태풍 할롱에 초토화됐다. 폭풍으로 1명이 사망하고 2명이 실종됐으며 1500명 이상의 마을 주민이 이재민이 됐다.15일(현지시간) 알

올여름 52년만에 제일 더웠다...온열질환자 20% '껑충'

1973년 이후 가장 더웠던 올여름 온열질환자 수가 작년 대비 약 20% 증가했다. 2018년 이후 두 번째로 많은 수준이다. 질병관리청은 지난 5월 15일부터 9월 2

호주 열대우림, 탄소흡수원에서 '배출원' 됐다

기후가 점점 더 고온건조해지면서 탄소 흡수원인 열대우림이 역으로 탄소를 배출하는 기이한 현상이 나타났다.15일(현지시간) 호주 연구진은 호주 퀸

CO₂ 농도 사상 최고치…WMO “기후시스템, 위험단계로 다가서고 있다”

지구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며 기후시스템이 위험단계로 다가서고 있다고 세계기상기구(WMO)가 경고했다.15일(현지시간) AP통

200개 마을이 고립됐다...멕시코 몇일째 폭우로 피해 속출

기후변화로 인한 폭우가 멕시코 중부와 동부 지역을 강타하며 최소 66명이 숨지고 75명이 실종됐다.16일(현지시간) AP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멕시코 중

기후변화에 英 보험시장도 '지각변동'..."주택 수백만채 버려질 것"

기후변화로 홍수가 잦아지면서 미국에 이어 영국의 주택보험 시장도 지각변동이 예고되고 있다.14일(현지시간) 가디언은 영국 보험업계 분석을 인용해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