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전자가 30일 이사회를 열고 인도법인 지분 15% 구주 매각을 의결했다. 이를 통해 확보되는 자금은 1조8000억원으로 예상된다.
LG전자는 인도증권거래위원회(SEBI)에 최종 증권신고서를 제출할 계획이며, 이르면 내달 중 IPO 절차가 마무리될 전망이다.
매각 지분은 1억181만5859주로, 구체적인 처분일과 금액은 정해지지 않았다. LG전자는 인도증권거래위원회의 최종 승인 이후 공모가 밴드와 처분예정일자를 다시 공시할 예정이다.
앞서 LG전자는 지난해 12월 상장예비심사서류를 제출하며 상장 준비를 본격화하고 올 3월 인도증권거래위원회로부터 상장 예비승인을 받았다. 당초 이르면 상반기 중 상장이 진행될 것이라는 예상도 있었지만, 4월 말 인도 증시를 포함한 글로벌 시장 변동성 등을 고려해 상장 일정에 신중을 기해왔다고 회사는 설명했다.
LG전자 인도법인 상장은 신주발행 없이 지분 15%를 매각하는 구주매출로, 조달 금액이 100% 본사로 유입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LG전자는 이자비용 등 금융 리스크없이 대규모 현금 조달이 가능하다며 재무건전성을 크게 개선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현지매체 등에 따르면 공모 규모는 1150억 루피(한화 약 1조8000억원) 수준으로, LG전자 2분기 말 별도 기준 현금 및 현금성자산 1조1000억원을 훌쩍 넘어선다.
LG전자 인도법인의 예상 공모 규모를 고려하면 LG전자 인도법인의 시가총액은 12조원을 넘어설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는 인도 증시에 상장된 피어 그룹(비교기업)의 시가총액 규모와 비교할 때 상당히 높은 수준이다.
인도 증시에서 월풀 인도법인은 2조4000억원, 인도 타타그룹 계열 가전기업 볼타스는 7조2000억원 수준으로 시가총액이 평가된다.
IBK투자증권 김운호, 강민구 연구원은 지난 18일 발간한 기업분석 보고서에서 "4분기는 비수기이지만 인도법인 상장으로 현금흐름 대폭 개선이 기대된다"고 밝혔다. 앞서 올 2월 국제신용평가기관 무디스(Moody's) 역시 "향후 LG전자 인도법인 기업공개가 회사 재무지표를 더욱 강화하는 요인이 될 것"이라 언급했다.
한편 인도 자본시장 특수성을 활용해 자금을 조달하고 현지 사업을 가속화하는 글로벌 기업들은 점차 늘어나는 추세다. 월풀(가전), 오라클(IT), 무디스(신평), 스즈키자동차(자동차), 네슬레(식품) 등 글로벌 기업이 인도에 자회사를 상장하고 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