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질 벨렝에서 지난 22일(현지시간) 폐막한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 최종 합의문에는 화석연료뿐만 아니라 산림벌채 종식에 대한 로드맵도 빠져있어, 핵심의제가 후퇴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협상은 산유국의 강경한 반대로 인해 결렬 직전까지 갔지만, 각국은 최소한의 문구만 담은 채 합의문을 채택하면서 공동선언문 도출에 성공했다. 영국 에너지장관 에드 밀리밴드는 "우리가 원하는 것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1.5℃ 목표는 유지됐다"고 평가했지만, 회담 전체 분위기는 사실상 '타협과 후퇴'에 가까웠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선진국이 기후취약국에 제공하는 기후대응 재원을 기존보다 3배 확대하기로 한 내용은 진전을 이뤘지만 목표 시점이 2035년으로 늦춰지고 필요한 재원에 크게 못미친다는 점에서 비판이 이어졌다. 기후단체들은 "불타거나 침수되는 공동체를 외면한 결정"이라고 반발했다. 노동자·여성·원주민 등 취약집단을 보호하는 정의로운 전환(JTM)은 긍정적으로 평가됐지만, 이를 실행할 별도 재원은 빠졌다.
가장 큰 논란은 최종 문서에서 '화석연료'라는 표현이 완전히 사라졌다는 점이다. 약 90개국이 단계적 폐지 로드맵을 요구했지만, 사우디아라비아 등 산유국의 조직적 반대가 관철됐다. 문서에는 지난해 COP28의 'UAE 합의'에 대한 모호한 언급만 남았고, 전문가들은 이를 "화석연료 전환 언어의 의도적 희석"이라고 지적했다.
화석연료 로드맵은 결국 유엔(UN) 공식협상 틀 밖에서 자발적 연합 형태로 추진된다. 브라질은 콜롬비아·태평양 도서국 등 약 90개국과 함께 내년 4월 별도의 정상회의를 열어 독자 로드맵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회의 장소가 아마존이었던 만큼 '산림벌채 종식 로드맵'이 최종 합의문에 담길지에 대해서도 주목받았지만 포함되지 않았다. '산림벌채'는 당초 논의될 예정이었지만 화석연료 로드맵과 연동되면서 함께 빠졌다. 일각에서는 브라질 외교부의 전략적 실수라고 비판했다. 대신 브라질은 '열대우림 영구보전 기금(TFFF)'을 출범시켜 산림을 지키는 국가에 보상하는 모델을 제시했지만, 실효성은 향후 설계와 운영 투명성에 달렸다는 지적이 나온다.
결국 COP30은 가까스로 합의를 이뤘지만 기후위기의 핵심 축인 화석연료 감축과 산림파괴 중단을 최종 합의문에 담지 못한 채 마무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