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뷰티·푸드', 中 '광군제'서 훨훨 날았다

백진엽 기자 / 기사승인 : 2020-11-13 15:12:04
  • -
  • +
  • 인쇄
LG생건 아모레 제품, 예판 시작하자마자 판매 집중
라면·만두 등 K-푸드도 예년보다 더 큰 인기
중국 알리바바그룹의 쇼핑 행사인 광군제(11월11일)에서 K-뷰티, K-푸드 등 한류 열풍이 거세다. 특히 올해 광군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 억눌렸던 소비가 터져나오고, 국내 업체들도 마케팅에 주력해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할 전망이다.

13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올해 광군제 총 거래액은 3500억위안(약 59조원)을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광군제 거래액을 보면 2017년 1682억위안, 2018년 2135억위안, 2019년 2684억위안으로 매년 20~30% 증가세를 이어왔다. 특히 올해는 예년과는 달리 행사가 1·2차로 나뉘어 진행됐다. 지난 1~3일 1차 행사가, 11일 2차 행사가 열렸다.

◆K-뷰티, 예약판매 시작하자마자 작년 매출 넘겨

해마다 광군제에서 가장 인기를 끄는 한국 제품은 화장품이다. 화장품 업계에 따르면 LG생활건강의 '더 히스토리 오브 후'는 티몰의 광군제 1차 예약판매에서 행사 시작 11분 만에 매출 5억1100만위안(약 863억원)을 달성했다. 이는 지난해 전체 판매액을 초과하는 수치다. 아모레퍼시픽의 설화수는 예약판매 시작 3분 만에 1억위안(약 170억원) 정도의 매출을 올렸다.

업체들도 마케팅 강화에 나서며 매출 증대에 주력했다. LG생활건강은 티몰에 직영몰을 운영하는 브랜드를 중심으로 판매 강화에 나섰다. 광군제에 앞서 예약판매 기간부터 서울 도심과 궁을 배경으로 제작한 후 브랜드 영상을 티몰에서 선보이기도 했다.

아모레퍼시픽도 설화수 브랜드의 럭셔리 세트 4종·윤조에센스 한정판 2종 등을 광군제 전용 상품으로 기획했다. 라이브 방송 등 디지털 판매 방식에 익숙한 중국 젊은 층을 겨냥해 중국 소셜미디어인 샤오홍수·도우인·웨이보에서 인플루언서의 캠페인도 진행했다.

◆라면 등 K-푸드 인기로 식품업계 '싱글벙글'

라면, 만두, 컵밥, 죽 등 K-푸드도 인기를 끌면서 식품업체들도 광군제에서 예년보다 많은 매출을 올렸다.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광군제에서 국내 식품업체 중 가장 많은 매출을 올린 업체인 삼양식품은 올해 약 85억원의 매출을 기록한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해 광군제 매출 42억원의 2배 이상이다. 효자 상품은 '불닭볶음면'이다. 이 제품은 징동의 수입 라면 부문에서 1위에 올랐고, 알리바바에서도 즉석 라면 랭킹 4위를 기록했다.

CJ제일제당은 광군제 행사로 중국에서 52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23억원의 2.3배에 달하는 규모다. 비비고 만두는 현지 온라인 쇼핑몰 '티몰'에서 만두 부문 매출 1위를 기록하는 등 인기를 끌었다. 비비고 김치찌개 역시 징동에서 작년 동기 대비 매출이 310% 뛰었다.

농심은 광군제 당일인 지난 11일 하루 15억원에 달하는 매출을 올려 작년 광군제 때보다 30% 증가했다. 신라면·안성탕면·너구리 등 농심 대표 제품 8종으로 구성된 패키지 상품이 가장 많이 팔렸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삼성전자도 구글처럼 '워터 포지티브' 사업...환경부와 '신풍습지' 개선

기업이 사용하는 물보다 더 많은 물을 자연에 돌려보내는 '워터 포지티브' 사업이 국내에서 첫 착공식을 가졌다.환경부와 한국수자원공사는 2일 오후

마실 물도 부족한 강릉 시민들...지자체와 기업들 생수기부 '쇄도'

4개월 넘게 비가 내리지 않고 극심한 가뭄을 겪고 있는 강릉 시민들에게 전국 각처에서 생부 기부가 끊이지 않고 있다. 강릉시는 기부받은 생수를 취약

한국의 탄소발자국 검증제도, 이탈리아와 상호인정 첫 사례 탄생

우리나라가 이탈리아와 탄소발자국 상호협정을 체결한 이후 양국에서 상호인정을 받은 첫 사례가 나왔다.산업통상자원부는 국내 기업 지클로(G.CLO)의

[신간] ESG 전략 마스터 클래스: 실전 가이드

전략(S)–공시(D)–성과(P)를 연결하는 ESG 설계 기준서가 출간됐다. 이 책은 ESG 전략이 의무공시 체계에 부합하고 기업가치 제고의 실질적 도구로

KCC·효성중공업 건설PU '콘크리트 탄산화' 억제해 건물 부식 예방한다

응용소재화학기업 KCC가 효성중공업 건설PU와 손잡고 콘크리트 건축물의 탄산화를 억제해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융복합 기술을 공동 개발했다고 29일

HD현대오일뱅크, 폐수 처리비 450억 아끼려다 1761억 과징금 '철퇴'

환경부가 특정수질유해물질인 페놀이 함유된 폐수를 불법적으로 배출한 HD현대오일뱅크에 대해 '환경범죄 등의 단속 및 가중처벌에 관한 법률'(이하

기후/환경

+

"올가을 '라니냐' 발생률 55%"...韓 고온다습한 가을?

올가을 '라니냐'가 발생할 확률이 55%로 전망됐다.세계기상기구(WMO)는 2일 엘니뇨·라니냐 전망에서 9∼11월 라니냐가 발생할 확률을 55%, 라니냐도

내년도 환경부 예산안 15.9조...탈탄소와 기후대응에 중점투자

2026년도 환경부 예산 15조9160억원 가운데 36.4%인 5조8000억원이 기후재난 대응 등 사회안전망을 조성하는데 사용되고, 34.5%인 5조5000억원이 재생에너지와

'전국 지하수 지도' 36년만에 완성...환경부, 3일 선포식

전국 '지하수 지도'가 36년만에 완성됐다. 정부가 전국 지하수 지도를 만드는 기초조사를 시작한 시점은 1990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정부는 지하

마실 물도 부족한 강릉 시민들...지자체와 기업들 생수기부 '쇄도'

4개월 넘게 비가 내리지 않고 극심한 가뭄을 겪고 있는 강릉 시민들에게 전국 각처에서 생부 기부가 끊이지 않고 있다. 강릉시는 기부받은 생수를 취약

한밤중에 건물이 '와르르'...아프간 규모6 지진에 800명 넘게 사망

오랜 전쟁으로 고통받고 있는 아프가니스탄에서 규모 6 지진이 발생하면서 수백명의 사람들이 사망하는 일이 벌어졌다.1일(현지시간) AFP통신은 전날

한국의 탄소발자국 검증제도, 이탈리아와 상호인정 첫 사례 탄생

우리나라가 이탈리아와 탄소발자국 상호협정을 체결한 이후 양국에서 상호인정을 받은 첫 사례가 나왔다.산업통상자원부는 국내 기업 지클로(G.CLO)의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