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뷰티·푸드', 中 '광군제'서 훨훨 날았다

백진엽 기자 / 기사승인 : 2020-11-13 15:12:04
  • -
  • +
  • 인쇄
LG생건 아모레 제품, 예판 시작하자마자 판매 집중
라면·만두 등 K-푸드도 예년보다 더 큰 인기
중국 알리바바그룹의 쇼핑 행사인 광군제(11월11일)에서 K-뷰티, K-푸드 등 한류 열풍이 거세다. 특히 올해 광군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 억눌렸던 소비가 터져나오고, 국내 업체들도 마케팅에 주력해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할 전망이다.

13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올해 광군제 총 거래액은 3500억위안(약 59조원)을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광군제 거래액을 보면 2017년 1682억위안, 2018년 2135억위안, 2019년 2684억위안으로 매년 20~30% 증가세를 이어왔다. 특히 올해는 예년과는 달리 행사가 1·2차로 나뉘어 진행됐다. 지난 1~3일 1차 행사가, 11일 2차 행사가 열렸다.

◆K-뷰티, 예약판매 시작하자마자 작년 매출 넘겨

해마다 광군제에서 가장 인기를 끄는 한국 제품은 화장품이다. 화장품 업계에 따르면 LG생활건강의 '더 히스토리 오브 후'는 티몰의 광군제 1차 예약판매에서 행사 시작 11분 만에 매출 5억1100만위안(약 863억원)을 달성했다. 이는 지난해 전체 판매액을 초과하는 수치다. 아모레퍼시픽의 설화수는 예약판매 시작 3분 만에 1억위안(약 170억원) 정도의 매출을 올렸다.

업체들도 마케팅 강화에 나서며 매출 증대에 주력했다. LG생활건강은 티몰에 직영몰을 운영하는 브랜드를 중심으로 판매 강화에 나섰다. 광군제에 앞서 예약판매 기간부터 서울 도심과 궁을 배경으로 제작한 후 브랜드 영상을 티몰에서 선보이기도 했다.

아모레퍼시픽도 설화수 브랜드의 럭셔리 세트 4종·윤조에센스 한정판 2종 등을 광군제 전용 상품으로 기획했다. 라이브 방송 등 디지털 판매 방식에 익숙한 중국 젊은 층을 겨냥해 중국 소셜미디어인 샤오홍수·도우인·웨이보에서 인플루언서의 캠페인도 진행했다.

◆라면 등 K-푸드 인기로 식품업계 '싱글벙글'

라면, 만두, 컵밥, 죽 등 K-푸드도 인기를 끌면서 식품업체들도 광군제에서 예년보다 많은 매출을 올렸다.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광군제에서 국내 식품업체 중 가장 많은 매출을 올린 업체인 삼양식품은 올해 약 85억원의 매출을 기록한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해 광군제 매출 42억원의 2배 이상이다. 효자 상품은 '불닭볶음면'이다. 이 제품은 징동의 수입 라면 부문에서 1위에 올랐고, 알리바바에서도 즉석 라면 랭킹 4위를 기록했다.

CJ제일제당은 광군제 행사로 중국에서 52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23억원의 2.3배에 달하는 규모다. 비비고 만두는 현지 온라인 쇼핑몰 '티몰'에서 만두 부문 매출 1위를 기록하는 등 인기를 끌었다. 비비고 김치찌개 역시 징동에서 작년 동기 대비 매출이 310% 뛰었다.

농심은 광군제 당일인 지난 11일 하루 15억원에 달하는 매출을 올려 작년 광군제 때보다 30% 증가했다. 신라면·안성탕면·너구리 등 농심 대표 제품 8종으로 구성된 패키지 상품이 가장 많이 팔렸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궁금;이슈] 경찰 출두한 방시혁...투자자에게 IPO계획 숨겼다?

글로벌 스타 방탄소년단(BTS)를 탄생시킨 하이브의 방시혁 의장이 투자자들에게 기업공개(IPO) 계획을 숨기고 지분 매각을 유도했다는 혐의를 조사받기

해군 입대한 이재용 삼성 회장 장남...해군 통역장교로 복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장남 이지호(24)씨가 15일 해군 장교로 입대했다. 2000년 미국에서 태어나 한국과 미국 복수 국적을 가지고 있던 이씨는 해군 장

신규 원전건설 백지화 시사한 환경장관 "탈원전은 아냐"

곧 출범할 기후에너지환경부를 이끌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새로운 원전을 짓는 데 대해 국민 공론화를 통한 재논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신규 원전을 추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기후/환경

+

'2035 NDC' 뜸 들이는 EU...기후 선도그룹 위상 '흔들'

유럽연합(EU)이 올해 유엔(UN)에 제출해야 할 '2035 국가온실가스감축계획(NDC)'에 대한 감축목표를 기한내에 확정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다. 회

태양빛으로 방사능 오염된 토양 정화하는 '인공식물' 개발

태양빛으로 방사능에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는 인공식물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울산과학기술원(DGIST) 화학물리학과 김성균 교수연구팀은 태

강릉 저수율 16.5%까지 상승...수요일 또 강릉에 '반가운 비'

강릉 시민들의 생활용수 87%를 공급하는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이 16일 오전 6시 기준 16.5%를 기록했다. 주말 전후 오봉저수지 인근에 내린 81㎜의 비가 지

폭염 극심했던 유럽...올해 이상기후로 입은 피해 '70조원'

올해 극한기후로 인해 유럽이 약 430억유로(약 70조원)의 피해를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독일 만하임대학과 유럽중앙은행(ECB) 연구팀은 올여름 폭염과 가

"2035년 NDC 61.2% 정해야...산업 경쟁력 강화할 기회"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2018년 대비 최소 61.2%로 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15일 국회 기후행동의원모임 '비상'은 성명을 통해 "20

환경부 '낙동강 녹조' 독성조사 착수...공기중 조류독소도 조사

환경부가 환경단체와 함께 낙동강 녹조 조사에 착수한다.환경부는 15일 오후부터 낙동강네트워크, 환경운동연합과 낙동강 녹조 심화지역에 대한 조류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