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해 연안 돌고래 80마리 사체로 발견…러·우 전쟁 소음이 원인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2-05-12 16:18:21
  • -
  • +
  • 인쇄
흑해 군함과 군사작전 등으로 수중소음 발생
해양생물 소음 피해 서식지 이동하면서 폐사
▲흑해 연안에 떠밀려온 돌고래 사체. 우크라 전쟁에 따른 군사활동으로 흑해 북부에서 소음공해가 증가하면서, 비정상적으로 많은 수의 고래들이 좌초되거나 어망에 걸리고 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사진=투다브)

최근 흑해 연안에서 돌고래 폐사율이 증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이 원인 중 하나로 지적되고 있다.

10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지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시작된 이래 터키 흑해 연안에서 돌고래(델피누스 델피스) 폐사가 증가했다고 보도했다.

터키해양연구재단 투다브(Tudav)의 조사에 따르면 흑해 서부 전역에서 80마리 이상의 돌고래 개체가 사체로 발견됐다. 이는 비정상적인 수치다. 투다브 측은 이 돌고래들 중 약 절반이 어망에 걸려 죽었다고 밝혔다. 나머지 절반은 사체에서 그물이나 총상 흔적을 찾을 수 없어 사망 원인이 밝혀지지 않고 있다.

과학자들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이 그 원인이 될 수 있다고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약 20척의 러시아 해군함정과 계속되는 군사활동으로 흑해 북부에서 소음공해가 증가하면서, 많은 수의 고래들이 남쪽 터키와 불가리아 해안으로 밀려나 좌초되거나 어망에 걸리고 있다는 시각이다.

바이람 외츠튀르크(Bayram Öztürk) 투다브 의장 또한 청각상해의 가능성을 제기했다. 그는 "이렇게 많은 선박과 소음이 오래 지속된 경우는 이례적인 일"이라며 "수중저주파탐지기가 흑해에서 무슨 일을 일으킬 수 있는지에 대한 증거가 없다"고 우려했다.

해군은 음파탐지기(sonar)로 먼 거리에서 적의 잠수함을 탐지한다. 문제는 해양포유류가 의사소통 및 기타 기능을 소리에 의존해 수중소음이 발생하면 이들에게 심각하고 치명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파벨 골딘(Pavel Gol'din) 우크라이나 국립과학원 박사는 좌초현상의 원인이 주로 청각적 외상에 있으며, 특히 군사활동으로 인한 지속적인 수중소음이 돌고래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했다. 그는 "수중소음이 어류와 고래류가 남쪽으로 대거 이동하는 원인일 수 있다"며 "수중소음은 동물을 직접 죽이지는 않지만 돌고래를 비롯한 해양생물들이 소음을 피하려고 낯선 지역으로 이동하게 만들어 생물종을 심각하게 교란하고 해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디미타르 포포프(Dimitar Popov) 불가리아 환경보호단체 그린발칸스(Green Balkans) 프로젝트매니저도 이 이론에 동의했다. 그는 불가리아해역의 흑해쇠돌고래(Phocoena phocoena relicta)들에서 비슷한 경향을 발견했다고 전했다.

그린발칸스는 4년 동안 가자미어업에서의 고래어획량을 감시해 왔다. 관찰에 의하면 봄철 고래어획량이 가장 적었으며 여름에 최고조로 달했다. 그러나 포포프는 지금까지의 경향과 달리 이번 봄에는 50마리의 고래가 72km 길이의 그물에 얽혀 2019년 여름 최고치에 근접했다고 밝혔다.

과학자들은 전쟁 중 해양포유류 보호프로토콜이 없어 관련 조사에 차질을 빚고 있다고 전했다. 외츠튀르크 박사는 "흑해에는 수십 척의 선박이 있지만 이들이 소나를 얼마나 자주 사용하는지도 모른다"고 말했다.

과학자들은 정보 접근성 부족이 고래의 폐사에 대한 연구를 방해할 뿐만 아니라 어떤 동물이 가장 위험에 처해 있는지 추적하기 어렵게 만든다고 호소했다. 여기에는 흑해에서 전쟁으로 피해를 입은 쇠돌고래와 흑해 북부 습지에서 일 년의 일부를 보내는 철새들이 포함될 가능성이 높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우리은행, 해양 생태계 보호를 위해 '플로깅' 봉사활동

우리은행이 해양 생태계 보호를 위해 플로깅 봉사에 나섰다고 12일 밝혔다.우리은행의 직원 사회공헌 커뮤니티 'WOORI 가족봉사단' 은 지난 10일 인천 을

KB국민은행, 2027년까지 3만㎡ '바다숲' 조성한다

KB국민은행은 5월 10일 '바다식목일'을 맞아 오는 2027년까지 3만제곱미터(㎡)의 바다숲을 조성하는 'KB바다숲 프로젝트'를 진행한다고 12일 밝혔다.바다는

대한항공, 캐나다 2위 항공사 '웨스트젯' 지분 10% 인수

대한항공이 캐나다 2위 항공사 지분 10%를 인수하며, 글로벌 항공사로서의 입지를 다지고 있다.대한항공은 9일 오전 이사회를 열고 캐나다 웨스트젯 항

현대百 등 4개 계열사 자사주 취득..."주주가치 제고 차원"

현대백화점그룹이 현대백화점과 현대그린푸드 등 계열사 4곳의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약 300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추가 취득하기로 했다.현대백화점은

빙그레 대표이사에 ㈜제때 김광수 사장 내정

빙그레가 신임 대표이사에 ㈜제때의 김광수 대표이사를 내정했다고 9일 밝혔다.빙그레는 전창원 현 대표이사가 최근 개인적인 이유로 자진 사임 의사

LG화학, 협력사 탄소중립 지원 소매걷었다..."ESG경영 실천"

LG화학이 협력사의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본격적으로 나선다.LG화학은 9일 '탄소중립 선도플랜트 구축 지원' 사업을 통해 우수 협력사인 우성케미칼의

기후/환경

+

美중부지역 '4일간 비가 내릴 가능성' 40% 높아졌다

기후변화로 인해 미국 중부지역에서 나흘간 연속적으로 비가 내일 가능성이 40% 더 높아졌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기후연구단체 세계기상특성(WWA)이 9

美 15개 주 '반기'...트럼프 '에너지 비상사태' 명령에 공동소송

미국의 15개 주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에너지 비상사태' 행정명령에 반대하며 9일(현지시간) 연방법원에 공동소송을 제기했다. 해당 행정명령이

플라스틱 속 화학물질...카페인처럼 수면을 방해한다고?

플라스틱을 생산할 때 사용되는 화학물질이 인체의 생체시계를 최대 17분까지 지연시켜 수면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최근 노르웨

[새 정부에 바란다] "기후경제부 중심으로 녹색산업 성장시켜야"

올 3월 역대급 산불피해가 발생했듯이,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는 이미 우리나라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에 사회적 피해를 최소화하고 이를 국

탄소배출권 거래제의 구멍?...탄소 줄고 독성물질 40% 증가

탄소배출권 거래제가 온실가스 감축에는 기여했지만 예상치 못한 또다른 환경문제를 유발할 수 있는 허점이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한국과학기술원(

"보험료 산정 어쩌나?"...美 NOAA, 기후손실액 추산 '올스톱'

미국의 국립해양대기청(NOAA)이 기후재난에 의한 손실액을 더이상 추산하지 않을 전망이다. 국립해양대기청(NOAA)은 미국 상무부 산하기관으로, 일일 기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