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얗게 변한 뉴질랜드 해면체...40년만의 해양폭염이 원인?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2-05-17 13:29:06
  • -
  • +
  • 인쇄
진한 갈색인 해면이 뼈처럼 하얗게 변해
연구진 "표백된 해면체 수십만마리 넘어"


해양수온의 이상상승으로 표백된 바다해면이 뉴질랜드 남부 연안에서 처음으로 발견됐다.

16일(현지시간) 뉴질랜드 빅토리아대학교 웰링턴 연구진은 뉴질랜드 피오르드랜드의 브릭시사운드와 다우트풀사운드 근처 연안 12군데 이상에서 일반적으로 진한 갈색인 해면이 뼈처럼 하얗게 표백된 상태로 발견됐다고 보고했다.

제임스 벨(James Bell) 빅토리아대학 해양생물학 교수는 "일부 지역의 경우 무려 95%의 해면이 표백됐다"고 밝혔다. 그는 "4월 연구여행 도중 이런 표백현상을 발견했다"며 "표백된 해면체가 적어도 수십만 마리 이상일 것"으로 추정했다.

연구진은 표백과 수온 상승 사이에 '매우 강한 상관관계'를 관찰했다. 벨 교수는 "해양수온이 표백의 원인인지 확실히 규명하려면 추가연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표백화된 해면 종은 뉴질랜드에서 발견되는 800여종의 해면 가운데 하나로 뉴질랜드 남부에서 흔히 볼 수 있다.

해면은 물고기의 서식지를 형성하고 다른 종들이 먹이로 삼는 탄소를 배출해 해양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한다. 게다가 해면은 일반적으로 산호 등 다른 종에 비해 해양변화에 잘 견디는 경향이 있어 이번 현상은 매우 이례적인 사건이다.

벨 교수는 "올초에도 태즈메이니아 해안을 포함해 해면 표백현상이 보고됐다"며 이는 "우리가 직면한 기후위기의 한 종류를 강조한다"고 말했다.

지난 2021년 전세계 바다는 기후변화로 인해 역사상 가장 높은 수온을 기록했다. 뉴질랜드 국립수자원대기연구소(National Institute for Water and Atmospherics)는 4월 뉴질랜드 해안수온이 예년의 평균보다 2.6℃까지 올라가는 등 계절에 맞지 않는 이상온도 현상을 보였다고 발표한 바 있다.

롭 스미스(Rob Smith) 뉴질랜드 오타고대학 해양학자는 피오르드랜드가 평년보다 최고 5℃ 상승하면서 다른 지역보다도 훨씬 높은 수온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40년만에 가장 강한 해양폭염이다. 이렇듯 해양수온이 오르면 바다가 산화되고 산호초와 생태계가 악화될 위험이 커진다.

벨 교수는 "해면들이 죽지 않을 것이라는 희망은 있지만, 상태가 좋지 않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신규 원전건설 백지화 시사한 환경장관 "탈원전은 아냐"

곧 출범할 기후에너지환경부를 이끌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새로운 원전을 짓는 데 대해 국민 공론화를 통한 재논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신규 원전을 추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한은 "극한기후가 물가상승 야기…기후대응 없으면 상승률 2배"

폭우나 폭염과 같은 극한기후고 소비자물가에 단기적인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1년 넘게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기후변화

기후/환경

+

"환경장관 약속 못믿어"...세종보 천막농성 철회 안한다

4대강 보 철거를 요구하며 금강 세종보에서 500일간 농성했던 환경단체들이 농성을 중단하기로 했다가 이를 철회했다.11일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직접

화석연료 기업들 내뿜는 탄소...치명적인 폭염을 낳았다

엑손모빌 등 석유 대기업들의 탄소배출량이 2000년 이후 전세계에서 발생했던 수십건의 폭염과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있다는 사실이 처음으로 밝혀졌다

강릉 식수원 고갈 일보직전 '비소식'...이틀간 20~60㎜ 내린다

강릉 시민들의 식수원으로 쓰이는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이 11일 오전 8시 기준 11.8%까지 낮아진 가운데 토요일인 13일 동해안에 비가 내린다는 소식이다.

1.5℃ 임계점 넘었나?...전세계 산호 84% 하얗게 변했다

전세계 바다의 산호초 84%가 해양폭염으로 백화 현상을 겪는 등 최근 해양생태계가 전례없는 위기를 맞고 있다. 미국 해양대기청(NOAA)이 지난 2일 발표

바다커튼·유리구슬...지구공학 방법론 온난화 억제 "효과없다"

지구공학 기술을 이용해 지구온난화를 대처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온난화를 막기는커녕 오히려 환경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평가다.영국 엑스터대학 마

경기도민 89% "기후위기 심각…적극대응 필요하다"

경기도민 10명 중 9명이 기후위기 심각성을 인지하며 이에 대한 정부와 지자체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경기도는 지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