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0년 역사상 전례없는 일"...스페인·포르투갈·이탈리아 '가뭄과의 전쟁'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2-07-05 13:51:58
  • -
  • +
  • 인쇄
스페인·포르투갈, 1200년만의 최악 가뭄
이탈리아, 70년만의 가뭄 '비상사태' 선포


기후변화로 스페인과 포르투칼, 이탈리아 등 유럽 남부지역이 역대급 가뭄에 시달리고 있다.

스페인과 포르투갈은 1200년만에 최악의 가뭄이 찾아왔고, 이탈리아 역시 70년만의 가뭄을 해결하기 위해 물사용을 제한하는 등 비상사태가 선포된 상태다.

스페인과 포르투갈이 속한 이베리아 반도는 겨울철 대서양에서 밀려오는 습한 저기압의 영향으로 비가 내리는 지역이다. 그런데 '아조레스 고기압'(Azores high)으로 불리는 연안 고기압의 발생빈도가 증가하면서 겨울철 대서양에서 밀려오는 저기압 전선을 차단하면서 비가 내리지 않고 있다. 이로 인해 스페인과 포르투칼은 가뭄이 심각해지면서 농업과 관광에 큰 타격을 입고 있다.

4일 네이처 지오사이언스(Nature Geoscience)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아조레스 고기압의 빈도는 1850년 이전 10분의 1에서 1850~1980년 7분1, 1980년 이후 4분1로 급격히 증가했다. 이로 인해 대서양 저기압 전선이 북쪽으로 밀려나면서 영국 북부와 스칸디나비아에 폭우가 내릴 가능성이 증가했다. 또 거대한 아조레스 고기압이 발생한 해에는 겨울철 월평균 강우량이 약 3분1로 줄었다.

연구진은 아조레스 고기압의 빈도가 증가하는 원인이 기후변화일 가능성을 제기했다. 캐롤라인 엄멘호퍼(Caroline Ummenhofer) 미국 우즈홀해양학연구소(Woods Hole Oceanographic Institution) 박사는 "지난 100년간 증가한 아조레스 고기압의 빈도는 이전 1000년 역사에서 전례없는 일"이라고 밝혔다.

엄멘호퍼 박사는 이 원인에 대해 "탄소배출로 인한 지구온난화로 이베리아 반도와 지중해가 상대적으로 건조해졌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연구진은 전세계 탄소배출량이 0으로 줄어들 때까지 아조레스 고기압이 이베리아 반도의 가뭄을 지속적으로 가중시킬 것으로 내다봤다.

실제로 최근 몇 년동안 이베리아 반도는 폭염과 가뭄이 크게 증가했다. 특히 스페인은 올 5월에 역대 최고기온을 기록했다. 환경운동가들은 기후위기로 스페인 폭염 발생가능성이 10배 더 높아지면서 이베리아 반도에서 가장 긴 타구스강이 완전히 말라버릴 위험에 처했다고 경고했다.

폭염이 덮친 스페인은 1950년 이후 해마다 강수량이 5~10mm씩 감소하고 있다. 지금 추세라면 금세기말에 겨울 강우량이 10~20% 더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갈수록 물 부족이 심각해지면서 스페인 남부 올리브 생산량은 2100년까지 30% 감소하고, 이베리아 반도 전역의 포도 재배지가 2050년까지 25%~99%까지 감소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탈리아의 가뭄 상황도 심각하다. 이탈리아 포 강과 동부 알프스 분지의 가뭄으로 에밀리아로마냐, 프리울리베네치아줄리아, 롬바르디아, 피에몬테, 베네토 등 5개 지역에 비상령이 내려진 상태다. 베네토의 베로나를 포함한 북부 일부 도시와 마을은 물 사용까지 제한됐다. 논, 농장, 소의 방목지 관개용수를 제공하는 포 강은 70여년 만에 가장 낮은 수위를 기록하고 있다. 올해 이탈리아 강우량은 지난 30년의 평균의 절반에 불과하다. 

게다가 이탈리아의 역대급 온도상승은 알프스 돌로미티 산맥의 최고봉인 마르몰라다산의 빙하까지 붕괴시켰다. 해방 3343m에 이르는 마르몰라다산은 한여름에도 만년설로 덮혀있던 곳인데, 느닷없이 무너져 내린 것이다. 이 붕괴로 등산객 7명이 사망하고, 수십명의 사상자를 냈다. 견고하기로 유명한 이 산의 빙하 꼭대기 온도는 평소 0℃였지만 사고 전날 10℃까지 올라간 것으로 관측됐다.

가뭄은 이탈리아 중남부에도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 로마 티베르강의 수위도 낮아지면서 강바닥에 서식하는 수초들이 수면까지 노출됐다. 줄리오 벤단디(Giulio Bendandi) 뱃사공은 "이곳에서 40년 살면서 티베르강이 이런 적은 처음"이라고 말했다.

현재 이탈리아 정부는 가뭄 피해를 입은 이탈리아 북부 대부분 지역에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농경지역에 3650만유로(약 3800만달러)를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현대이지웰, 글로벌ESG 평가기관에서 '우수기업' 인증획득

현대이지웰이 글로벌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평가기관에서 우수기업을 인증하는 '브론즈' 메달을 받았다.현대백화점그룹 계열 토탈복지솔

[궁금;이슈] 경찰 출두한 방시혁...투자자에게 IPO계획 숨겼다?

글로벌 스타 방탄소년단(BTS)를 탄생시킨 하이브의 방시혁 의장이 투자자들에게 기업공개(IPO) 계획을 숨기고 지분 매각을 유도했다는 혐의를 조사받기

해군 입대한 이재용 삼성 회장 장남...해군 통역장교로 복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장남 이지호(24)씨가 15일 해군 장교로 입대했다. 2000년 미국에서 태어나 한국과 미국 복수 국적을 가지고 있던 이씨는 해군 장

신규 원전건설 백지화 시사한 환경장관 "탈원전은 아냐"

곧 출범할 기후에너지환경부를 이끌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새로운 원전을 짓는 데 대해 국민 공론화를 통한 재논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신규 원전을 추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기후/환경

+

구글 DC 하나가 57만톤 배출?…AI로 英 탄소감축 '빨간불'

영국에 설립될 구글의 신규 데이터센터(DC)가 연간 57만톤의 온실가스를 배출할 것으로 추정되자, 환경단체와 기후전문가들이 환경 영향에 대해 강력히

인천 온실가스 49% 비중 영흥화력..."2030년 문 닫아야" 촉구

수도권 내 유일한 석탄발전소인 인천 영흥화력발전소의 2030년 폐쇄를 촉구하는 시민사회 목소리가 모였다. 기후위기인천비상행동과 전국 시민연대체

'2035 NDC' 뜸 들이는 EU...기후 선도그룹 위상 '흔들'

유럽연합(EU)이 올해 유엔(UN)에 제출해야 할 '2035 국가온실가스감축계획(NDC)'에 대한 감축목표를 기한내에 확정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다. 회

태양빛으로 방사능 오염된 토양 정화하는 '인공식물' 개발

태양빛으로 방사능에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는 인공식물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울산과학기술원(DGIST) 화학물리학과 김성균 교수연구팀은 태

강릉 저수율 16.5%까지 상승...수요일 또 강릉에 '반가운 비'

강릉 시민들의 생활용수 87%를 공급하는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이 16일 오전 6시 기준 16.5%를 기록했다. 주말 전후 오봉저수지 인근에 내린 81㎜의 비가 지

폭염 극심했던 유럽...올해 이상기후로 입은 피해 '70조원'

올해 극한기후로 인해 유럽이 약 430억유로(약 70조원)의 피해를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독일 만하임대학과 유럽중앙은행(ECB) 연구팀은 올여름 폭염과 가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