꿀벌 죽인 농약이…탯줄 타고 태반서도 검출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2-11-30 15:13:30
  • -
  • +
  • 인쇄
中연구팀 "네오니코티노이드 검출률 84%"
국내 살충제 남용에 신생아 발달 장애 우려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의 높은 태반 통과 가능성 (사진=미국화학협회 환경과학기술)

올초 꿀벌 집단폐사의 주요 원인 가운데 하나로 의심 받는 네오니코티노이드 계열 농약이 사람의 탯줄을 타고 태아에게까지 전달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중국 광저우 중산대학교 환경과학·공학과 연구진은 임산부 태반과 탯줄의 혈청 속에 있는 네오니코티노이드 계열 살충제 성분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실험에 참여한 95명의 임산부에게서 1가지 이상의 살충제 또는 대사산물(인체 내의 대사과정을 거쳐 특정 성분이 분해되면서 나오는 물질)이 검출됐다.

검출된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 성분은 아세타미프리드(ACE), 이미다클로프리드(IMI), 티아클로리드(THD), 클로티아니딘(CLO), 티아메톡삼(THM) 등이고, 해당 살충제의 대사산물은 엔-데스메틸-아세타미프리드(N-dm-ACE)와 올레핀-이미다클로프리드(of-IMI) 등 2종이다.

이 가운데 IMI는 독성이 가장 강해 캐나다에서는 수생생물을 보호하기 위해 지표수 수질기준에 IMI 농도 허용치를 규정하고 있다. 그런데 IMI의 검출률은 산모 혈청에서 78%, 탯줄 혈청에서 84%로 7가지 성분 가운데 가장 높은 확률로 나타났다. 농도로 살펴봤을 때에도 IMI는 산모 혈청에서 0.79ng/ml, 탯줄 혈청에서 1.84ng/mL로 가장 높은 중간값이 나타났다.

연구팀은 산모 혈청과 제대 혈청의 농도를 비교해 살충제 성분이 태반으로 전이되는 '이동 효율'(TTE)를 계산했다. 전체 7가지 성분의 TTE 중간값을 1로 놓고 봤을 때 IMI는 이를 한참 웃도는 '1.61'에 달했다. 탯줄 혈청의 농도가 산모 혈액 속 농도보다 높아 태반을 손쉽게 통과하면서 오히려 태아에 IMI가 더 많이 농축됐을 수 있다는 것이다.

네오니코티니오이드계 살충제의 대사산물은 순수한 니코틴만큼의 독성이 있어 인간의 신경 세포도 손상시킬 수 있다. 해당 물질은 도파민에 민감한 신경 세포의 수용체에 결합해 기능을 방해한다. 조기 노출되면 자폐 스펙트럼 장애나 선천성 심장 문제 등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된 바 있다. 이번 연구로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 남용이 신생아의 발달 장애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는 벼와 과수농사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다양한 작물의 진딧물, 총채벌레, 벼멸구, 벼물바구미, 꽃매미 등의 방제용 약제로 많이 판매되고 있어 지난 2021년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의 국내 판매액은 1426억원 규모로 전체 살충제 판매량의 22.7%를 차지했다.

연구진은 "탯줄 혈청에 대사산물 검출량이 높은 이유는 태반에 살충제를 전환하는 효소가 있기 때문"이라며 "대사산물인 N-dm-ACE 역시 살충제인 ACE보다 독성이 심하다고 알려진 만큼 원래 살충제에 노출되는 것과 맞먹는 위험으로 간주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해당 연구논문은 지난 29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미국화학협회(ACS) 환경 과학 기술'(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에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우리금융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SBTi 인증 탄소감축 목표 달성 공시

우리금융그룹이 지난해 지속가능경영 성과를 담은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30일 발간했다. 이번 보고서는 투자자 등 이해관계자의 요구사항을 반

LG에너지솔루션 'ESG 리포트 2024' 발간..."협력사도 탄소관리"

LG에너지솔루션이 2024년 한 해 동안의 ESG 경영 활동 및 성과를 담은 'ESG 리포트'를 발간했다고 30일 밝혔다.이번 리포트에는 △탄소 네거티브 전략 △협

구글 '스코프3 배출량 억제 어려워"...공급망 배출량 1년새 22% 증가

인공지능(AI)의 전력 수요가 급증하면서 구글의 탄소배출량이 전년 대비 11%, 2019년 이후 51% 증가했다.구글은 에너지 수요가 증가하면서 전력소비량이

LG전자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폐기물 재활용률 97.4%

LG전자가 오는 2030년까지 추진하고 있는 온실가스 저감 및 폐기물 재활용률 목표 등을 담은 '모두의 더 나은 삶(Better Life for All)'을 실현하기 위한 노력

하이브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윤리경영과 정보보안 강화

하이브가 '지속가능한 엔터테인먼트를 위하여'라는 비전 하에 회사의 지속가능경영 실현을 위한 활동과 성과를 담은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30일

오뚜기 '2025 지속가능경영 보고서' 발간...친환경 매출비중 11.28%

오뚜기가 2024년 한해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성과와 향후 전략을 담은 '2025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보고서

기후/환경

+

구글 '스코프3 배출량 억제 어려워"...공급망 배출량 1년새 22% 증가

인공지능(AI)의 전력 수요가 급증하면서 구글의 탄소배출량이 전년 대비 11%, 2019년 이후 51% 증가했다.구글은 에너지 수요가 증가하면서 전력소비량이

지난해 한반도 이산화탄소 농도 관측 이래 '최고치'

지난해 한반도 이산화탄소 배경농도가 관측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기상청 국립기상과학원이 30일 발간한 '2024 지구대기감시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강릉 가시연습지·경포호, 7월 '이달의 생태관광지' 선정

환경부가 7월 '이달의 생태관광지'로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에 위치한 '강릉 가시연습지·경포호'를 선정했다고 30일 밝혔다.강릉 가시연습지·

韓 국외 메탄배출량 4670만톤..."석유·가스 수입시 메탄기준 도입해야"

우리나라가 국외에서 배출하는 메탄량이 국내 배출량의 10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나, 연간 5000만톤에 육박하는 '국경밖 메탄'을 규제하면 2100년까지

"버려진 일회용 마스크, 땅속 생명까지 위협한다"

전세계에서 사용되고 버려진 수십억개의 일회용 마스크가 토양 생태계를 심각하게 훼손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30일 광주과학기술원(GIST) 환경&midd

덴마크가 의장국 되는 EU...'그린딜' 후퇴 제동 걸리나?

덴마크가 오는 7월부터 유럽연합(EU) 이사회 의장국에 오르며, 자국의 기후정책을 농업 분야까지 확대시키려는 행보에 나설 전망이다. 최근 환경규제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