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꿀벌 살리기' 나섰다...세계 최초 '꿀벌용 백신' 허가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3-01-06 10:16:26
  • -
  • +
  • 인쇄
美 '미국 부저병' 예방백신 조건부 사용 승인
주사가 아닌 다음세대 항체 형성시키는 방식
(사진=Inside The Hive TV 유튜브 캡처)


미국에서 세계 최초로 '꿀벌용 백신' 사용이 허가됐다.

4일(현지시간) 미국 농무부(USDA)는 미국 생명공학기업 달란 애니멀 헬스'(Dalan Animal Health)가 개발한 '미국 부저병'(AFB) 백신 사용을 조건부로 승인했다. 꿀벌 예방백신 사용이 허가된 것은 세계 처음이다.

'미국 부저병'은 꿀벌에게 가장 치명적인 세균성 질병으로, 최근 기후위기로 꿀벌 면역성이 저하되면서 전세계로 급속하게 번지고 있다. 이에 미국 정부는 꿀벌 개체수 감소로 식량안보까지 위협받을까 우려해 백신사용을 허가함으로써 꿀벌살리기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미국 부저병'은 꿀벌 애벌레에 병원균이 침투해 몸을 썩게 만드는 질병이다. 감염된 애벌레는 악취가 나는 갈색 액체로 문드러진다. 이로 인해 벌집과 봉군이 무너지고 종국에는 군락 전체가 말라죽는다. 감염이 확인되는 즉시 벌집과 양봉기구를 통째로 불태워야 한다. 

미국은 현재 전체 꿀벌 군락의 4분의 1이 이 질병에 감염된 것으로 보고됐다. 우리나라에서도 1950년 중부지방에서 처음 발생해 당시 국내 양봉을 궤멸시킬 정도의 피해를 입힌 바 있다.

'미국 부저병'은 아직 치료제가 없기 때문에 '예방'이 중요하다. 달란 애니멀 헬스가 개발한 꿀벌 백신은 치료제가 아니라 예방약이다. 또 기존 치료제들처럼 꿀벌에 직접 주사하지 않아도 된다. 이 백신은 여왕벌이 먹는 로열젤리에 살처분된 미국 부저병 병원균을 주입해 여왕벌이 낳은 알에서 태어난 유충이 항체를 보유하도록 해서 질병을 예방한다. 다음 세대로 면역물질을 물려주는 이같은 방식은 꿀벌뿐 아니라 새우, 밀웜 등 다른 절지동물에게도 적용 가능하다.

꽃가루받이 활동을 하는 꿀벌같은 곤충은 농작물 수확량과 직결돼 있어 개체수 확보가 매우 중요하다. 이는 식량안보 문제와도 연결돼 있기 때문이다. 인류는 식량자원의 3분의1 이상을 꿀벌에게 직·간접적으로 의존하고 있다. 하지만 꿀벌 개체수는 전세계적으로 계속 줄어들고 있다. 원인은 기후변화, 제초제와 방제약 남용, 개간으로 인한 밀원식물 감소 등 인간활동으로 꿀벌의 면역력이 떨어지면서 기생충과 질병이 창궐한 탓이다.

아르헨티나의 한 연구에 따르면 2015년 전세계에서 목격된 야생꿀벌 종류는 1990년 대비 25% 감소했다. 2017년 유엔(UN)은 전세계 벌의 3분의 1이 '멸종위기'라고 발표했고, 유엔 생물다양성과학기구(IPBES)는 지금 속도대로 가면 꿀벌이 2035년에 멸종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미국 하버드 공중보건대학교 새뮤얼 마이어스(Samuel Myers) 교수는 꿀벌이 사라지면 해마다 영양실조로 142만명이 사망할 것으로 내다봤다. 

따라서 '미국 부저병' 백신은 앞으로 꿀벌 개체수 회복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는 평가다. 캘리포니아주 양봉협회 이사 트레버 타우저(Trevor Tauzer)는 이번 백신 도입에 대해 "그동안 봉군 전체에 적용하기에 효용성도 떨어지고, 시간과 에너지를 잡아먹던 항생제 처리에서 벗어날 수 있기 때문에 양봉가들 입장에서 매우 고무적인 진전"이라며 "벌집 차원에서 예방이 가능하다면 값비싼 항생제를 사용할 필요도 없고, 질병관리 외에 꿀벌 건강을 유지하는 데 더 많은 여력을 쏟을 수 있다"고 밝혔다.

아네트 클라이저(Annette Kleiser) 달란 최고경영자(CEO)는 "세계적인 인구증가 추이와 기후위기를 볼 때 식량공급을 유지하기 위한 꿀벌의 꽃가루받이 기능은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우리 백신이 꿀벌 보호의 '돌파구' 역할을 해서 전세계 식량생산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국민연금, ESG 책임투자 강화…'감사위원 3%룰' 반영

국민연금이 국내외 투자 기업을 대상으로 ESG 책임투자를 한층 강화한다.연합뉴스에 따르면 국민연금공단은 최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서

KT 판교·방배 사옥 경찰 압수수색…서버폐기로 증거은닉 의혹

해킹사고 처리과정에서 서버를 의도적으로 폐기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KT가 압수수색을 당했다.19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경기남부경찰청 반부패·

셀트리온, 美에 1.4조 韓에 4조원 투자..."4Q 실적 턴어라운드"

일라이 릴리로부터 미국 공장을 인수해 세계 최대 의약품 시장인 미국에 생산기지를 확보한 셀트리온은 의약품에 대한 미국 관세리스크를 털어내고

한국ESG기준원, ESG평가 'A+등급' 20곳...올해도 S등급 'O'

하나금융지주와 KB금융, 신한지주와 현대백화점, 현대로템 등 20개 기업이 한국ESG기준원에서 주관하는 '2025 ESG 평가'에서 통합등급 'A+'를 획득했다. 이

CJ제일제당 '빨대없는 스토어' 캠페인...대체소재로 PHA 제안

CJ제일제당이 자원순환사회연대(NGO), CJ푸드빌과 함께 일회용 석유계 플라스틱 빨대 사용을 줄이기 위한 '빨대없는 스토어 만들기(Be Straw Free)' 캠페인을

호텔신라, 친환경 운영체계 구축 나선다

호텔신라의 모든 호텔 브랜드가 친환경 호텔로 도약한다.호텔신라는 글로벌 친환경 인증기관인 '환경교육재단(FEE; Foundation for Environmental Education)'과 업

기후/환경

+

인도네시아, 국제 탄소거래시장 진입 채비… “재생에너지 52.9GW 확충”

인도네시아가 국가 탄소시장을 국제 기준에 맞춰 정비하며 글로벌 탄소시장에 본격 진입한다.19일(현지시간) 솔라쿼터 등 현지매체에 따르면, 인도네

中, 재생에너지 확장에서 미국·EU 제치고 세계 1위로 부상

중국이 재생에너지 확장 속도와 규모에서 미국과 유럽연합을 넘어 세계 1위에 올랐다는 분석이 나왔다.18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 보도에 따르면 중

트럼프 기후정책 후퇴로 전세계 130만명 추가 사망 가능성

미국의 기후정책 후퇴가 전세계적으로 약 130만명의 추가 사망을 초래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19일(현지시간) 가디언과 프로퍼블리카의 공동 분석

국민연금, ESG 책임투자 강화…'감사위원 3%룰' 반영

국민연금이 국내외 투자 기업을 대상으로 ESG 책임투자를 한층 강화한다.연합뉴스에 따르면 국민연금공단은 최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서

[COP30]"BTS에 영감받아"...K팝 팬들도 '탈탄소화' 촉구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가 열리고 있는 브라질 벨렝에서 케이팝(K-팝) 팬들이 '문화 분야의 탈탄소화'를 촉구하는 목소리를 냈다.K-팝

내년부터 수도권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1700톤 쓰레기 어디로?

내년부터 수도권 지역에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가 시행됨에 따라, 소각장 설비를 아직 마련하지 못한 경기도와 서울 등 지방자치단체들은 예기치 못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