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중 줄고 허약해진 꿀벌…나노플라스틱 먹고 '소화불량'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3-02-21 15:44:00
  • -
  • +
  • 인쇄
장내 미생물 환경·면역체계 교란
체중 10% 줄고 치사율 50% 증가


꿀벌의 먹이에 플라스틱이 섞여 들어가게 되면 장내 미생물 환경이 파괴되면서 정상적인 성장이 불가능해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중국농업대학 연구팀은 꿀벌이 폴리스티렌(PS) 재질의 나노플라스틱을 섭취할 경우 장내 미생물 군집에 피해를 끼치면서 소화·흡수 능력이 떨어지는 탓에 정상적으로 성장하지 못하게 되고, 급기야 특정 질병에 따른 치사율까지 높아진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나노플라스틱은 크기가 1㎛(마이크로미터, 1㎛=1000분의 1㎜) 이하의 작은 플라스틱 입자를 말한다. 통상 '직경 5mm 이하의 플라스틱 입자'로 정의되는 미세플라스틱의 범주 안에 포함된다. 해저로 가라앉는 미세플라스틱의 양은 40년 전에 비해 10배나 증가했다. 미세플라스틱은 에베레스트산 정상, 마리아나 해구 끝자락, 북극해 얼음조각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경로를 통해 생태계에 악영향을 끼치고 있고, 최근에는 벌꿀에서도 검출되고 있다.

꿀벌은 대표적인 생태지표종이다. 식물과 인간을 오가는 꿀벌의 개체수나 건강상태로 생태계 파괴와 훼손 정도를 간접적으로 알 수 있기 때문이다. 또 꿀벌은 장내 미생물과 숙주의 건강을 연구하는 데 좋은 모델로 알려져 있다.

이에 연구팀은 꿀벌이 다양한 크기의 미세플라스틱, 나노플라스틱을 섭취했을 때 장내 미생물의 변화를 관찰했다. 연구팀은 양봉장에서 채집한 지 10일이 지난 꿀벌에게 꽃가루와 설탕물, 지름 100nm(나노미터, 100nm=0.1㎛)의 PS 입자를 먹였다. 15일이 지나자 해당 꿀벌들의 체중은 대조군에 비해 8.33% 줄어들었다.

나노플라스틱을 섭취한 꿀벌들의 내장은 두께가 얇아지고, 표피와 진피의 경계로 세포와 조직에 영양공급을 하는 기저막이 파열되기도 했다.

연구팀이 관찰 편의를 위해 꿀벌이 염색한 미세플라스틱을 섭취하도록 한 결과, 미세플라스틱은 장내 미생물군이 풍부한 직장 부위에 몰렸다. 실제로 10일 뒤 연구팀이 장내 미생물 유전자 분석을 진행하자 플라스틱을 섭취한 꿀벌의 장내에서 유산균 락토바실러스와 비피더스균 비중이 각각 72%에서 54.34%로, 12.33%에서 6.35%로 줄었다.

▲염료가 묻은 미세플라스틱이 모여들어 붉게 표시된 꿀벌의 직장. 우측 원 그래프에서 녹색은 락토바실러스, 청색은 비피더스균 비중을 나타내는데, 노출된 플라스틱 크기가 작을수록 해당 유산균의 비중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자료=종합환경과학)


게다가 연구팀은 나노플라스틱이 꽃가루의 표면에 있는 구멍 '발아공'에 들어가 부착하는 것을 포착했다. 꿀벌의 소화효소는 꽃가루의 영양소를 끌어내기 위해 발아공으로 들어가는데, 나노플라스틱이 이 구멍들을 막는 바람에 소화작용이 방해를 받는 것이다.

이밖에도 나노플라스틱은 꿀벌의 유전자 발현에도 영향을 미쳐 질병에도 취약하게 만들었다. 연구팀 분석에 따르면 총 705개의 유전자에서 발현 정도가 달라졌는데, 이 가운데 385개는 더 많이, 320개는 더 적게 발현됐다.

특히 꿀벌의 면역반응을 억제하는 LOC408844 유전자의 발현은 증가했고, 해독능력과 관련된 CYTO6AQ1 유전자는 감소했다. 연구팀이 나노플라스틱 섭취로 유전자 발현이 달라진 꿀벌들을 병원성 세균인 '하프니아 알베이'(Hafnia Alvei)에 노출시키자 치사율은 92%에 달했다. 이는 나노플라스틱을 섭취하지 않고 같은 병원균에 노출된 대조군의 치사율보다 50% 높은 수치다.

연구팀은 논문을 통해 "나노플라스틱 탓에 내장 벽 두께 줄어 병원성 세균이 다른 조직으로 침입할 기회를 제공했다"며 "손상된 면역 체계는 병원균이 제멋대로 자라는 것을 막지 못했고, 이로 인해 더 취약해진 꿀벌은 더 많이 죽었다"고 밝혔다.

해당 연구논문은 국제학술지 '종합환경과학'(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에 지난해 10월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대한항공 기내식 용기 '식물성 소재'로 바꾼다

대한항공이 식물성 원료로 만든 기내식 용기를 도입한다.대한항공은 오는 12월부터 밀짚, 사탕수수, 대나무 등 비목재 식물성 원료로 제작된 기내식 용

"배출권거래제, NDC 53% 맞춰 운영"…정부, 산업계 부담 덜어준다

정부가 '2035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2035 NDC)에 대한 산업계 우려를 덜어주기 위해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를 NDC 하한목표인 53%에 맞춰 운영하기로 했다

'젊어지는 삼성전자'...30대 상무·40대 부사장으로 '세대교체'

삼성전자가 지난해보다 24명 많은 161명에 대한 임원승진을 단행했다. 인공지능(AI)와 로봇, 반도체 분야에서 미래기술을 이끌 리더들을 중용했다는 게

진짜 돈이 들어간 '돈방석·돈지갑' 나왔다

진짜 돈이 들어간 '돈방석'이 나왔다. 한국조폐공사는 진짜 돈이 담긴 화폐 굿즈 신제품 돈방석·돈지갑을 출시하고, 지난 23일 오후 2시부터 와디

파리크라상 '사업부문'과 '투자·관리부문'으로 물적분할한다

SPC그룹 계열사인 ㈜파리크라상이 물적분할을 진행한다.SPC그룹은 지난 21일 이사회에서 계열사인 파리크라상에 대해 물적 분할을 결정했다고 24일 밝혔

광명시, 포스코이앤씨 공사장 오폐수 무단방류로 고발

포스코이앤씨가 오폐수 무단방류 혐의로 광명시로부터 고발당했다.경기도 광명시는 서울~광명 고속도로 공사현장에서 원광명지하차도 터파기 과정에

기후/환경

+

땅속에서도 죽지 않는다...북극 동토층 '좀비 산불'로 몸살

땅속으로 파고든 불씨가 죽지않고 타는 '좀비 산불'이 시베리아와 캐나다, 알래스카 등 북극의 새로운 위협요인이 되고 있다. '좀비 산불'은 유기토양

기후취약국들 갈수록 '빚더미'..."기후재원 언제까지 대출받아 피해복구?"

기후재난에 직접적인 타격을 가장 많이 받고 있는 기후취약국들이 기후위기를 촉발시킨 선진국들의 책임있는 자세를 다시한번 촉구하고 나섰다.기후

1만2000년만에 분화한 화산...연기 14km까지 치솟아

에티오피아 북동부에 위치한 하일리 굽비 화산(Hayli Gubbi volcano)이 약 1만2000년 만에 처음으로 분화했다고 24일(현지시간) AFP, 가디언 등 외신들이 보도했

"초미세먼지 줄여라"…정부, 석탄발전소 가동중단에 출력제한 조치

온화한 날씨로 인해 올겨울 초미세먼지(PM2.5)가 지난해보다 더 짙어질 것으로 예상되면서 정부가 초미세먼지 농도를 낮추기 위해 석탄발전소 최대 17기

탄소배출권 사서 메우자?...배출권 의존기업 탄소감축 '제자리'

온실가스 배출권 시장 확대보다 기업의 직접 감축 노력이 우선이라는 국제보고서가 공개되며 상쇄 전략에 대한 재검토가 요구되고 있다.25일(현지시간

대한상의 '재생에너지 벤치마킹 연수' 참여기업 모집

대한상공회의소가 기업 재생에너지 활용현장을 직접 체험하는 '재생에너지 벤치마킹 연수' 참여기업을 모집한다고 25일 밝혔다. 연수는 오는 12월 10일~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