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이나 파리채 소용없어요"....'빈대' 효과적인 박멸법은?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3-11-17 18:07:35
  • -
  • +
  • 인쇄
▲스팀기를 이용해 빈대를 방제하는 모습. (사진=질병관리청 아프지마TV 유튜브 캡처)


'빈대믹' 시대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전국이 연일 빈대로 떠들썩한 가운데 정부가 효과적인 빈대 퇴치법을 공개해 눈길을 끌고 있다. 집에서 빈대가 나타났다면 파리채 대신 스팀기나 드라이어 등 열을 가해 퇴치해야 효과적이라는 것이다

17일 질병관리청은 '가정에서 쉽게 따라할 수 있는 다양한 빈대 방제법' 영상을 유튜브에 게재했다. 영상은 스팀기, 다리미, 드라이기 등 고온·고열을 이용한 빈대 방제실험을 1분50초 내외의 짧은 분량에 담았다.

우선 스팀기를 활용한 결과 빈대 방제 효과가 확인됐다. 영상에서는 빈대를 옷 등에 감싼 뒤 30초간 스팀기에 노출시켰다. 일반 다리미도 효과가 있었다. 빈대를 감싼 직물을 90도로 달궈진 다리미로 다리자 빈대가 10초만에 방제됐다.

뜨거운 열이 나오는 드라이기로도 빈대 퇴치가 가능하다. 영상에서 빈대를 드라이기 바람에 60초간 쏘인 결과 퇴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질병관리청은 "뜨거운 바람을 피해 빈대가 도망갈 수 있고, 빠르게 처리하기 위해 강풍에 노출시켜도 빈대가 날아갈 수 있다"며 드라이기 방제시 도망가는 빈대가 없는지 잘 확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뜨거운 물도 효과적이다. 빈대를 감싼 옷을 뜨거운 물에 20초간 처리하자 빈대가 방제됐다.

반면 물리적 충격은 빈대 방제에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청은 "빈대를 발견하면 보통 손바닥, 파리채, 책을 이용해 처리하는데, 조금 멈칫거릴 뿐 다시 활발하게 돌아다녀 방제 효과가 없다"고 밝혔다.

모기 잡을 때 사용하는 전기 파리채는 빈대가 워낙 작아 전기충격이 전달되지 않았다. 다만 전기가 흐르는 파리채에 직접 접촉되면 방제가 된다.

청소기로 처리하고 비닐에 넣어 꼼꼼하게 밀봉하는 것도 방법이다. 청소기 흡입력이 약하면 빈대가 딸려오지 않으니 최대 흡입력으로 꼼꼼히 처리해야 한다고 질병관리청은 덧붙였다.

질병관리청은 "빈대는 감염병을 전파하지 않는다"며 "50℃ 이상으로 가열하면 쉽게 사멸된다"고 안내했다. 또 제품마다 성능 차이가 있기 때문에 확실하게 방제하려면 충분한 시간을 들이라고 당부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카카오 '장시간 노동' 의혹...노동부, 근로감독 착수

카카오가 최근 불거진 장시간 노동 문제를 두고 고용노동부의 근로감독을 받게 됐다.고용노동부 관할지청인 중부지방고용노동청 성남지청은 이달초

사고발생한 기업들 ESG 순위도 추락...산재로 감점 2배 증가

자산 2조원 이상의 대기업 가운데 현대홈쇼핑과 현대백화점, 유한양행, 풀무원, 한국지역난방공사가 올 하반기 서스틴베스트 ESG 평가에서 상위에 랭크

대주·ESG경영개발원, ESG 컨설팅·공시 '협력'

대주회계법인과 한국ESG경영개발원(KEMI)이 ESRS·ISSB 등 국제공시 표준 기반 통합 컨설팅 서비스 공동개발에 나선다.양사는 14일 ESG 전략·공시&mi

JYP, 美 타임지 '지속가능 성장기업' 세계 1위

JYP엔터테인먼트가 미국 타임지 선정 '세계 최고의 지속가능 성장기업' 세계 1위에 올랐다.JYP는 미국 주간지 타임과 독일 시장분석기업 스태티스타가

우리은행, 1500억 녹색채권 발행…녹색금융 지원 확대

우리은행이 1500억원 규모의 한국형 녹색채권을 발행하며 친환경 분야에 대한 금융 지원을 확대한다.우리은행은 기후에너지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

"페트병 모아 사육곰 구한다"...수퍼빈, 곰 구출 프로젝트 동참

AI 기후테크기업 수퍼빈이 이달 1일 녹색연합과 함께 사육곰 구출프로젝트 '곰 이삿짐센터'를 시작하며, 전국 어디서나 참여할 수 있는 자원순환형 기

기후/환경

+

수도권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 예정대로 내년부터 시행

내년부터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지역에서 발생하는 생활폐기물은 땅에 매립하지 못한다. 17일 기후에너지환경부에 따르면 기후부 및 수

미세플라스틱 '만성변비' 유발한다…장 건강 영향 첫 규명

공기 중 미세플라스틱을 흡입하면 변비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부산대학교 바이오소재과학과 황대연 교수 연구팀은 캐나다 토

"공적금융 청정에너지 투자 확대하면 일자리 2배 증가"

공적 금융기관들이 화석연료 대신 청정에너지 사업에 투자를 늘리게 되면 국내 일자리가 대폭 늘어나 취업난의 새로운 열쇠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중국이 왜 받아?...엉뚱한 나라로 흘러가는 기후재원

부유국 기후자금이 최빈국보다 중소득국에 더 많이 흘러간 것으로 나타났다.14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과 카본브리프가 공동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사고발생한 기업들 ESG 순위도 추락...산재로 감점 2배 증가

자산 2조원 이상의 대기업 가운데 현대홈쇼핑과 현대백화점, 유한양행, 풀무원, 한국지역난방공사가 올 하반기 서스틴베스트 ESG 평가에서 상위에 랭크

아열대로 변하는 한반도 바다...아열대 어종 7종 서식 확인

우리나라 연안의 바다 수온이 계속 상승하면서 전에 없었던 아열대 어종들이 줄줄이 발견되고 있다.국립수산과학원은 올해 우리나라 배타적경제수역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