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석연료 지원 중단하라"...60여 세계시민단체, 한국·일본에 공개 서한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3-11-20 10:14:50
  • -
  • +
  • 인쇄
▲화석연료 개발 투자 중단 촉구 서한에 서명한 세계 환경단체들 (사진=기후솔루션)


전세계 60여개 시민사회단체가 한국과 일본에 화석연료 지원중단을 촉구하는 공개서한을 보냈다. 양국이 세계 최대 화석연료 금융지원국이기 때문이다.

20일 환경단체 기후솔루션은 지난 17일 60여개 시민사회단체가 서명한 공동서한이 양국 정상과 정책 관계자들에게 우편 발송됐다고 밝혔다. 서한 내용은 올해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8) 개막을 10일 앞둔 시점에 공개됐다.

한국과 일본은 주요 20개국(G20) 가운데 화석연료 부문에 가장 많은 금융을 제공하고 있다. 기후환경단체 '오일 체인지 인터내셔널'(Oil Change International)에 의하면 일본과 한국이 2019~2021년 평균 기준 해외 화석연료 개발 프로젝트 공적금융 투자액 1, 2위를 차지한다.

일본의 연평균 지출액은 102억9000만달러(약 12조130억원), 한국은 71억4000만달러(약 8조3820억원)이다. 그 뒤는 중국 약 7조7920억원, 캐나다 약 6조860억원, 미국 약 4조2440억원 순이다.

해외에 제공하는 공적금융뿐 아니라 전체 화석연료 금융에서도 일본과 한국은 각각 1위와 3위를 차지했다. 2019년부터 2021년까지 두 나라는 연평균 170억달러(약 21조원) 이상을 화석연료 지원에 지출했다.

또한 한국과 일본은 글래스고 선언에 동참하지 않았다고 시민단체는 비판했다. 일본은 지난해 G7 정상회의에서 화석연료에 대한 국제공적 금융지원을 중단하겠다는 글래스고 선언과 유사한 약속에 동의했지만, 지금까지 약속을 거의 이행하지 않고 있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서 화석연료 개발은 지구 기온상승을 1.5℃ 이상 막는 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거듭 강조하며, 재생에너지 전환 재원을 시급히 확충해야 한다고 밝혔다.

기후솔루션의 석유 및 가스 금융부문 김소민 연구원은 "기후변화로 화석연료의 좌초 자산 리스크가 커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과 일본은 새로 석유 및 가스를 파내는 프로젝트에 계속 자금을 투입하고 있다"며 "두 나라는 더 늦기 전에 글래스고 선언에 동참해 화석연료에 대한 공적자금 지원을 중단하고 재생 에너지 기반 청정 에너지에 대한 투자를 빠르게 늘리겠다는 결연한 약속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세계 각지의 환경단체도 이번 서한에 동참했다. 미국 환경단체 '텍사스 환경캠페인'의 제프리 저코비(Jeffrey Jacoby) 부대표는 "가스 인프라 지원은 텍사스와 루이지애나의 지역사회 파괴를 지원하는 것"이라며 "'에너지 안보'를 위한 것이라는 거짓 주장은 여러 세대의 원주민, 흑인 등 커뮤니티 터전에 대기 및 수질 오염, 에너지 비용 상승, 더 강력해진 폭풍 재해 등을 안기고 있다는 사실을 감추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무엇보다 한국과 일본이 우리 모두가 당면한 기후 문제의 미래에 대해 조금이라도 신경 쓴다면 이것은 잘못된 투자"라고 일침했다.

청소년 기후단체 '미래를 위한 금요일 스웨덴'의 소피아 악셀손(Sophia Axelsson) 활동가도 "미래를 위한 금요일 스웨덴은 한국과 일본의 기후 운동과 국제적으로 연대해 두 나라가 화석 연료 산업에 대한 투자를 중단하도록 하는 압력에 힘을 보태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한은 "극한기후가 물가상승 야기…기후대응 없으면 상승률 2배"

폭우나 폭염과 같은 극한기후고 소비자물가에 단기적인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1년 넘게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기후변화

美투자 압박하면서 취업비자는 '외면'..."해결책 없으면 상황 반복"

미국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의 한국인 근로자 300여명 체포·구금 사태는 '예견된 일'이라는 반응이 대부분이다. 미

기후/환경

+

해양온난화 지속되면..."2100년쯤 플랑크톤 절반으로 감소"

해양온난화가 지속되면 2100년쯤 바다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하는 역할을 하는 남조류 '프로클로로코쿠스'(Prochlorococcus)의 양이 절반

곧 물 바닥나는데 도암댐 물공급 주저하는 강릉시...왜?

강릉시가 최악의 가뭄으로 물이 바닥날 지경에 놓였는데도 3000만톤의 물을 담고 있는 평창의 도암댐 사용을 주저하는 까닭은 무엇일까.9일 강릉 오봉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낙뢰로 인한 산불 증가"...기후위기의 연쇄작용 경고

기후위기가 낙뢰로 인한 산불을 더욱 빈번하게 발생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6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머세드 캠퍼스 시에라 네바다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