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지구 평균기온 또 갈아치우나?..."임계점 뚫고 1.58℃까지 상승"

이준성 기자 / 기사승인 : 2024-01-15 14:33:49
  • -
  • +
  • 인쇄

올해 지구 평균기온이 1.58℃까지 올라가며 '역대 가장 더운 해'였던 2023년의 기록을 갈아치울 것이라는 전망이다.

영국 이스트앵글리아대학교(University of East Anglia) 기상학과는 2024년 지구 평균기온이 산업화 이전보다 1.58°C 더 높아질 것으로 분석했다. 전세계 기상기관이 '가장 더운 해'로 공식 발표한 2023년의 지구 평균기온 1.45℃보다 0.13℃ 더 높아진다는 것이다.

최근 세계기상기구(WMO)는 "영국 기상청(The Met Office)과 유럽 코페르니쿠스 기후변화서비스(Copernicus Climate Change Service), 미국 항공우주국 고다드 우주연구소(NASA GISS) 및 미국 해양대기청(NOAA) 등 전세계 주요 기상기관의 데이터를 종합한 결과 2023년이 역대 가장 따뜻한 해"라고 공식 발표한 바 있다.

WMO는 "지난해 하반기 지구 기온은 매월 신기록을 세웠다"며 "해수면 온도 역시 지난해 4월 이후 기록적인 고온을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스트앵글리아대학교 기상학과는 지난해 기온이 그 이전에 가장 더웠던 2016년보다 0.17°C 더 따뜻했다고 분석했다.

그런데 2024년이 2023년보다 더 더워진다는 것이다. 온실가스 배출이 단기간에 줄어들 기미가 보이지 않는데다, 엘니뇨 현상이 올해 정점을 찍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이스트앵글리아대학교는 "엘리뇨는 지구 대기에 온기를 불어넣어 그해의 기온을 최대 0.2°C까지 추가로 올릴 수 있다"고 설명했다. 셀레스트 사울(Celeste Saulo) WMO 사무총장도 "엘니뇨가 정점에 이르는 올해가 더 더울 수 있다"고 우려했다.

국제사회가 파리기후변화협약에서 합의한 지구 평균기온 상승 임계기준은 산업화 이전대비 1.5℃다. 이 임계점을 넘기면 지구는 스스로 복원할 수 있는 능력이 붕괴될 수 있다는 게 과학계의 정설이다. 

그런데 올해 지구의 평균기온이 이 임계점을 넘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 것이다. WMO는 "기온은 기후변화의 한 지표에 불과하다"면서 "대기 온실가스 농도와 해양열 및 산성화, 해수면, 해빙범위 및 빙하질량 균형 등의 기후지표들도 모두 최악을 기록하고 있다는 점에도 주목해야 한다"고 경고하고 있다.

사울 WMO 사무총장은 "기후변화는 인류가 직면한 가장 큰 과제"라며 "기후변화는 가장 취약한 사람들에게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경고했다. 과학자들도 "당장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향후 계속 고온 기록을 갱신할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필립 존스(Philip Jones) 이스트앵글리아대학교 기상학과 교수는 "기후변화는 단순히 일일 기온에 영향을 미치는 것 이상이다"며 "기온이 상승하면 홍수와 산불, 가뭄 등 이상기후로 이어져 농업과 인프라 등 인간의 생명과 직결된 것들을 위협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사람들은 산업화 이전과 오늘날의 평균기온 차이를 두고 숫자가 작아 미미하게 느끼는 경우가 많다"며 "지구는 10년마다 평균 0.2°C씩 온난화되고 있는데 2만1000년 전 빙하기는 오늘날보다 5℃ 더 추웠을 것"이라고 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현대백화점 "장난감 기부하면 H포인트 증정"

현대백화점이 오는 9월 6일 자원순환의 날을 맞아 7일까지 압구정본점 등 전국 점포에서 '플라스틱 장난감 업사이클' 캠페인을 진행한다고 4일 밝혔다.

'2025 그린에너텍' 17일 개막...환경·에너지 기술 한자리에

환경산업 전문 B2B 전시회 '2025 그린에너텍(GreenEnerTEC)'이 오는 17일부터 19일까지 3일간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열린다.올해 4회째를 맞이하는 그린에너

"화력발전 최소발전용량이 재생에너지 가로막아"...공익감사 청구

화력발전을 과도하게 우대한다고 비판받는 최소발전용량과 관련해, 감사원에 공익감사청구가 제기됐다.기후솔루션과 당진환경운동연합은 3일 서울

가축분뇨를 농촌 에너지로 활용...기아, 홍성에 시설 지원

기아가 홍성에서도 온실가스 감축과 지역사회 재생에너지 보급을 위해 가축분뇨의 자원화 및 에너지화에 나선다.기아는 지난 2일 충남 홍성군청에서

삼성전자도 구글처럼 '워터 포지티브' 사업...환경부와 '신풍습지' 개선

기업이 사용하는 물보다 더 많은 물을 자연에 돌려보내는 '워터 포지티브' 사업이 국내에서 첫 착공식을 가졌다.환경부와 한국수자원공사는 2일 오후

마실 물도 부족한 강릉 시민들...지자체와 기업들 생수기부 '쇄도'

4개월 넘게 비가 내리지 않고 극심한 가뭄을 겪고 있는 강릉 시민들에게 전국 각처에서 생부 기부가 끊이지 않고 있다. 강릉시는 기부받은 생수를 취약

기후/환경

+

2만톤 급수에도 저수율 13% 붕괴 직전...강릉시, 아파트 수돗물 잠근다

이번 주말에 서울과 수도권에는 100㎜가 넘는 많은 비가 내릴 것으로 예보됐지만 정작 비가 절실한 강릉은 비소식이 전혀 없어 물 부족 사태는 주말 사

서울 온실가스 70% 건물서 배출..."건축물 녹색전환 위한 제도지원 시급"

서울시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70%가 건축물에서 비롯되지만 이를 관리 지원할 제도나 지원은 전무한 실정이어서 건축물에 대한 녹색전환 제도를 마련

아프간 이틀만에 또 6.2지진...세차례 지진에 사망자 '눈덩이'

아프가니스탄이 세 차례에 걸쳐 발생한 지진으로 사상자가 3600여명이 넘어섰다.독일 지구과학연구센터(GFZ)에 따르면 아프간 동남부 지역에 4일(현지시

[주말날씨] 이틀간 '100㎜' 퍼붓는다...가뭄 겪는 강릉은?

이번 주말에도 전국 대부분의 지역에 강한 비가 쏟아진다.토요일인 6일은 늦은 새벽 수도권과 충남권에서 비가 내리기 시작돼 오전중에 강원 내륙&middo

[윤미경칼럼] '강릉의 가뭄'...무엇이 최악사태 불렀나?

4개월 넘게 비가 내리지 않은 강릉의 상황은 참담하다. 수도계량기를 75%까지 잠그는 제한급수를 사상 처음으로 실시하고 있고, 개학한 학교에서는 개

물이 얼마나 빠졌으면...오봉저수지 20년만에 발견된 '티코'

극심한 가뭄에 저수율이 13%대로 떨어진 강릉 오봉저수지에서 20여년전에 수몰됐던 티코 차량이 발견돼 화제다.4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경찰과 강원도소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