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지구 평균기온 1.48°C 상승...'가장 더운 해'로 공식기록

이준성 기자 / 기사승인 : 2024-01-10 12:22:41
  • -
  • +
  • 인쇄
엘니뇨로 기록적인 탄소배출 지속이 원인
온난화 더해지면서 폭염 등 이상기후 빈번

2023년은 관측이래 '가장 더운 해'로 공식적으로 기록됐다.

유럽연합(EU) 기상기관인 코페르니쿠스 기후변화서비스(Copernicus Climate Change Service)는 "2023년 지구는 산업화 이전보다 1.48°C 더 뜨거워졌다"고 밝혔다. 일본 기상당국도 "2023년 지구 평균기온은 산업화 이전 수준보다 1.43℃ 상승한 수준"이라고 밝혔다.

다만 코페르니쿠스는 "이는 파리기후변화협약에 정한 기온 임계점을 넘은 것은 아니다"며 "임계점을 넘으려면 지구 기온이 지속적으로 1.5℃ 이상이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2015년 국제사회는 파리기후변화협약을 통해 산업화 이전대비 지구 평균기온 상승을 1.5℃ 이내로 억제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코페르니쿠스에 따르면, 2023년은 이전까지 가장 기온이 높았던 2016년보다 0.17℃ 더 높았다. 코페르니쿠스는 "이 상승폭이 낮아 보이지만 기후측면에서는 매우 큰폭의 상승"이라며 "가장 큰 이유는 지난해 엘니뇨가 복귀하면서 기록적인 이산화탄소 배출이 지속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코페르니쿠스는 "고온으로 인해 폭염과 홍수, 산불 등이 전세계 곳곳에서 발생하면서 인명과 재산에 엄청난 피해를 입었다"며 폭염과 같은 일부 극한기후는 인간이 초래한 지구온난화가 없었다면 사실상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했다.

코페르니쿠스의 데이터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2023년은 산업화 이전 기록보다 매일 1℃ 이상 더 따뜻한 최초의 해였다. 코페르니쿠스는 "1년 중 거의 절반이 1.5℃ 더 높았고,  2℃ 이상 높은 날도 이틀이나 됐다"며 "6월부터 기온이 상승하면서 9월의 더위는 이전 평균을 훨씬 웃돌았다"고 밝혔다.

카를로 부온템포(Carlo Buontempo) 코페르니쿠스 연구원은 "지난 몇 달동안 우리가 관찰한 극한의 상황은 현재 우리가 안전한 기후에서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는지를 극적으로 보여준다"며 "기후리스크를 성공적으로 관리하려면 기후데이터와 지식을 활용해 미래를 대비하는 동시에 경제를 시급히 탈탄소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후과학자들은 "최근 지구의 생명유지시스템이 너무 많이 손상돼 지구가 인류에게 안전한 공간을 벗어났다"고 경고하고 있다. 사만다 버지스(Samantha Burgess) 코페르니쿠스 부국장은 "2023년은 기후에 대한 기록이 도미노처럼 무너지는 예외적인 한해였다"며 "2023년의 기온은 적어도 지난 10만년동안의 그 어느 시기보다 높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세계 기상과학자들도 이런 상황에 대해 일제히 경고하고 나섰다.

빌 콜린스(Bill Collins) 영국 레딩대학교(University of Reading) 교수는 "2023년에 지구기온 기록이 깨진다는 것은 충격적인 일이다"며 "극심한 지구온난화로 인해 극한기후도 더 많이 발생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실제로 2023년 캐나다에서 발생한 대형산불로 전세계 탄소배출량은 30% 증가했고, 전례없는 해수면 온도상승에 많은 지역에서 해양폭염이 발생했다. 남극 해빙도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다.

브라이언 호스킨스(Brian Hoskins) 임페리얼 칼리지런던(Imperial College London) 교수는 "2023년은 맛보기에 불과하다"며 "전세계 대부분의 정부가 취하는 안일한 행동을 뒤흔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존 마샴(John Marsham) 영국 리즈대학교(University of Leeds) 교수는 "우리 모두가 의존하고 있는 살기좋은 기후를 보존하기 위해 화석연료 사용을 빠르게 줄여 탄소중립에 도달해야 한다"며 "수백 건의 과학적 연구에 따르면 기후위기가 더 극단적이고 더 빈번한 기상이변을 일으키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사실 과학자들은 온도 자체는 예측했지만 극한기후의 파괴력은 예상밖의 일이다"고 덧붙였다.

앤드류 데슬러(Andrew Dessler) 미국 텍사스A&M대학교(Texas A&M University) 교수도 "앞으로 매년 극한온도 기록을 갱신할 것이다"며 "미래에서 보면 2023년이 금세기에서 가장 추운 해 중 하나가 될 것이라는 뜻"이라고 경고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현대차, 올해 청년 7200명 신규 채용...내년엔 1만명 확대 검토

현대자동차그룹이 올해 총 7200명을 신규 채용한다고 18일 밝혔다. 내년에는 청년 채용 규모를 1만명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한다.현대차그룹의 청년

롯데카드, 해킹으로 297만명 정보 털렸다...카드번호, CVC까지 유출

롯데카드 해킹 사고 피해규모가 당초 예상했던 것보다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롯데카드는 피해 고객 전원에게 전액 보상을 하겠다는 방침이

삼성전자, 5년간 6만명 신규채용...'반도체·바이오·AI' 중심

삼성전자가 성장사업 육성과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해 앞으로 5년간 6만명을 신규 채용하겠다고 18일 밝혔다. 매년 1만2000명씩 채용하겠다는 계획이다.

"상장기업 보고, 6개월로 바꾸자"...트럼프 주장에 美 또 '술렁'

미국 상장기업의 보고서가 분기에서 반기로 변경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17일(현지시간) AP통신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장기업의

카카오, 지역 AI생태계 조성 위해 5년간 '500억원' 푼다

카카오그룹이 앞으로 5년간 500억원의 기금을 조성해 지역 인공지능(AI) 생태계 육성에 투자한다고 18일 밝혔다. 카카오그룹은 지역 AI 육성을 위한 거점

[ESG;NOW] 올해 RE100 100% 목표 LG엔솔 '절반의 성공'

국내 많은 기업들이 지속가능한 경영을 내세우면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보고서 혹은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를 주기적으로 발간하고 있

기후/환경

+

가뭄이거나 폭우거나...온난화로 지구기후 갈수록 '극과극'

전 지구적으로 기후 불균형이 심각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18일(현지시간) 세계기상기구(WMO)는 '글로벌 수자원 현황 2024' 보고서를 통해 수개월째 비가

"재생에너지 188조 필요한데…정책금융 투자액은 여전히 안갯속"

2030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를 달성하려면 재생에너지 설비에 188조원을 투자해야 하지만 마중물 역할을 하는 정책금융 대부분은 재생에너지보다 화

지역 1인당 교통 배출량, 서울의 2배…"무상버스가 대안"

비수도권 교통 배출량이 서울의 2배에 달하면서 '무상버스'가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녹색전환연구소가 18일 발표한 보고서 '작은 도시의 교통 혁명,

'2035 NDC' 60% 넘어설까...환경부, 7차례 토론회 연다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2035 NDC)를 설정하기 위한 대국민 논의가 시작된다.환경부는 오는 19일부터 내달 14일까지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뜨거워지는 한반도...2100년 폭염일수 9배 늘어난다

한반도 기온이 매년 상승하고 있어 2100년에 이르면 여름철 극한강우 영향지역이 37%로 확대되고 강수량도 12.6% 증가한다는 전망이다. 또 폭염일수도 지

국민 61.7% "2035년 온실가스 감축목표 60% 넘어야"

우리나라 국민의 61.7%는 2035년까지 온실가스를 60% 이상 감축해야 한다는데 동의하는 것으로 나왔다.기후솔루션이 지난달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성인 200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