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노트] '드레스룸 비우기'가 바꾼 나의 삶

뉴스트리 / 기사승인 : 2024-03-18 08:00:03
  • -
  • +
  • 인쇄

[그린노트]는 기후변화에 대한 우리사회 공감대를 형성하자는 차원에서 생활속 탄소발자국을 줄이고 플라스틱 저감을 위해 실천하는 분들이 투고한 글입니다. 그동안 혼자 실천해왔던 친환경 생활을 공유하고 싶은 분들이나, 생활주변에서 훼손되는 환경오염 현장들, 그리고 우리가 지속가능한 사회로 나아가기 위해 필요한 제언을 뉴스트리로 보내주시면 게재하겠습니다. 이 글은 아름다운가게 홈페이지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드레스룸에서 평소 안입는 옷들을 꺼내 아름다운가게에 기부할 옷들을 정리했다. © 안혜진 제공

"니 또 옷 샀나? 이 거적때기 같은 건 뭐고?"

대학생 시절, 인터넷으로 옷을 사면 엄마가 자주 했던 말이다. 지금 생각해보면 누가봐도 '물욕의 여왕'이었던 시절, 나는 '인터넷 쇼핑'이라는 신세계에 눈을 뜬 이후로 다양한 옷을 구매했다. 지금은 예쁜 옷을 발견해도 장바구니에 저장해놓은 후 이걸 사는 게 맞는지 고민을 많이 한다. 하지만 당시에는 아르바이트 비용으로 70만원 정도 벌면 물욕이 생겨 마음에 드는 게 있으면 고민없이 바로 결제했다. 그렇게 구매한 옷은 두말할 것도 없이 '휴지통' 행이었다.

2018년 늦가을, 다니던 회사를 그만둔 후 잠시 '백수'가 됐다. '새로운 시작'을 목표로 했기 때문에 내 생활에 변화가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그때 가장 먼저 들었던 생각이 '내 공간을 정리해보자'였다. 그때는 '정리'니 '미니멀리즘'이니 하는 개념이 생소했지만 몇몇 사람들에게서 유행하던 시기였다. 그래서 나에게 필요없는 물건을 정리하면 뭔가 삶이 정돈되는 느낌이 드는 듯했다.

우리 집은 방이 모두 4개인데, 방 하나는 드레스룸 개념으로 쓰고 있다. 첫 타깃은 그곳이었다. 드레스룸에 발을 디딘 느낌이 아직도 생생하다. 물건으로 가득차 있어 숨 막히는 느낌. 내 옷뿐만 아니라 부모님 옷까지 있다보니 드레스룸은 발 디딜 틈이 없었다. 회사에 다닐 때는 출근할 때마다 '왜 이리 입을 옷이 없지' 싶었는데, 드레스룸을 정리하다보니 한 번도 안맨 가방이 등장하고, 언제 샀는지 기억도 안나는 옷들이 툭툭 튀어나왔다.

▲아름다운가게에 물품기부
나는 대형 종이가방 여러 개에 그동안 손길 한번 주지않았던 옷이며 가방 등을 접어넣었다. 여러 꾸러미가 나왔다. 정리된 종이가방을 보고 있자니 솔직히 조금 아깝다는 느낌이 들었다. 놔두면 언젠가는 쓰지 않을까 하는 그 고질병. 하지만 나는 알았다. 지금까지 쓰이지 않은 물건은 미래에도 쓰지 않는다는 것을. 그래서 그 무거운 종이가방을 거실로 들고 내려왔다.

정리한 옷을 아름다운가게에 기부하기로 마음먹었다. 거실에 종이가방을 다시 풀어놓고 아름다운가게에 기부할 물품과 주변에 나눠줄 물건, 의류수거함에 넣을 물건들을 정리하기 시작했다. 덕분에 드레스룸은 숨 막히는 공간에서 '적당한 여백의 미'가 존재하는 공간으로 탈바꿈했다. 내게 필요한 물품만 남겨놓으니 내가 선호하는 옷 스타일이 정립됐다. 좋아하는 물건을 더 소중히 다루게 된 것은 덤이다.

이날 이후로 나는 옷에 대한 미니멀리즘을 지키고 있다. 물론 옷을 안사진 않는다. 하지만 예전처럼 금방 버릴 물건은 사지 않는다. 값이 좀 나가더라도 오래, 내가 좋아하는 스타일로 산다. 그랬더니 의류 구매비용이 예전보다 훨씬 줄었다.

주변에서 안입는 옷을 기부받아 입기도 한다. 나와 옷 스타일이 비슷한 엄마가 안입는 옷, 생각보다 패션스타일이 좋아 옷을 자주 구매하는 오빠로부터 안입는 옷이 있으면 달라고 말했다. 안입는 옷들을 모은 후 그 중 내가 오래 입을 만한 옷을 끄집어내 자주 입고 있다. 남자친구가 생긴 이후로 남자친구가 입지 않는 셔츠와 카디건도 받았다.

처음에는 좀 '궁상맞나'하는 생각이 들었다. 다른 사람이 입던 옷을 가져와서 입는 게 좀 그런가 싶었다. 실제로 남자친구의 옷장을 털고 있을 때 남자친구의 어머니가 그 광경을 보고 놀라셨다. 하지만 나는 안다. 이런 행위가 지구를 좀 더 위한다는 걸. 또 고물가 시대, 짠테크를 하고 있는 내게 여윳돈을 마련해준다는 사실을.

'패스트패션'이 범람하고 유행이 한 달 단위로 바뀌고 있는 요즘, 많은 옷들이 버려지고 있다. 내가 유튜브에서 본 'KBS 환경스페셜'에선 파키스탄이었나 어느 나라의 소가 먹을 것이 없어 버려진 옷 조각을 먹고 있었다. 또 그해의 패션 유행을 보려면 중국 황하의 물 색깔을 보면 된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패션이 환경 그리고 지구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환경 관련 글이나 영상을 보면서 과거 내 행동이 많이 부끄러웠다. 지구가 많이 아프게 된 데에 일조했다고 생각에서다. 그래서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지구에 무해한 사람이 되고 싶어 노력중이다. 옷 덜 사기, 주변사람들로부터 옷 기부받아 입기, 더이상 설레지 않는 물건은 '아름다운가게'에 기부하기. 사소하지만 실천하기 쉬운 것들로 노력을 기울이면 조금은 지구에게 덜 미안해지지 않을까 생각한다.



  글/ 안혜진
  한때 '물욕의 여왕'이었으나, 제로웨이스트와 미니멀리즘을 접한 이후 조금이라도 지구에 덜 미안한 사람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신규 원전건설 백지화 시사한 환경장관 "탈원전은 아냐"

곧 출범할 기후에너지환경부를 이끌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새로운 원전을 짓는 데 대해 국민 공론화를 통한 재논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신규 원전을 추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한은 "극한기후가 물가상승 야기…기후대응 없으면 상승률 2배"

폭우나 폭염과 같은 극한기후고 소비자물가에 단기적인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1년 넘게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기후변화

기후/환경

+

강릉에 '반가운 비'...폭우 쏟아졌지만 가뭄 해갈 역부족

최악의 가뭄을 겪고 있는 강릉에 '단비'가 내렸다. 아직 가뭄이 해갈될 정도는 아니지만 간밤에 내린 비 덕분에 강릉 시민들의 식수원인 오봉저수지의

[주말날씨] 전국 이틀간 '세찬 비'...강릉에도 '가뭄에 단비'

이번 주말에는 최악의 가뭄을 겪고 있는 강릉에 많은 비가 내린다는 반가운 소식이다. 이번 비는 중국에서 형성된 비구름대가 우리나라로 진입하면서

"환경장관 약속 못믿어"...세종보 천막농성 철회 안한다

4대강 보 철거를 요구하며 금강 세종보에서 500일간 농성했던 환경단체들이 농성을 중단하기로 했다가 이를 철회했다.11일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직접

화석연료 기업들 내뿜는 탄소...치명적인 폭염을 낳았다

엑손모빌 등 석유 대기업들의 탄소배출량이 2000년 이후 전세계에서 발생했던 수십건의 폭염과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있다는 사실이 처음으로 밝혀졌다

강릉 식수원 고갈 일보직전 '비소식'...이틀간 20~60㎜ 내린다

강릉 시민들의 식수원으로 쓰이는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이 11일 오전 8시 기준 11.8%까지 낮아진 가운데 토요일인 13일 동해안에 비가 내린다는 소식이다.

1.5℃ 임계점 넘었나?...전세계 산호 84% 하얗게 변했다

전세계 바다의 산호초 84%가 해양폭염으로 백화 현상을 겪는 등 최근 해양생태계가 전례없는 위기를 맞고 있다. 미국 해양대기청(NOAA)이 지난 2일 발표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