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정점 찍은 '해수면 온도'...엘니뇨 탓일까? 화석연료 탓일까?

이준성 기자 / 기사승인 : 2024-03-18 12:12:18
  • -
  • +
  • 인쇄


올들어 기록적인 이상기온 현상이 이어지면서 과학자들 사이에서 이를 놓고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이상기온이 지구파괴의 가속화를 의미한다"는 의견이 주를 이루는 가운데 "아직 예측범위 안에 있다"는 신중론도 만만찮다.

논란의 중심에는 '해수면 온도'가 있다. 유럽연합(EU) 산하 코페르니쿠스기후변화서비스(C3S)에 따르면 2월 해수면 온도는 21.06℃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C3S는 "2월 8일부터 11일 사이에 전세계 기온은 1850~1900년 평균보다 2℃ 이상 높았다"며 "유럽은 2월 한달동안 3.3℃ 높은 온도를 경험했다"고 밝혔다. 

통상적으로 해수면 온도는 엘니뇨가 기승을 부릴 때 덩달아 상승하는데, 올 2월에는 엘리뇨가 약화됐음에도 불구하고 해수면 온도가 이례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세계기상기구(WMO)는 "엘니뇨는 올 1월에 정점을 찍었다"면서 "한동안 정점을 찍은 엘니뇨의 영향을 계속 받겠지만, 엘니뇨는 올 4월과 6월 사이에 완전히 사라질 확률이 80%에 달한다"고 밝혔다. 

셀레스트 사울로(Celeste Saulo) WMO 사무총장은 "물론 엘리뇨 영향을 부정할 수 없지만 화석연료 배출이 이상고온의 주범"이라고 단언했다. 그는 "올초 해수면 온도는 기록상 가장 높았다"며 "이것은 엘니뇨만으로 설명할 수 없다"고 우려했다. 카를로 부온템포 C3S 국장은 "이번 이상고온은 대기중 온실가스 증가로 인한 것으로, 이는 앞으로 일어날 일의 맛보기에 불과하다"며 "우리가 이를 안정화시키지 않는 한, 필연적으로 새로운 온도 기록과 그 결과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처럼 주요 국제기후단체 수장들이 한결같이 우려의 목소리를 내면서, 과학자들도 "현재의 해수면 온도가 전례없이 심각한 상황"이라고 입을 모았다. 그러나 해수면 온도상승 원인을 놓고 과학자들 사이에서는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일부 과학자들은 "현재 추세는 기후모델 예측범위 안에 있다"고 크게 걱정할 바가 아니라고 말하지만, 다른 한편에서는 "바다는 인간이 초래한 온난화의 90% 이상을 흡수할 뿐 아니라 해양 온난화는 산호백화 현상 등 생태계 파괴를 야가한다"며 "이번 이상고온은 바다가 자기 역할을 하기 못하고 있다는 증거"라고 진단했다.

기후연구단체 버클리 지구(Berkeley Earth) 소속 환경학자 지크 하우스파더(Zeke Hausfather)는 "해수면과 지표면 온도가 상당히 높지만 여전히 기후모델 예측범위 내에 있다"며 "우리는 아직 세계가 예상보다 빠르게 온난화되고 있음을 시사하는 강력한 증거를 찾지 못했다"고 신중론을 펼쳤다. 

그러나 카를로스 노브레(Carlos Nobre) 상파울루대학(University of São Paulo) 교수는 "지난 12개월동안 해수면 온도가 얼마나 높아질지 정확하게 예측한 기후모델은 없었다"며 "바다의 온도가 계속 상승하는 것을 감안할 때 올해는 비정상적으로 더운 해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마이애미대학(University of Miami) 기후학자 브라이언 맥놀디(Brian McNoldy) 역시 "1년 내내 기록적으로 따뜻했으며, 이런 추세는 매우 우려스러운 일"이라고 했다.

라울 코르데로(Raúl Cordero) 산티아고대학교(University of Santiago) 교수도 "WMO 에측대로 6월 이후 엘리뇨가 사라진다면 일시적으로 기온은 낮아질 것"이라며 "그러나 모든 고온 기록은 조만간 다시 깨질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화석연료의 연소를 멈출 때까지 상황은 계속 악화될 것이다"고 경고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기후위기에 '물 리스크' 현실화…국내기업 22조원 피해

기후위기로 인한 홍수, 수질 오염 등 '물 리스크'가 현실화되면서 국내 주요 기업들이 22조원에 달하는 재무피해를 볼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다.21일 한

소비자 73% "ESG 우수기업 제품 구매의사 있다"

기업들은 경기불황을 이유로 ESG경영을 등한시하는 분위기이지만 소비자들은 ESG(환경·사회·지배구조)경영을 실천하는 기업의 제품을 구매할

수출 중견기업 ESG경영 확산되지만...애로는 여전

수출 중견기업들 사이에서 ESG 경영이 확산되고 있지만 여전히 인력과 자원 면에서 ESG경영으로 전환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1일

주인 바뀐 남양유업 6년만에 흑자..."강도높은 경영혁신 결과"

20일 남양유업은 2024년 연결 기준 당기순이익 2억5000만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이는 지난해 662억 원 순손실에서 흑자전환한 것으로, 2019년 3분기 이

트럼프 행정부, 31개 오염규제 폐지 추진..."20만명 목숨 빼앗을 것"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대기·수질관련 31건의 규제를 폐지하면 향후 25년간 약 20만명이 위험해질 것이라고 19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이 보

美·EU, ESG 규제 완화 움직임…대한상의 "새로운 대응 전략 모색해야"

미국, 유럽연합(EU) 등을 중심으로 ESG 규제 완화 기조가 이어지는 가운데, 우리 기업들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고 대응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자리가 마련

기후/환경

+

관세 다음은 '물 전쟁'?…미국과 멕시코 '강물 분배' 갈등

관세를 놓고 갈등을 벌이고 있는 미국과 멕시코가 이번에는 물공급을 놓고 힘겨루기를 하고 있다.미국 정부는 멕시코 티후아나가 콜로라도 강물을 공

사라지는 빙하에...20억 인구 식량·물부족 시달린다

빙하가 전례없는 속도로 녹아내리면서 전세계 20억 인구가 식량 및 물 부족 위험에 처했다.20일(현지시간) 유네스코는 '세계 물 개발 보고서 2025'에서 기

22일 밤 지구 위해 '1시간 불끄기'...롯데타워도 편의점도 동참

22일 오후 8시30분부터 1시간동안 서울의 랜드마크인 롯데월드타워를 비롯해 전국 주요 건물의 불이 꺼진다.세계자연기금(WWF)이 주최하는 '어스아워' 캠

트럼프 행정부, 31개 오염규제 폐지 추진..."20만명 목숨 빼앗을 것"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대기·수질관련 31건의 규제를 폐지하면 향후 25년간 약 20만명이 위험해질 것이라고 19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이 보

온난화로 점점 건조해지는 대기..."호흡기 질환자 증가할 것"

기후변화로 점점 건조해지는 대기는 기도에 탈수와 염증 증세를 일으킬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기도에 염증이 발생하면 천식, 알레르기성 비염

COP30 최고경영자 "기후대응 강화하지 않으면 전쟁 증가할 것"

다가오는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의 최고경영자가 기후변화에 대응하지 않으면 더 많은 전쟁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18일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