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회용 플라스틱 법적기준 마련해야"...환경부 "굳이?"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4-10-07 08:05:03
  • -
  • +
  • 인쇄


'일회용 플라스틱'에 대한 법적기준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에 환경부는 "굳이?"라는 뜨뜻미지근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자원재활용법)에는 '일회용품'을 △컵·접시·용기 △나무젓가락 △이쑤시개 △수저·포크·나이프 △광고선전물 등 12가지 품목별로 정의하고 있다. 이 12개 일회용품에는 종이와 금속박, 플라스틱 등 다양한 소재가 포함돼 있다.

이같은 '일회용품' 규정에 대해 국회입법조사처 환경노동팀 김경민 조사관은 뉴스트리와의 통화에서 "현재 우리나라는 일회용 종이컵과 일회용 플라스틱컵이 '일회용품'으로 뭉뚱그려 정의돼 있다"면서 "플라스틱 국제협약 채택에 발맞춰 우리나라도 '일회용 플라스틱'에 대해 별도의 법적 규정을 갖출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제기했다. 일회용 플라스틱을 규제할 법적 근거를 마련할 수 없으면 플라스틱 오염 대응에도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유럽연합(EU)의 경우는 '특정 플라스틱 제품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의 저감에 관한 지침'을 통해 음료병, 비닐봉지, 담배필터 등 10개 관리품목을 정하고 오는 2030년 이를 전부 퇴출시킬 계획이다. 뉴질랜드는 지난 2022년부터 포장용기, 비닐 쇼핑백, 면봉 등 일회용 플라스틱 6개 품목을 만들지 못하도록 금지시켰다. 인도 역시 지난 2022년부터 사탕·아이스크림 막대, 일회용 식기류 등 일회용 플라스틱 포장재 19개 품목을 제조 및 판매금지 조치를 했다.

이같은 추세는 오는 11월말 플라스틱 오염 종식을 목표로 부산에서 개최되는 플라스틱 국제협약의 마지막 5차 정부간 협상위원회(INC-5)가 최종합의되면 더욱 급물살을 탈 것으로 보인다. 이에 우리나라도 이에 발맞춰 '일회용 플라스틱'에 대한 법적 기준을 마련하고 규제에 나서야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환경부는 이같은 의견에 동의하지 않는 모습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뉴스트리와의 통화에서 "일회용 플라스틱에 대한 정의가 없더라도 자원재활용법 시행규칙에 일회용품을 업종별·재질별로 구분해 규제를 적용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일례로 체육시설에서는 일회용 응원용품의 무료제공을 금지하고 있는데 플라스틱 재질의 경우는 유상판매도 금지하고 있다는 것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일회용 플라스틱을 별도로 정의한다고 해도 결국 품목으로 관리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순서의 문제"라며 "일회용 플라스틱에 대한 정의가 없어도 이미 우리 국민들은 분리수거를 재질별로 잘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재질보다 품목이 훨씬 직관적이기 때문에 일회용품 플라스틱에 대해 별도로 규정해놓으면 되레 혼선만 초래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환경부의 이같은 주장에 김경민 조사관은 "제주도와 세종시에서 시행하는 '일회용컵 보증금제'로 수거된 컵들은 종이와 플라스틱이 혼합돼 있다"면서 "분리를 간소화하고, 고품질 원료를 수거하기 위해 만들어 놓은 제도인데, 말단에 가서 생활폐기물처럼 종이컵과 플라스틱컵을 또 분류해야 하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환경부 관계자는 "일회용 플라스틱컵만 재활용하고 일회용 종이컵은 재활용하지 않을 수 없는 노릇"이라며 "수거업체가 플라스틱컵과 종이컵을 분류해서 각각 재활용업체들에게 보내는 구조"라며 "수거단계부터 이를 분리하면 비용만 2배로 늘어날 뿐"이라고 반박했다.

한편 일회용컵 보증금제의 전국 시행이 유예되고 있는 상황에 대해 환경부 관계자는 "전국 확대시행 시점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지만, 보증금 환급을 위해 일회용컵에 부착되는 바코드 스티커 대신 QR코드를 도입하는 등 확대시행을 위해 제도를 꾸준히 개선해나가는 작업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셀트리온 임직원들, 조류충돌방지 스티커 부착 활동

셀트리온이 인천녹색연합과 함께 야생조류 보호를 위한 ESG 활동을 펼쳤다.셀트리온은 지난 25일 인천 영종도 일대에서 지역 시민단체인 인천녹색연합

코오롱 사장단 임원인사...40대 신규임원 대거 발탁

코오롱글로벌 대표이사에 코오롱ENP 김영범 사장을 내정하는 등 코오롱그룹이 24일 올해 정기인사를 일찌감치 단행했다.신임 김영범 코오롱글로벌 대

기후적응 신품종 개발한 CJ제일제당 '기후변화 그랜드리더스' 수상

기후대응 신품종을 개발한 CJ제일제당이 '기후변화 그랜드리더스어워드'를 수상했다. CJ제일제당은 재단법인 기후변화센터가 주관하는 '제15회 기후변

러쉬, 해양플라스틱 재활용 용기 도입...글로벌 뷰티업계 최초

프레쉬 핸드메이드 코스메틱 브랜드 러쉬(LUSH)가 글로벌 뷰티업계 최초로 '오션 플라스틱 방지 인증(Prevented Ocean Plastic™, 이하 POP)' 용기 비중을 늘

해킹 피해 안당했다더니...LG유플러스 서버도 뚫렸다

LG유플러스도 서버가 해킹 당한 정황을 사이버 보안당국에 신고했다. 이에 따라 국내 이통3사가 모두 사이버침해를 당했다.23일 연합뉴스는 LG유플러스

LG CNS, 난민 돕는다...유엔난민기구에 AI법률지원 서비스 기부

AX전문기업 LG CNS가 유엔난민기구와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난민 법률지원 프로그램을 구축하고, 이를 기부한다고 23일 밝혔다. AI 기술을 통해 법률서비

기후/환경

+

탄소배출권 수익으로 생태복원...호주에서 생태경제 모델 시험

호주가 탄소배출권 수익을 활용해 생태계 복원에 나서는 새로운 모델을 선보였다.27일(현지시간) 호주 비영리단체 부시 헤리티지 오스트레일리아(Bush H

[날씨] "패딩 꺼내 입으세요"...28일 아침 영하권 날씨

북쪽에서 찬공기가 유입되면서 월요일인 27일 아침 기온이 한기를 느낄 정도로 차가워졌다. 그러나 화요일인 28일 아침은 기온이 더 떨어져 영하권으로

김장 배추값 또 폭등?...잦은 비에 배추농사 무너졌다

올가을에도 잦은 비로 인해 배추 작황이 나빠지면서 김장배추 가격이 치솟을 조짐이다.농촌진흥청 관계자는 27일 본지와의 통화에서 "기상이 평년보다

'슈퍼태풍' 배후는 석유기업?..."소송으로 기후책임 묻는다"

석유화학 기업들이 기후변화를 일으킨 주범으로 지목되면서 소송을 당하거나 패소하는 등의 사회적 책임이 가해지고 있다. 필리핀의 슈퍼태풍에서 살

막가는 트럼프 행정부...북극곰 서식지에 석유시추 승인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알래스카 국립야생동물보호구역(ANWR) 전역에 석유·가스 시추를 할 수 있도록 승인해 빈축을 사고 있다.23일(현지시

美플로리다 산호...유례없는 해양 열파에 사실상 '멸종단계'

미국 플로리다의 산호초가 기후변화로 사실상 멸종단계에 이르렀다.24일 미국 해양대기청(NOAA)과 시카고의 셰드수족관 연구팀은 플로리다주 해안에 서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