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경쟁 좌우할 '전기 탄소발자국'...韓 213개국 중 104위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4-10-08 08:01:02
  • -
  • +
  • 인쇄


우리나라에서 생산된 전기의 탄소집약도는 전세계 213개국 가운데 104위로 전기의 탄소발자국이 높은 수준이다.

영국 저탄소전환 컨설팅업체 카본풋프린트(Carbon Footprint)가 지난 9월 공개한 2017~2022년 국가별 '전력배출계수'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우리나라 전기의 탄소발자국은 1킬로와트시(kWh)당 0.488kg이다.

'전력배출계수'는 1년동안 전력발전소에서 배출된 온실가스를 전기발전량으로 나눈 값으로, 에너지믹스에 따라 이 계수는 달라진다. 따라서 국가의 전력배출계수가 높다는 것은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원의 탄소집약도가 그만큼 높다는 의미다. 제품생산에 전기는 중요한 에너지원이기 때문에 '전력배출계수'는 탄소규제 핵심으로 부상하고 있다. 의류 탄소배출량의 30% 이상, 건설용 철강 및 가전제품의 탄소배출량 70% 이상이 '전기'가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높다.

온실가스 통합 통계체계 구축을 목표로 출범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탄소감축포럼(IFCMA)은 올해말 전력배출계수 산정방식 고도화 논의를 담은 '탄소집약도 작업보고서'를 발간할 예정이다. 일례로 동일한 제품을 생산하더라도 가뭄으로 수력발전이 제한된 연도의 전기 탄소집약도는 그렇지 않은 연도보다 높을 것이기 때문에 기상조건과 발전시설별 사용시간에 따른 집약도를 따질 정도로 정밀하게 관리한다는 방침이다.

상황이 이러하지만 우리나라 국가 전력배출계수는 2017~2022년 전세계 213개 국가 가운데 81~104위를 오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2022년 전세계 국가 전력배출계수 평균값은 0.439kg이였지만 우리나라는 국가 전력배출계수가 이보다 높은 0.488kg을 기록했다.

이는 빠르게 전력배출계수를 낮추고 있는 유럽 선진국과는 대조적인 모습이다. 우리나라 국가 전력배출계수는 2017년 0.561kg에서 2022년 0.488kg으로 13% 줄었다. 반면 로이터통신 보도에 따르면 유럽에서 경제규모가 가장 큰 독일, 프랑스, 영국, 이탈리아, 스페인, 네덜란드 등 6개국의 평균 국가 전력배출계수는 2023년 11월 0.253kg이었다. 이는 지난 2018년 0.330kg보다 23.3%나 줄인 것이다.

유럽의 전력배출계수 감소추세는 앞으로 더 빨라질 전망이다. 유럽 환경청(EEA)은 지난 6월 유럽연합(EU) 역내 국가별 전력배출계수를 공개하면서 회원국 사이의 전력배출계수 간극이 점차 벌어지고 있는 것을 문제삼았다. 2022년 기준 스웨덴 국가 전력배출계수는 0.008kg, 룩셈부르크 0.062kg, 핀란드 0.062kg인 반면 폴란드는 0.681kg, 에스토니아는 0.693kg일 정도로 차이가 컸기 때문이다.

EEA는 역내 전기요금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2050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려면 국가별 전력배출계수 간극의 해소가 필수적이라고 보고, 재생에너지 발전원을 더 빠르게 배치하는 한편 EU 전역의 전기 인프라를 최적화할 수 있는 추가적인 조처를 해나간다는 방침이다.

국가 전력배출계수는 곧 제품별 전력배출계수를 좌우할 수 있기 때문에 세계 각국은 이에 대응하기 위해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기업들 역시 제품별 전력배출계수를 낮추기 위해 재생에너지 비중을 높여나가고 있다. 특히 한국전력공사에서 전기공급을 독점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는 기업들이 재생에너지 전력을 직접 확인될 수 있는 PPA를 확대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한국에너지공단 한 관계자는 "우리나라 전력망은 네트워크 방식으로 한전의 관리 하에 전체가 묶여있다보니 어떤 전기를 어디에 사용하는지 꼬리표가 없다"면서 "수출기업 입장에서는 재생에너지를 PPA로 조달하는 방식으로 명확하게 구분짓지 않는 이상 제품의 전기 탄소집약도를 구할 때 국가 전체 평균값을 적용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카카오 '장시간 노동' 의혹...노동부, 근로감독 착수

카카오가 최근 불거진 장시간 노동 문제를 두고 고용노동부의 근로감독을 받게 됐다.고용노동부 관할지청인 중부지방고용노동청 성남지청은 이달초

사고발생한 기업들 ESG 순위도 추락...산재로 감점 2배 증가

자산 2조원 이상의 대기업 가운데 현대홈쇼핑과 현대백화점, 유한양행, 풀무원, 한국지역난방공사가 올 하반기 서스틴베스트 ESG 평가에서 상위에 랭크

대주·ESG경영개발원, ESG 컨설팅·공시 '협력'

대주회계법인과 한국ESG경영개발원(KEMI)이 ESRS·ISSB 등 국제공시 표준 기반 통합 컨설팅 서비스 공동개발에 나선다.양사는 14일 ESG 전략·공시&mi

JYP, 美 타임지 '지속가능 성장기업' 세계 1위

JYP엔터테인먼트가 미국 타임지 선정 '세계 최고의 지속가능 성장기업' 세계 1위에 올랐다.JYP는 미국 주간지 타임과 독일 시장분석기업 스태티스타가

우리은행, 1500억 녹색채권 발행…녹색금융 지원 확대

우리은행이 1500억원 규모의 한국형 녹색채권을 발행하며 친환경 분야에 대한 금융 지원을 확대한다.우리은행은 기후에너지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

"페트병 모아 사육곰 구한다"...수퍼빈, 곰 구출 프로젝트 동참

AI 기후테크기업 수퍼빈이 이달 1일 녹색연합과 함께 사육곰 구출프로젝트 '곰 이삿짐센터'를 시작하며, 전국 어디서나 참여할 수 있는 자원순환형 기

기후/환경

+

수도권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 예정대로 내년부터 시행

내년부터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지역에서 발생하는 생활폐기물은 땅에 매립하지 못한다. 17일 기후에너지환경부에 따르면 기후부 및 수

미세플라스틱 '만성변비' 유발한다…장 건강 영향 첫 규명

공기 중 미세플라스틱을 흡입하면 변비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부산대학교 바이오소재과학과 황대연 교수 연구팀은 캐나다 토

"공적금융 청정에너지 투자 확대하면 일자리 2배 증가"

공적 금융기관들이 화석연료 대신 청정에너지 사업에 투자를 늘리게 되면 국내 일자리가 대폭 늘어나 취업난의 새로운 열쇠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중국이 왜 받아?...엉뚱한 나라로 흘러가는 기후재원

부유국 기후자금이 최빈국보다 중소득국에 더 많이 흘러간 것으로 나타났다.14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과 카본브리프가 공동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사고발생한 기업들 ESG 순위도 추락...산재로 감점 2배 증가

자산 2조원 이상의 대기업 가운데 현대홈쇼핑과 현대백화점, 유한양행, 풀무원, 한국지역난방공사가 올 하반기 서스틴베스트 ESG 평가에서 상위에 랭크

아열대로 변하는 한반도 바다...아열대 어종 7종 서식 확인

우리나라 연안의 바다 수온이 계속 상승하면서 전에 없었던 아열대 어종들이 줄줄이 발견되고 있다.국립수산과학원은 올해 우리나라 배타적경제수역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