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급 재앙' LA산불...美캘리포니아 보험시장도 '위기'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5-01-13 15:11:18
  • -
  • +
  • 인쇄
▲대형 산불로 전소된 LA 주택과 막막한 주민(사진=AP 연합뉴스)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LA) 산불로 인해 캘리포니아 보험시장이 붕괴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5일째 이어지는 산불로 인해 피해건물만 1만여채가 훌쩍 넘고 있는 데다, 아직도 산불이 완전히 진화되지 못해 앞으로 얼마나 더 많은 피해가 발생할지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이번 산불은 지난 7일(현지시간) 태평양 해안에 인접해 있는 LA의 부촌 퍼시픽 팰리세이즈에서 가장 먼저 시작돼 12일 현재까지 5일째 이어지고 있다. 계절성 돌풍 '샌타애나'가 불길을 더 확산시키면서 산불은 LA 인근 4~5곳에서 동시다발로 발생했다. 산불 피해면적은 156.3평방킬로미터(㎢)로 서울 면적의 4분의 1이 넘었고, 주택 등 건물 1만2000여채가 파괴됐다.

피해가 확대되면서 사후 복구비용도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10일(현지시간) 보험업계 분석가들은 전체 손실액이 아무리 낮게 잡아도 73조원 이상일 것으로 예상했다. 미국의 대형 금융사 웰스파고는 이번 재난으로 인한 경제적 타격이 약 88조4160억원을 훌쩍 넘을 것으로 추정했다. 상업용 기상예측 사이트 아큐웨더는 손실액이 약 199조원에서 최대 221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JP모건은 이번 산불로 보험 손실액이 가장 큰 보험사로 올스테이트와 처브, 트래블러스코스 등 3개사를 꼽았다. 이 3개사가 캘리포니아 주택소유자 보험 시장 점유율이 가장 높기 때문이다. 특히 처브는 순자산이 많은 보험에 집중하고 있는데, 이번 화재의 주된 피해지역이 대부분 부촌이라는 점에서 막대한 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몇몇 보험사에 부담이 치중되면서 청구금액을 보상하지 못하고 파산할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이처럼 보험시장 점유율이 일부 보험사로 몰린 이유는 최근 수년간 미국 보험사들이 캘리포니아를 '탈출'하는 움직임을 보였기 때문이다. 실제로 캘리포니아주 보험국(CDI) 최신 데이터에 따르면 2020~2022년 보험사들이 캘리포니아주에서 거부한 주택보험 계약은 280만건에 달한다. 여기엔 산불 피해가 큰 LA 카운티 지역 보험계약이 53만1000건이나 포함됐다.

캘리포니아주 주택보험의 21%를 점유하고 있던 대형보험사 스테이트팜은 지난해 5월부터 캘리포니아주 주택 보험 신규 가입과 갱신을 거부했고 지난해 7월 캘리포니아주에서만 7만2000개 보험서비스를 중단했다. 이로 인해 점유율이 거의 70%나 감소했다. 이밖에도 도키오 마린 아메리카 보험과 트랜스퍼시픽은 2020년부터 점차적으로 캘리포니아에 보험서비스를 축소 및 중단했다.

보험사들의 캘리포니아 기피 현상의 원인은 기후변화다. 갈수록 기상이변으로 인한 산불, 홍수, 폭풍의 발생 확률과 피해 규모가 커지면서 보상금액이 커졌기 때문이다. 이번 산불을 제외하고도 캘리포니아 역사상 가장 피해가 큰 산불 상위 20건 중 15건이 2015년 이후 발생한 것이다.

보험업계 한 관계자는 "퍼시픽 팰리세이즈 지역은 주택가치가 높은 반면 덤불이 우거진 산타모니카 산맥 옆에 있어 화재에 취약하다"며 "보험사가 돈을 잃지 않고는 허용 가능한 요율로 보험을 제공할 수 없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이에 캘리포니아주 보험국(CDI)은 산불의 영향을 받은 특정지역에서 보험사가 주택소유자 보험을 취소 및 갱신하는 것을 1년간 의무적으로 유예한다는 정책을 발표했다. 이는 막대한 청구 비용을 고객에게 전가하기 위해 보험사가 보험금을 높여 갱신하거나 피해 예상 지역의 보험을 일찌감치 취소하려는 것을 막기 위한 정책이다. 피해 지역 주민들에 대한 구제책이지만 일각에서는 "모든 부담을 보험사가 부담하게끔 하는 정책"이라며 "보험사들이 청구 금액을 버티지 못하고 파산하면 더 많은 이들이 보험 사각 지대에 놓일 것"이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캘리포니아 전 보험국장이자 UC버클리대학 데이브 존스 교수는 "장기적으로 우리는 화석연료와 온실가스 배출이라는 근본적인 원인을 다루기 위해 충분히 노력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미국 전역에서 보험을 이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이어질 것"이라며 "우리는 이 나라에서 보험에 가입할 수 없는 미래로 꾸준히 나아가고 있다"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낡은 옷, 포인트로 바꾸세요"...현대百 '바이백' 서비스 시행

현대백화점이 중고패션 보상프로그램 '바이백(buy back)' 서비스를 도입한다. 가지고 있는 의류를 되팔면 해당 상품 중고시세에 해당하는 금액을 현대백

SK이노베이션, 2030년까지 베트남 맹그로브숲 복원 나선다

SK이노베이션이 베트남에서 '아시아의 허파'로 불리는 맹그로브숲 복원사업에 나선다.SK이노베이션은 7일 베트남 짜빈(Tra Vinh)성 정부 및 현지 사회적기

KCC글라스 '2024-25 ESG보고서' 발간...KPI와 연계

KCC글라스가 지속가능경영 성과와 성장전략을 담은 '2024/25 ESG보고서'를 발간했다고 7일 밝혔다.올해 다섯번째로 발간된 이번 보고서는 △ESG 전략목표와

[최남수의 ESG풍향계] 글로벌 기업들 '지속가능 공시' 적극적인 이유

이재명 정부는 ESG 정책에 대해 전향적인 변화를 줄 것으로 예상된다. 그 가운데 정책의 우선순위를 둘 것으로 보이는 정책은 지속가능성 공시다. 윤석

SK케미칼 '2024 지속가능 경영보고서' 발간..."5대 과제 평가 담아"

SK케미칼이 1년간의 ESG성과와 향후 전략을 담은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보고서는 글로벌 공시 기준으로 통용되는 △

정부 '위약금 면제' 수용한 SKT..."정보보호에 7000억 투자" 결정

SK텔레콤이 해킹 사고로 번호이동한 가입자에 대해 위약금을 면제해야 한다는 정부의 요청을 수용하기로 결정했다.SKT는 침해사고 발생전인 4월 18일 기

기후/환경

+

서울 지역에 따라 지표면 온도 4.2℃까지 차이...이유는?

서울지역 한낮 최고기온이 35℃를 넘나들고 있는 가운데 서울도 지역에 따라 지표면 온도가 최대 4.2℃까지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숲의 면

[주말날씨] 백두대간 서쪽은 '찜통더위'...동쪽은 '더위' 꺾여

이번 주말에도 백두대간 서쪽과 내륙은 체감온도가 35℃를 넘나드는 '극한폭염'이 이어지겠다. 곳곳에서 낮동안의 폭염의 영향으로 밤에도 기온이 내

'참치' 늘고 '오징어' 줄고...뜨거워진 동해안 어종 바뀌고 있다

동해안은 전세계 연안에 비해 수온이 3배 빠르게 상승하고 있는 탓에 어종도 바뀌고 있다.연일 35℃가 넘는 폭염이 한창인 10일 오후 3시 동해안의 수온

"기후에너지부 제대로 작동하려면 기후재정 혁신해야"

정부가 기후예산을 재설계하지 않고 기후에너지부를 개편하는 것만으로는 탄소중립을 달성할 수 없다는 전문가들의 제언이 나왔다.10일 기후재정포럼

'불판'으로 변한 지구…40℃ 폭염이 일상화 되려나

지구촌 곳곳이 '불판'처럼 달아오르고 있다. 아직 한여름이 시작되지 않았는데 유럽과 중국 그리고 우리나라의 한낮 기온이 40℃를 넘나들고 있다. 지

수백명 희생된 美 텍사스주 대홍수 나흘만에 뉴멕시코도 '홍수'

미국 텍사스주에서 대홍수 참사가 발생한지 나흘만에 이번에 뉴멕시코주에서 홍수로 인명 피해가 발생했다.9일(현지시간) AP통신 등 현지언론에 따르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