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세계 석탄발전용량 '사상 최고'...亞 석탄사용량 '급증'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5-02-10 16:13:45
  • -
  • +
  • 인쇄

재생에너지 발전량이 늘고 있음에도 인공지능(AI) 등으로 에너지 수요가 급증하면서 중국 등 아시아 국가를 중심으로 석탄 사용량이 늘어나고 있다.

글로벌에너지모니터가 지난 6일(현지시간) 공개한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해 세계 석탄발전용량은 약 2175GW로 사상 최고를 기록했다. 인공지능(AI) 등으로 전력수요가 급격히 증가한 데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가스 가격도 급등했기 때문이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서는 세계 석탄 수요가 2024년 87억7000만톤으로 절정을 찍고 이 추세가 2027년까지 유지될 것으로 예측했다. 글로벌에너지모니터 관계자는 "석탄 수요가 유럽과 미국에서는 크게 감소하는 반면 아시아에서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지난해 중국의 석탄 수입량은 14.4% 증가하면서 역대 최고치인 5억4270만톤에 달했다. 중국은 2023년에도 석탄 수입량이 4억7442만톤이었다. 중국은 전세계 석탄 수요의 56% 이상을 차지하는 세계 최대의 석탄소비국이다.

이처럼 중국이 석탄 비축량을 늘리고 있는 것은 이상기후로 전력이 부족해질 것에 대비하는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해석했다. 강우량 부족으로 수력발전량이 낮아지면 중국 정부는 석탄에 의존해 에너지 안보를 확보한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중국에서 재생에너지 인프라가 갖춰질 때까지 석탄은 중국의 '에너지 중추'가 될 것"이라고 했다. 송·배전선 등 재생에너지를 다른 지역에 보급하기 위한 인프라를 갖추는 데에는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다.

인도에서는 기후변화로 극심한 폭염에 시달리면서 냉방에너지 수요가 급증했다. 그러나 빠르게 늘어나는 전력 수요에 비해 청정에너지원 건설 속도는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석탄 소비가 증가한데는 시멘트·철강 소비가 늘어난 것도 한몫했다. 인도 컨설팅기업 크리실은 건설업에서 철강 사용량이 늘면서 2025년 인도의 철강 수요가 8~9%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외에도 방글라데시,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이 신규 석탄발전소를 건설하고 있고, 베트남은 지난해 석탄 수입량이 10년 이내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대만을 제치고 세계 5위의 석탄 수입국이 됐다. 인도네시아도 석탄 생산량이 지난해 약 8억3100만톤으로 늘어나 최고치를 기록했다. 필리핀의 경우 전체 전력에서 석탄이 차지하는 비중이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크다. 석탄의 비중은 2023년 이미 중국을 추월했다.

IEA는 2025년에도 전세계 전력 소비량이 계속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다. AI와 데이터센터가 에너지 수요를 가속화하면서 석탄 수요도 같이 늘어나고 있다는 것이다. 무디스 투자자서비스 보고서에 따르면 2030년까지 데이터센터의 전력 수요는 2022년 17GW의 2배 이상인 35GW를 초과할 것으로 전망됐다.

전력 사용량이 어마어마한 데이터센터 수요가 늘어날수록, 값싸고 안정적인 석탄발전을 끊을 수 없게 된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았다. 캐나다 투자업체 나인포인트 파트너스의 에릭 너탈 사무국장은 "석유, 천연가스, 석탄 수요가 계속해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는 한 전환은 있을 수 없다"고 단정했다.

그렇다고 중국과 인도가 재생에너지 목표를 소홀히 한 것은 아니다. 에너지싱크탱크 엠버에너지에 따르면 2023년 수력·풍력·태양광 에너지가 중국 전력의 30%를 차지했다. 또 중국 국가에너지국에 따르면 2024년 풍력과 태양광 신규 설비 설치량도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

인도는 2030년까지 전력 수요의 50%를 재생에너지로 채우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그리고 인도 신재생 에너지부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인도 재생에너지는 전력 생산용량의 46.3% 이상을 차지했다.

전문가들은 "최근 유럽과 동북아시아에서는 석탄 소비가 감소하고 있다며 재생에너지 확산과 LNG 공급의 급증으로 일부 시장에서 석탄 수입이 줄어들 수 있다"고 내다봤다. 또 "각국이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를 3배로 늘리겠다는 공약을 지킬 경우 이 기간 석탄이 크게 줄어들 수 있다"고 덧붙였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페트병 모아 사육곰 구한다"...수퍼빈, 곰 구출 프로젝트 동참

AI 기후테크기업 수퍼빈이 이달 1일 녹색연합과 함께 사육곰 구출프로젝트 '곰 이삿짐센터'를 시작하며, 전국 어디서나 참여할 수 있는 자원순환형 기

아름다운가게, 돌봄 공백에 놓은 아동·청소년 돕는다

재단법인 아름다운가게가 재단법인 서울시복지재단, 사단법인 피스모모와 함께 13일 협약식을 갖고 '가족돌봄아동·청소년 연결 및 지원사업-함께

LG CNS 'LG ESG 인텔리전스' ASOCIO 어워드 ESG 수상

LG CNS가 자체 개발한 ESG 데이터 플랫폼 'LG ESG 인텔리전스'로 국제적 권위가 있는 아시아·오세아니아 정보산업기구(ASOCIO) 어워드에서 'ESG 부문'을

'새벽배송 금지' 놓고 극과극 입장차...합리적 해법 나올까

최근 발생한 쿠팡 새벽배송 노동자 사망 사건을 계기로 새벽배송 문제가 다시 '뜨거운 감자'로 대두됐다. 숨진 노동자는 극심한 업무강도에 시달린 것

"국민연금, ESG 원칙 위반한 키움·흥국증권을 거래사로 선정"

국민연금이 ESG 경영 강화를 내세우며 거래증권사 평가에서 ESG 비중을 확대했지만, 신규 석탄발전소 채권을 주관한 증권사들이 여전히 거래증권사 명

[손기원의 ESG 인사이드] 美캘리포니아 '기후공시 3법'의 위력

최근 글로벌 ESG 공시 지형이 복잡하게 흘러가고 있다. 미국은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기후공시 규칙이 무력화됐고,

기후/환경

+

이대로면 지구 2.6℃ 오른다...화석연료 배출량도 '최고치'

지금 추세대로 가면 지구의 평균기온은 산업화 이전 대비 2.6℃까지 오를 것이라는 섬뜩한 전망이 나왔다. 기후행동추적(Climate Action Tracker)이 13일 발간

20억명이 화석연료 매연에 노출..."석탄·석유 시설 5km 이내 거주"

전세계 인구의 25%가 화석연료 시설로 인해 건강을 위협받고 있다.전세계 인구의 25%에 달하는 20억명이 석유와 가스, 석탄 등 화석연료 생산시설로부터

[COP30] 기후관련 가짜뉴스 근절한다...'정보 무결성 선언' 첫 채택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에서 기후정보 조작과 허위정보 확산을 막기 위한 '정보 무결성 선언'이 처음으로 채택됐다.12일(현지시간)

[COP30] 인도, EU 탄소국경세에 맹폭…"기후정책 가장한 보호무역"

브라질 벨렝에서 열리고 있는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에서 인도가 유럽연합(EU)의 탄소국경조정세(CBAM)를 공개비판하면서 이 문제가

"韓, COP30에서 화석연료 금융 중단하는 CETP 가입해야"

전세계 79개 시민사회단체가 한국 정부를 향해 브라질 벨렝에서 열리는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에서 청정에너지전환파트너십(CETP)에

LG CNS 'LG ESG 인텔리전스' ASOCIO 어워드 ESG 수상

LG CNS가 자체 개발한 ESG 데이터 플랫폼 'LG ESG 인텔리전스'로 국제적 권위가 있는 아시아·오세아니아 정보산업기구(ASOCIO) 어워드에서 'ESG 부문'을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