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 산불지역 주택 뒤덮은 분홍가루...알고보니 '독성 중금속' 범벅

손민기 기자 / 기사승인 : 2025-02-14 12:30:28
  • -
  • +
  • 인쇄
▲분홍색 산불 진압제로 뒤덮인 차량(사진=연합뉴스)


미국 로스앤젤레스(LA)에서 산불을 진화하기 위해 곳곳에 뿌려졌던 분홍색 가루가 독성물질 범벅인 것으로 밝혀졌다.

13일(현지시간) 남캘리포니아대학교(USC) 다니엘 맥커리 박사 연구팀은 LA 산불지역에 발화 지연제로 살포됐던 분홍색 가루의 성분에 카드뮴과 비소, 크롬 등 온갖 종류의 독성 중금속이 다량 함유돼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일부 제품의 중금속 농도는 미국 식수 기준보다 3000배 이상 높았다. 이 때문에 그동안 미국 연방정부와 제조업체는 제품의 성분에 대해 함구한 것 아니냐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이 발화 지연제는 산소와의 접촉을 차단시켜 연소 속도를 늦추는 효과가 있다. 미국에서 1963년부터 화재진압에 사용됐다. 제품은 13종 정도이며, 대표적인 제품이 '포스첵(Phos check)'이다. 이 가루가 어디에 뿌려졌는지 쉽게 식별하기 위해 붉은색 염료가 포함돼 있다. 하지만 이 제품들은 물과 비료 성분만 공개할 뿐 나머지 성분들에 대해서는 철저히 '영업 비밀'(trade secrets)에 부쳐지고 있다.

이 때문에 환경보호단체들은 오랫동안 이 물질의 독성 여부를 의심해 왔다. 이번 연구가 처음으로 독성 중금속이 포함되어 있음을 과학적으로 확인한 첫 사례다. 연구진은 제품에 포함돼 있는 중금속이 항공기 탱크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됐을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보통은 산불 확산을 막기 위한 용도로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초목이나 땅 위에 뿌린다. 하지만 이번 LA 산불은 피해 범위가 워낙 넓어서 주택과 차량 등 마을 곳곳에 뿌려졌다. 하루 최대 25대의 항공기를 통해 공중에 살포된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에 따르면 2009년~2021년까지 약 44억갤런(약 1665억리터)이 공중에서 살포됐다. 이에 따라 중금속 배출량도 그만큼 급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연구진은 2009년~2021년까지 산불 진압제가 살포된 지역과 그곳의 중금속 농도 데이터를 비교한 결과, 가루가 살포된 지역의 중금속 농도가 현저히 증가한 모습을 보였다. 이는 발화 진연제 자체가 주요 오염원이라는 사실을 데이터가 방증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이번 연구결과는 환경과학저널 '환경 과학과 기술'(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Letters)에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기후위기에 '물 리스크' 현실화…국내기업 22조원 피해

기후위기로 인한 홍수, 수질 오염 등 '물 리스크'가 현실화되면서 국내 주요 기업들이 22조원에 달하는 재무피해를 볼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다.21일 한

소비자 73% "ESG 우수기업 제품 구매의사 있다"

기업들은 경기불황을 이유로 ESG경영을 등한시하는 분위기이지만 소비자들은 ESG(환경·사회·지배구조)경영을 실천하는 기업의 제품을 구매할

수출 중견기업 ESG경영 확산되지만...애로는 여전

수출 중견기업들 사이에서 ESG 경영이 확산되고 있지만 여전히 인력과 자원 면에서 ESG경영으로 전환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1일

주인 바뀐 남양유업 6년만에 흑자..."강도높은 경영혁신 결과"

20일 남양유업은 2024년 연결 기준 당기순이익 2억5000만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이는 지난해 662억 원 순손실에서 흑자전환한 것으로, 2019년 3분기 이

트럼프 행정부, 31개 오염규제 폐지 추진..."20만명 목숨 빼앗을 것"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대기·수질관련 31건의 규제를 폐지하면 향후 25년간 약 20만명이 위험해질 것이라고 19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이 보

美·EU, ESG 규제 완화 움직임…대한상의 "새로운 대응 전략 모색해야"

미국, 유럽연합(EU) 등을 중심으로 ESG 규제 완화 기조가 이어지는 가운데, 우리 기업들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고 대응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자리가 마련

기후/환경

+

관세 다음은 '물 전쟁'?…미국과 멕시코 '강물 분배' 갈등

관세를 놓고 갈등을 벌이고 있는 미국과 멕시코가 이번에는 물공급을 놓고 힘겨루기를 하고 있다.미국 정부는 멕시코 티후아나가 콜로라도 강물을 공

사라지는 빙하에...20억 인구 식량·물부족 시달린다

빙하가 전례없는 속도로 녹아내리면서 전세계 20억 인구가 식량 및 물 부족 위험에 처했다.20일(현지시간) 유네스코는 '세계 물 개발 보고서 2025'에서 기

22일 밤 지구 위해 '1시간 불끄기'...롯데타워도 편의점도 동참

22일 오후 8시30분부터 1시간동안 서울의 랜드마크인 롯데월드타워를 비롯해 전국 주요 건물의 불이 꺼진다.세계자연기금(WWF)이 주최하는 '어스아워' 캠

트럼프 행정부, 31개 오염규제 폐지 추진..."20만명 목숨 빼앗을 것"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대기·수질관련 31건의 규제를 폐지하면 향후 25년간 약 20만명이 위험해질 것이라고 19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이 보

온난화로 점점 건조해지는 대기..."호흡기 질환자 증가할 것"

기후변화로 점점 건조해지는 대기는 기도에 탈수와 염증 증세를 일으킬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기도에 염증이 발생하면 천식, 알레르기성 비염

COP30 최고경영자 "기후대응 강화하지 않으면 전쟁 증가할 것"

다가오는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의 최고경영자가 기후변화에 대응하지 않으면 더 많은 전쟁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18일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