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업중단 위기 맞았던 홈플러스...채권 조기변제로 급한불 껐다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5-03-07 18:07:50
  • -
  • +
  • 인쇄
▲홈플러스 매장(사진=연합뉴스)

협력사들의 납품중단으로 영업중단 위기를 맞았던 홈플러스가 법원의 채권조기변제 허가와 금융권의 협력사 지원 등으로 한숨을 돌리게 됐다. 

홈플러스가 기업회생절차에 들어가자, 제품을 납품하는 기업들은 미정산 사태가 터질 것을 우려해 납품을 중단하거나 물량을 축소하는 조치를 취했다. 이 때문에 홈플러스가 영업을 못하게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팽배해졌다.

이에 홈플러스는 가용현금 3000억원을 동원해 일반 상거래 채권에 대한 지급을 재개하면서 CJ제일제당, 농심, 오뚜기 등이 일시 중단했던 납품을 재개하기로 했다. 

여기에 7일 서울회생법원이 홈플러스가 신청한 채권 조기 변제를 허가하면서 지난해 12월부터 올 2월까지 3개월간 발생한 물품 대금 등 3457억원을 갚을 수 있게 됐다. 법원이 홈플러스의 정상적인 영업을 위해 이같은 결정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

이날 우리은행과 하나은행도 홈플러스에 납품하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등 협력사의 긴급 경영안정 자금을 최대 5억원씩 지원하기로 했다. 홈플러스의 납품대금 미지급으로 어려움을 겪는 협력사들이 발생할 것에 대한 사전조치로 해석된다. 

우리은행은 "신속한 심사를 통해 기업당 최대 5억원의 자금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고, 하나은행도 "기업당 최대 5억원 이내의 긴급경영안정자금 지원하고 원금 상환 없이 최대 1년 내 기업대출 만기 연장 등을 지원하겠다"고 했다.

이처럼 법원과 금융권 등이 적극 나서면서 홈플러스 기업회생으로 인한 미정산 사태는 티몬의 사례처럼 크게 번지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또 당장 부도가 난 것이 아니라 홈플러스가 지난 4일 회생절차를 신청하면서 거래계좌가 막혀 대금 지급이 지연된데서 비롯됐기 때문에 연쇄적인 상황으로 이어지지 않았다. 

하지만 일부 업체들은 홈플러스의 자금 집행 계획이 여전히 불확실하다고 판단해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 홈플러스 납품업체는 1800곳, 임차인은 7000곳에 이르는 상황이라 리스크를 완전히 해소할 수 있을지 의심된다는 것이다.

당초 회생신청을 한 이유도 최근 유통업계간 경쟁 심화와 이커머스의 발달로 고객들을 뺏기면서 지난 2022년 2월부터 지난해 2월까지 3년 연속 1000억~2000억원대 영업손실을 기록했고, 지난해 11월말 총 차입금은 5조4620억원, 부채비율은 1408%에 달할 정도로 경영이 악화됐기 때문이다.

국내 대형마트 2위인 홈플러스의 회생신청은 시장에 큰 충격을 안겨줬을 뿐만 아니라 대주주인 MBK파트너스의 경영능력에도 흠집을 냈다. 외부자금을 차입해 기업을 인수한 뒤 알짜자산을 매각하고 껍데기를 다시 매각하는 방식으로 이득을 취하는 사모펀드의 행태도 도마위에 오르고 있다. MBK파트너스는 홈플러스가 기업회생을 신청한 상황에서도 다른 기업에 매각하기 위한 협상을 물밑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더욱 빈축을 사고 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기후위기에 '물 리스크' 현실화…국내기업 22조원 피해

기후위기로 인한 홍수, 수질 오염 등 '물 리스크'가 현실화되면서 국내 주요 기업들이 22조원에 달하는 재무피해를 볼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다.21일 한

소비자 73% "ESG 우수기업 제품 구매의사 있다"

기업들은 경기불황을 이유로 ESG경영을 등한시하는 분위기이지만 소비자들은 ESG(환경·사회·지배구조)경영을 실천하는 기업의 제품을 구매할

수출 중견기업 ESG경영 확산되지만...애로는 여전

수출 중견기업들 사이에서 ESG 경영이 확산되고 있지만 여전히 인력과 자원 면에서 ESG경영으로 전환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1일

주인 바뀐 남양유업 6년만에 흑자..."강도높은 경영혁신 결과"

20일 남양유업은 2024년 연결 기준 당기순이익 2억5000만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이는 지난해 662억 원 순손실에서 흑자전환한 것으로, 2019년 3분기 이

트럼프 행정부, 31개 오염규제 폐지 추진..."20만명 목숨 빼앗을 것"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대기·수질관련 31건의 규제를 폐지하면 향후 25년간 약 20만명이 위험해질 것이라고 19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이 보

美·EU, ESG 규제 완화 움직임…대한상의 "새로운 대응 전략 모색해야"

미국, 유럽연합(EU) 등을 중심으로 ESG 규제 완화 기조가 이어지는 가운데, 우리 기업들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고 대응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자리가 마련

기후/환경

+

관세 다음은 '물 전쟁'?…미국과 멕시코 '강물 분배' 갈등

관세를 놓고 갈등을 벌이고 있는 미국과 멕시코가 이번에는 물공급을 놓고 힘겨루기를 하고 있다.미국 정부는 멕시코 티후아나가 콜로라도 강물을 공

사라지는 빙하에...20억 인구 식량·물부족 시달린다

빙하가 전례없는 속도로 녹아내리면서 전세계 20억 인구가 식량 및 물 부족 위험에 처했다.20일(현지시간) 유네스코는 '세계 물 개발 보고서 2025'에서 기

22일 밤 지구 위해 '1시간 불끄기'...롯데타워도 편의점도 동참

22일 오후 8시30분부터 1시간동안 서울의 랜드마크인 롯데월드타워를 비롯해 전국 주요 건물의 불이 꺼진다.세계자연기금(WWF)이 주최하는 '어스아워' 캠

트럼프 행정부, 31개 오염규제 폐지 추진..."20만명 목숨 빼앗을 것"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대기·수질관련 31건의 규제를 폐지하면 향후 25년간 약 20만명이 위험해질 것이라고 19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이 보

온난화로 점점 건조해지는 대기..."호흡기 질환자 증가할 것"

기후변화로 점점 건조해지는 대기는 기도에 탈수와 염증 증세를 일으킬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기도에 염증이 발생하면 천식, 알레르기성 비염

COP30 최고경영자 "기후대응 강화하지 않으면 전쟁 증가할 것"

다가오는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의 최고경영자가 기후변화에 대응하지 않으면 더 많은 전쟁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18일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