뜨거워진 동해…제일 많이 잡히던 오징어 90% 줄었다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5-03-14 11:07:17
  • -
  • +
  • 인쇄

동해안의 어종지도가 5년 사이에 완전히 바뀐 것으로 나타났다. 오징어, 도루묵 등 주요 어종의 어획량은 10% 수준으로 줄었고, 대신 방어는 2배 가까이 늘어났다.

14일 해양수산부와 강원도에 따르면 동해안에서 주로 잡히던 한류성 어종은 급격히 줄어들고, 난류성 어종이 늘어나면서 어업계가 혼란을 겪고 있다.

지난해 동해안 오징어 어획량은 914톤으로 5년 전인 2020년 8691톤의 10% 수준으로 쪼그라들었다. 오징어 어획량은 5년동안 말그대로 '급감'했다. 2021년 6232톤, 2022년 3657톤, 2023년 1456톤으로 매해 2000~3000톤씩 큰폭으로 줄어들었다. 한류성 어종인 도루묵도 2020년 2982톤에서 2021년 1973톤, 2022년 1084톤, 2023년 476톤, 2024년 356톤으로 급격히 줄었다.

반대로 난류성 어종인 방어, 복어, 다랑어 등의 어획량이 늘었다. 방어는 2020년 2408톤에서 2024년 4516톤으로 5년 사이에 2배 가까이 늘었다. 복어류 역시 2020년 351톤에서 꾸준히 증가해 2024년 1341톤을 기록했다. 참다랑어는 2020년 32톤만 잡힌데 반해 2024년 139톤으로 4배 이상 증가했다.

어종 변화의 원인으로는 해수온 상승이 지목되고 있다. 국립수산과학원이 발간한 2024년 수산 분야 기후변화 영향 및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56년간 우리나라 해역 연평균 표층 수온은 약 1.44℃ 상승했다. 특히 동해는 1.9℃ 올라 기존에 주로 잡히던 한류성 어종이 북쪽으로 넘어간 것으로 추정된다.

이처럼 주요 어종이 변하면서 어업계는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다. 어종에 따라 잡는법이나 다루는 방법, 유통에 필요한 허가와 면허가 바뀌기 때문에 어민들이 쉽게 전환하지 못하는 것이다.

강원도에 따르면 최근 먼바다로 오징어잡이에 나섰던 어민 가운데 40%가 올해 조업 포기를 선언했다. 또 근해 채낚기어선 59척 가운데 절반이 정부 어선 감척 지원사업에 신청했다. 감척이란 어업계의 폐업 신청으로 볼 수 있다. 어획량 감소로 어선 유지가 어려워졌다는 뜻이다.

해양수산부와 국립수산과학원은 변화하는 어종지도 파악을 위해 관련 연구에 나섰으며, 지역간 조정 대책도 추진하고 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카카오 '장시간 노동' 의혹...노동부, 근로감독 착수

카카오가 최근 불거진 장시간 노동 문제를 두고 고용노동부의 근로감독을 받게 됐다.고용노동부 관할지청인 중부지방고용노동청 성남지청은 이달초

사고발생한 기업들 ESG 순위도 추락...산재로 감점 2배 증가

자산 2조원 이상의 대기업 가운데 현대홈쇼핑과 현대백화점, 유한양행, 풀무원, 한국지역난방공사가 올 하반기 서스틴베스트 ESG 평가에서 상위에 랭크

대주·ESG경영개발원, ESG 컨설팅·공시 '협력'

대주회계법인과 한국ESG경영개발원(KEMI)이 ESRS·ISSB 등 국제공시 표준 기반 통합 컨설팅 서비스 공동개발에 나선다.양사는 14일 ESG 전략·공시&mi

JYP, 美 타임지 '지속가능 성장기업' 세계 1위

JYP엔터테인먼트가 미국 타임지 선정 '세계 최고의 지속가능 성장기업' 세계 1위에 올랐다.JYP는 미국 주간지 타임과 독일 시장분석기업 스태티스타가

우리은행, 1500억 녹색채권 발행…녹색금융 지원 확대

우리은행이 1500억원 규모의 한국형 녹색채권을 발행하며 친환경 분야에 대한 금융 지원을 확대한다.우리은행은 기후에너지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

"페트병 모아 사육곰 구한다"...수퍼빈, 곰 구출 프로젝트 동참

AI 기후테크기업 수퍼빈이 이달 1일 녹색연합과 함께 사육곰 구출프로젝트 '곰 이삿짐센터'를 시작하며, 전국 어디서나 참여할 수 있는 자원순환형 기

기후/환경

+

수도권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 예정대로 내년부터 시행

내년부터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지역에서 발생하는 생활폐기물은 땅에 매립하지 못한다. 17일 기후에너지환경부에 따르면 기후부 및 수

미세플라스틱 '만성변비' 유발한다…장 건강 영향 첫 규명

공기 중 미세플라스틱을 흡입하면 변비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부산대학교 바이오소재과학과 황대연 교수 연구팀은 캐나다 토

"공적금융 청정에너지 투자 확대하면 일자리 2배 증가"

공적 금융기관들이 화석연료 대신 청정에너지 사업에 투자를 늘리게 되면 국내 일자리가 대폭 늘어나 취업난의 새로운 열쇠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중국이 왜 받아?...엉뚱한 나라로 흘러가는 기후재원

부유국 기후자금이 최빈국보다 중소득국에 더 많이 흘러간 것으로 나타났다.14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과 카본브리프가 공동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사고발생한 기업들 ESG 순위도 추락...산재로 감점 2배 증가

자산 2조원 이상의 대기업 가운데 현대홈쇼핑과 현대백화점, 유한양행, 풀무원, 한국지역난방공사가 올 하반기 서스틴베스트 ESG 평가에서 상위에 랭크

아열대로 변하는 한반도 바다...아열대 어종 7종 서식 확인

우리나라 연안의 바다 수온이 계속 상승하면서 전에 없었던 아열대 어종들이 줄줄이 발견되고 있다.국립수산과학원은 올해 우리나라 배타적경제수역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