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테크]유해 물질 잡는 활성탄…에너지연, 반값 재활용 설비 개발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5-03-20 14:20:06
  • -
  • +
  • 인쇄
▲재활용 과정을 거친 활성탄(사진=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국내 연구진이 휘발성 유해물질을 잡아내는 활성탄 재활용에 들어가는 에너지를 70% 감축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재활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가스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방안까지 마련해 산업 공정 관리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데 성공했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대기청정연구실 전동혁 박사 연구팀은 소규모 사업장에서 배출되는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기존보다 적은 에너지로 재활용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벤젠 등 발암성 물질로 이뤄진 VOCs는 주로 페인트나 새 가구, 산업공정에서 발생해 미세먼지와 악취를 유발한다. 이를 제거하기 위해 공기정화 효과를 가진 활성탄이 주로 사용된다.

소규모 대기오염 사업장은 활성탄 사용이 의무화돼 있는데, 생활권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자동차 도장 업체도 400㎡ 이상이면 규제 대상이다.

규제에 따라 필터와 활성탄으로 구성된 방지시설에 측정 센서를 설치하고 방지시설 가동 여부를 실시간으로 관리해야 하는데, 활성탄 교체 비용 부담으로 이를 제대로 시행하지 않거나 교체 주기를 널널하게 잡아서 유해물질이 유출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 비용 부담을 줄이기 위해 쓰는 저가 센서로는 활성탄의 교체 주기를 정확히 파악할 수 없어 관리효율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이에 연구팀은 효율적인 폐활성탄 재활용 설비와 저가 센서의 정확도를 높이는 방법 등을 개발해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였다.

활성탄은 용도에 따라 재활용에 필요한 열량이 다른데, 공기 정화용 활성탄의 경우 200℃ 정도로 재활용이 가능하지만 수질 정화용은 1000℃까지 온도를 높여줘야 한다. 문제는 공기 정화용에 특화된 재활용 설비가 없어 어쩔 수 없이 수질 정화용 재활용 설비를 활용하기 때문에 많은 비용이 소요됐다.

연구팀은 공기 정화용 활성탄에 특화된 200℃ 환경의 재활용 설비를 구축해 소요되는 에너지를 70% 이상 줄이는 데 성공했다. 해당 설비를 소규모 사업장들이 공동으로 이용할 경우 활성탄 교체 비용은 신품 구매 대비 절반 수준으로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 활성탄에 붙은 VOCs가 제거될 때 발생하는 합성가스를 활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것도 가능해졌다. 기존 활성탄 재활용 방식으로는 열량이 너무 많아 가스가 순식간에 휘발됐는데, 이를 에너지원으로 활용할 방법이 생긴 것이다.

이에 더해 연구팀은 고성능 센서와 저가 센서의 VOCs 측정값 차이를 계산하고 차이가 일어나는 환경 조건을 분석해 저가 센서로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해당 알고리즘을 적용한 저가 센서의 정확도는 92% 향상됐다.

전동혁 박사는 "이번 연구는 소규모 사업장의 VOCs 배출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폐활성탄 재생을 통해 운영 비용을 절감하는 한편, 폐가스의 에너지화를 실현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면서 "우리는 VOCs에 포함된 탄소를 개질해 수소로 전환하고, 재활용 전 과정에서 탄소가 발생하지 않는 친환경 공정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 저명 학술지 '에너지 컨버전 앤 매니지먼트 엑스'(Energy Conversion and Management : X)에 지난 10월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정부 "한국형 탄소크레딧 시장 활성화 대책 하반기 발표"

정부가 한국형 탄소크레딧 시장을 활성화하는 대책을 하반기 발표하겠다고 밝혔다.이형일 기획재정부 1차관은 1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탄소크레딧 유

화석연료 보험 늘리는 국내 손보사들...기후위험 대응력 높이려면?

글로벌 주요 보험사들은 화석연료 배제를 선언하고 있지만 국내 석탄 보험은 1년 사이에 82%가 늘어날 정도로 기후위기에 둔감하다는 지적이다. 이승준

네이버·국립생태원, 생물다양성 보호 나선다

네이버와 국립생태원이 13일 생물다양성 대응 및 생태계 보전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네이버 본사에서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네이버와 국립생태

"이게 정말 세상을 바꿀까?"...주춤하는 'ESG 투자'

미국을 중심으로 '반(反) ESG' 기류가 거세진 가운데, 각 국의 정치·경제적 상황에 따라 정책 방향이 엇갈리면서 ESG 투자의 실효성 문제가 거론되고

SK이노베이션, MSCI ESG평가서 최고등급 'AAA' 획득

SK이노베이션이 글로벌 자본시장에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의 최고 성과를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SK이노베이션은 글로벌 ESG 평가기

산재사망 OECD평균으로 줄인다...공시제와 작업중지권 확대 추진

정부가 산업재해를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산업안전보건 공시제, 작업중지권 확대 등을 시행할 것으로 보인다. 오는 13일 대국민 보고대회를 앞두고 있

기후/환경

+

'루돌프' 못보는 거야?...세기말 온난화로 80% 줄어든다

지구온난화 영향으로 북유럽과 북극 등에 서식하는 야생 순록 개체수가 지난 수십 년간 3분의 2가량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 추세로 간다면 세기말

신라때 만든 저수지 인근 공장화재로 유해물질 '범벅'...물고기 떼죽음

신라 시기에 만들어진 국보급 저수지가 인근 화장품 공장 화재로 발생한 유해물질에 의해 오염되면서 물고기가 떼죽음을 당했다.14일 연합뉴스에 따르

"현 2035 NDC는 위헌"...국가온실가스 결정절차 가처분 신청

정부의 2035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결정절차에 가처분 신청이 제기됐다.14일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환경보건위원회와 기후위기 헌법소원

에어로졸의 반전...지구 식히는줄 알았더니 온난화 부추겨

햇빛을 반사해 지구를 식히는 '냉각효과'로 지구온난화를 억제한다고 알려진 에어로졸이 오히려 온난화를 부추기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광

[연휴날씨] 폭우 끝 폭염 시작…낮에는 '찜통' 밤에는 '열대야'

물벼락을 맞았던 서울과 수도권은 광복절인 15일부터 또다시 불볕더위가 찾아온다. 폭우 끝에 폭염이 시작되는 것이다. 광복절을 시작으로 이번 연휴

잠기고 끊기고 무너지고...수도권 200㎜ 물폭탄에 곳곳 '물난리'

7월 경남과 광주를 할퀴었던 집중호우가 이번에는 수도권 일대를 강타하면서 많은 피해를 낳았다.13일 서울과 수도권 등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내린 집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