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테크]유해 물질 잡는 활성탄…에너지연, 반값 재활용 설비 개발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5-03-20 14:20:06
  • -
  • +
  • 인쇄
▲재활용 과정을 거친 활성탄(사진=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국내 연구진이 휘발성 유해물질을 잡아내는 활성탄 재활용에 들어가는 에너지를 70% 감축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재활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가스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방안까지 마련해 산업 공정 관리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데 성공했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대기청정연구실 전동혁 박사 연구팀은 소규모 사업장에서 배출되는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기존보다 적은 에너지로 재활용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벤젠 등 발암성 물질로 이뤄진 VOCs는 주로 페인트나 새 가구, 산업공정에서 발생해 미세먼지와 악취를 유발한다. 이를 제거하기 위해 공기정화 효과를 가진 활성탄이 주로 사용된다.

소규모 대기오염 사업장은 활성탄 사용이 의무화돼 있는데, 생활권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자동차 도장 업체도 400㎡ 이상이면 규제 대상이다.

규제에 따라 필터와 활성탄으로 구성된 방지시설에 측정 센서를 설치하고 방지시설 가동 여부를 실시간으로 관리해야 하는데, 활성탄 교체 비용 부담으로 이를 제대로 시행하지 않거나 교체 주기를 널널하게 잡아서 유해물질이 유출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 비용 부담을 줄이기 위해 쓰는 저가 센서로는 활성탄의 교체 주기를 정확히 파악할 수 없어 관리효율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이에 연구팀은 효율적인 폐활성탄 재활용 설비와 저가 센서의 정확도를 높이는 방법 등을 개발해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였다.

활성탄은 용도에 따라 재활용에 필요한 열량이 다른데, 공기 정화용 활성탄의 경우 200℃ 정도로 재활용이 가능하지만 수질 정화용은 1000℃까지 온도를 높여줘야 한다. 문제는 공기 정화용에 특화된 재활용 설비가 없어 어쩔 수 없이 수질 정화용 재활용 설비를 활용하기 때문에 많은 비용이 소요됐다.

연구팀은 공기 정화용 활성탄에 특화된 200℃ 환경의 재활용 설비를 구축해 소요되는 에너지를 70% 이상 줄이는 데 성공했다. 해당 설비를 소규모 사업장들이 공동으로 이용할 경우 활성탄 교체 비용은 신품 구매 대비 절반 수준으로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 활성탄에 붙은 VOCs가 제거될 때 발생하는 합성가스를 활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것도 가능해졌다. 기존 활성탄 재활용 방식으로는 열량이 너무 많아 가스가 순식간에 휘발됐는데, 이를 에너지원으로 활용할 방법이 생긴 것이다.

이에 더해 연구팀은 고성능 센서와 저가 센서의 VOCs 측정값 차이를 계산하고 차이가 일어나는 환경 조건을 분석해 저가 센서로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해당 알고리즘을 적용한 저가 센서의 정확도는 92% 향상됐다.

전동혁 박사는 "이번 연구는 소규모 사업장의 VOCs 배출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폐활성탄 재생을 통해 운영 비용을 절감하는 한편, 폐가스의 에너지화를 실현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면서 "우리는 VOCs에 포함된 탄소를 개질해 수소로 전환하고, 재활용 전 과정에서 탄소가 발생하지 않는 친환경 공정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 저명 학술지 '에너지 컨버전 앤 매니지먼트 엑스'(Energy Conversion and Management : X)에 지난 10월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롯데카드, 해킹으로 297만명 정보 털렸다...카드번호, CVC까지 유출

롯데카드 해킹 사고 피해규모가 당초 예상했던 것보다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롯데카드는 피해 고객 전원에게 전액 보상을 하겠다는 방침이

삼성전자, 5년간 6만명 신규채용...'반도체·바이오·AI' 중심

삼성전자가 성장사업 육성과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해 앞으로 5년간 6만명을 신규 채용하겠다고 18일 밝혔다. 매년 1만2000명씩 채용하겠다는 계획이다.

"상장기업 보고, 6개월로 바꾸자"...트럼프 주장에 美 또 '술렁'

미국 상장기업의 보고서가 분기에서 반기로 변경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17일(현지시간) AP통신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장기업의

카카오, 지역 AI생태계 조성 위해 5년간 '500억원' 푼다

카카오그룹이 앞으로 5년간 500억원의 기금을 조성해 지역 인공지능(AI) 생태계 육성에 투자한다고 18일 밝혔다. 카카오그룹은 지역 AI 육성을 위한 거점

[ESG;NOW] 올해 RE100 100% 목표 LG엔솔 '절반의 성공'

국내 많은 기업들이 지속가능한 경영을 내세우면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보고서 혹은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를 주기적으로 발간하고 있

HLB, HLB사이언스 흡수합병..."글로벌 신약개발 역량 고도화"

글로벌 항암제 개발기업 'HLB'와 펩타이드 기반 신약개발 기업인 'HLB사이언스'가 합병한다.HLB와 HLB사이언스는 17일 각각 이사회를 열고 두 회사의 합병

기후/환경

+

'2035 NDC' 60% 넘어설까...환경부, 7차례 토론회 연다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2035 NDC)를 설정하기 위한 대국민 논의가 시작된다.환경부는 오는 19일부터 내달 14일까지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뜨거워지는 한반도...2100년 폭염일수 9배 늘어난다

한반도 기온이 매년 상승하고 있어 2100년에 이르면 여름철 극한강우 영향지역이 37%로 확대되고 강수량도 12.6% 증가한다는 전망이다. 또 폭염일수도 지

국민 61.7% "2035년 온실가스 감축목표 60% 넘어야"

우리나라 국민의 61.7%는 2035년까지 온실가스를 60% 이상 감축해야 한다는데 동의하는 것으로 나왔다.기후솔루션이 지난달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성인 200

美 트럼프 법무부 '기후 슈퍼펀드법'까지 폐지한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법무부가 석유화학 대기업에 기후피해를 배상하게 하는 '기후 슈퍼펀드법'까지 폐지하려는 것으로 드러났다.17일(현지시

강릉 가뭄 '한숨 돌렸다'...'단비' 덕분에 저수율 23.4%까지 회복

한때 11%까지 내려갔던 강릉의 저수율이 지난 수요일 내린 폭우 덕분에 18일 오전 6시 기준 23.4%까지 회복됐다. 아직도 평년 저수율 71.8%에 크게 못미치는

폭염 '조용한 살인자'...유럽과 호주, 온열질환 사망자 급증

북반구와 남반구 할 것 없이 기후변화로 뜨거워진 폭염에 사람들이 죽어나가고 있다. 올여름 유럽에서 온열질환으로 사망한 사람 3분의 2는 지구온난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