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전기차는 신차 판매량의 25% 이상을 차지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14일(현지시간) '2025년 세계 전기차 전망 보고서'(Global EV Outlook 2025)를 통해 2025년 전기차 판매량이 2000만대를 돌파하고, 전체 신차 판매량의 4분의 1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글로벌 전기차 연간 판매량은 2014년 약 30만대에서 2024년 1800만대 수준으로 10년 사이에 60배 증가했다. 이미 시장점유율은 20%를 넘겼으며, IEA는 올 1분기 판매량이 전년 동기 대비 35% 증가해 연말까지 총 2000만대가 팔릴 것으로 전망했다.
전기차 판매량 증가에 가장 크게 기여한 것은 중국으로, 중국은 전체 전기차 판매량의 약 절반을 차지하며 최대 전기차 시장 지위를 확보했다. 2024년 중국 내 전기차 판매량은 1100만대 이상으로, 이는 2022년 전세계 전기차 총판매량과 맞먹는 수준이다. 또 중국은 2024년 약 125만대의 전기차를 해외로 수출해 신흥국의 전기차 가격하락에 영향을 미쳤다.
중국뿐 아니라 아시아 및 중남미 신흥국의 성장세도 두드러졌다. 이 지역 전기차 판매량은 한 해동안 60%가량 증가했다. 또 미국도 판매량이 10% 증가하며 전체 차량 판매 중 전기차 비중이 10%를 넘었다. 유럽은 최근 보조금 축소 등의 영향으로 성장세가 더뎌졌지만, 여전히 시장 점유율 20%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세계 전기차 비중 증가에 대해 IEA는 '가격 경쟁력'이 뛰어난 배터리 전기차(BEV) 확산이 크게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중국에서 판매된 전기차의 약 3분의 2가 보조금 없이도 내연기관차보다 저렴했다. 이는 배터리 비용 하락과 제조사 간의 치열한 가격 경쟁이 작용한 결과다. 아직 내연기관차보다 전기차가 더 비싼 미국과 유럽에서도 기술 전환에 속도를 내면서 가격 격차를 좁혀가고 있다.
유지비 면에서도 내연기관차와 전기차 간 차이가 벌어진 게 수요 증가에 기여했다. IEA는 국제 유가가 배럴당 약 5만6000원까지 하락하더라도, 유럽에서 가정용 충전기를 사용할 경우 전기차 운행 비용이 여전히 내연기관차의 절반 수준에 그친다고 분석했다. 올 5월 기준 서부 텍사스산 중질유(WTI) 기준 국제유가가 약 8만8000원인 수준을 고려하면 유가가 40% 이상 떨어져도 전기차의 경제성이 더 좋다는 뜻이다.
IEA는 아직 전기차 자체에 불확실성이 존재하긴 하지만 강한 성장 궤도를 그리고 있어, 2030년까지 전세계 차량 판매 비중의 40% 이상이 전기차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