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10대 기업 폭염 책임액 161조원...발전5사가 58% 비중"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5-08-11 09:57:24
  • -
  • +
  • 인쇄

지난 13년간 전세계 폭염으로 인한 피해에서 국내 10대 기업들이 차지하는 책임을 금액으로 환산하면 161조원에 달한다는 계산이 나왔다. 161조원 가운데 남동발전, 동서발전 등 한국전력 산하 발전 자회사 5곳의 비중이 약 93조원으로 58%에 달한다.

비영리단체 기후솔루션은 11일 발간한 '기후위기, 누가 얼마나 책임져야 하는가: 한국 10대 배출 기업의 폭염 손실기여액 분석' 보고서를 통해 한국 기업의 기후변화 책임을 최신의 과학적 방법론으로 이같이 산출했다고 밝혔다. 

최근 '네이처(Nature)'에 올라온 한 연구는 전세계 111개 화석연료 기업별 온실가스 누적 기여도를 바탕으로, 1991년부터 2020년까지 170년간 폭염으로 인해 발생한 글로벌 국내총생산(GDP) 손실 중 어느 정도가 각 기업의 책임인지 환산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이 연구에 따르면 1990년부터 2020년까지의 온실가스 누적 배출량의 1%당 폭염으로 인한 세계 GDP 손실액은 약 5000억달러씩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실가스 1톤당 약 29.07달러의 손실 책임이 발생한다는 뜻이다.

기후솔루션은 이 방법론을 한국에 적용해, 국내 주요 배출기업 10곳이 폭염으로 인한 전세계 경제손실에 얼마나 기여했는지를 정량화했다. 2011~2023년 누적 배출량 데이터를 바탕으로 기업별 손실기여액을 산출하고, 널리 쓰이는 시뮬레이션 모형인 GCAM(Global Change Analysis Model)을 활용해 2050년까지의 배출 시나리오에 따른 미래 손실 전망도 제시했다. 국내 기업의 온실가스 배출과 과거, 미래의 기후재난 간 인과관계를 구체적인 수치로 연결한 첫 시도다.

분석 결과, 국내 10대 배출 기업은 2011년~2023년까지 총 41.2억톤의 온실가스를 배출했다. 이에 따라 이들 기업이 전세계 폭염 손실에 기여한 경제적 책임은 약 1196억달러(약 161조원)에 달한다.

이 가운데 한국전력 산하 발전 자회사 5곳(남동·남부·동서·중부·서부)의 총 배출량은 25억톤으로, 약 729억달러(약 93조원) 규모의 손실 책임을 진 것으로 나타났다. 단일 기업 단위로 배출량 1위를 기록한 포스코(9.6억톤, 약 281억달러)보다 2.6배 많은 수준이다.  

이는 석탄·LNG 등 화석연료 중심의 전력 생산 구조와, 공공 부문이 전력 수급을 담당하는 한국 특유의 에너지 체제를 반영한다. 발전 부문은 다른 산업의 전력 사용에 따른 간접배출(Scope 2)까지 연쇄적으로 유발하기 때문에, 실질적인 책임 범위는 더욱 넓다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보고서는 "한국의 배출 구조에서 발전 부문은 중간 공급자가 아니라 핵심 배출 책임자로서 기능하고 있으며, 이 구조를 개혁하지 않고는 탄소중립 달성이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과거 배출에 대한 책임뿐 아니라 미래 배출이 야기할 사회경제적 피해 규모도 제시했다. 정부의 탄소중립계획을 충실히 이행할 경우, 같은 10개 기업이 2025년부터 2050년까지 지게 될 손실기여액은 300조원 수준으로 추산된다. 반면 전환없이 현행 정책을 유지할 경우 손실 규모는 720조원으로 2배 이상 증가한다.
 
보고서는 이번 피해액 산정 범위는 폭염에만 한정돼 있으며, 폭우와 홍수, 산불, 태풍 등은 포함되지 않았다고 명시했다. 다른 재난 유형까지 분석할 경우 손실 규모는 훨씬 커질 전망이다.

보고서를 작성한 기후솔루션 임소연 연구원은 "이번 분석은 정책과 소송, 투자 판단의 기준으로서 손실기여 계산이 활용될 수 있는 출발점"이라며 "이제는 배출량뿐 아니라 배출로 인해 발생한 피해도 기업 책임에 포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함께 보고서를 쓴 기후솔루션 조정호 연구원은 "이번 연구는 특정 기업의 온실가스 배출이 폭염 등 기후피해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과학적으로 입증하는 근거로 활용될 수 있다"며 "이는 국가 차원을 넘어 기업에게도 배출 책임을 물을 수 있는 구조가 처음 마련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평가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셀트리온, 美에 1.4조 韓에 4조원 투자..."4Q 실적 턴어라운드"

일라이 릴리로부터 미국 공장을 인수해 세계 최대 의약품 시장인 미국에 생산기지를 확보한 셀트리온은 의약품에 대한 미국 관세리스크를 털어내고

한국ESG기준원, ESG평가 'A+등급' 20곳...올해도 S등급 'O'

하나금융지주와 KB금융, 신한지주와 현대백화점, 현대로템 등 20개 기업이 한국ESG기준원에서 주관하는 '2025 ESG 평가'에서 통합등급 'A+'를 획득했다. 이

CJ제일제당 '빨대없는 스토어' 캠페인...대체소재로 PHA 제안

CJ제일제당이 자원순환사회연대(NGO), CJ푸드빌과 함께 일회용 석유계 플라스틱 빨대 사용을 줄이기 위한 '빨대없는 스토어 만들기(Be Straw Free)' 캠페인을

호텔신라, 친환경 운영체계 구축 나선다

호텔신라의 모든 호텔 브랜드가 친환경 호텔로 도약한다.호텔신라는 글로벌 친환경 인증기관인 '환경교육재단(FEE; Foundation for Environmental Education)'과 업

KT 새 대표이사 후보군 33명...본격 심사 착수

KT의 대표이사 후보 공개모집이 마감되면서 차기 대표이사 후보군이 33명으로 확정됐다.KT 이사후보추천위원회는 지난 4∼16일 진행한 대표이사 후보

전북도, 다회용기 민간사업자 모집

전북특별자치도가 '2026 다회용기 사용 촉진 지원사업'을 수행할 민간 사업자를 오는 12월 24일까지 모집한다고 18일 밝혔다.이는 자원 순환을 목표로 도

기후/환경

+

섬에서 새로 발견된 미기록 곤충 55.5% '열대·아열대성'

국내 섬 지역에서 발견된 미기록종 곤충 가운데 약 절반이 열대·아열대성 곤충인 것으로 나타났다.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은 2021년부터 2024년까지

'농촌 기후대응 직불금' 도입되나...기후보험 대상 확대

기후변화로 인해 농작물을 재배하기 적합한 지역이 바뀌는 경우나 기후변화 대응 품종을 도입할 때 직불금을 주는 방안을 정부가 추진한다.정부는 19

韓 기후대응지수 63위로 또 '꼴찌' 수준...잃어버린 3년의 결과?

우리나라의 기후대응 지수가 전세계 63위를 기록하면서 지난해에 이어 또 '꼴찌' 수준을 기록했다.18일(현지시간) 공개된 '기후변화대응지수'(CCPI, Climate

한국ESG기준원, ESG평가 'A+등급' 20곳...올해도 S등급 'O'

하나금융지주와 KB금융, 신한지주와 현대백화점, 현대로템 등 20개 기업이 한국ESG기준원에서 주관하는 '2025 ESG 평가'에서 통합등급 'A+'를 획득했다. 이

[COP30] '합의문' 초안 나왔다...탈탄소 격차해소·기후재원 마련 '관건'

브라질 벨렝에서 열리고 있는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의 합의문 초안이 공개됐다.18일(현지시간) 현지 일간 G1과 AP·로이터통신

화학 과정없이 미생물로 섬유 염색하는 기술 개발됐다

국내 연구진이 화학과정없이 미생물만으로 섬유에 색상을 입히는 친환경 기술을 개발했다.한국과학기술원(KAIST) 생명화학공학과 이상엽 교수 연구팀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