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기자동차 배터리 폭발 사고가 잇따름에 따라 국내 자동차업체와 배터리업체가 안전한 전기차 배터리를 개발하기 위해 손을 맞잡앗다.
현대자동차·기아와 LG에너지솔루션·삼성SDI·SK온(이하 배터리 3사)은 22일 현대차·기아 남양연구소에서 전기차 배터리 안전강화 기술개발을 위한 지난 1년간의 협업 결과를 발표하면서 앞으로 협력을 더 고도화하기 위한 업무협약도 체결했다.
이 자리에는 현대차·기아 R&D본부장 양희원 사장, LG에너지솔루션 대표 김동명 사장, 삼성SDI 대표 최주선 사장, SK온 대표 이석희 사장 및 국토교통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정부부처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번 협력은 글로벌 전기차 기술을 선도하는 한국 기업들이 힘을 모아 세계 최고 수준의 배터리 안전기술을 확보하고, 더 나아가 국가 경쟁력 강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각사 경영층의 공감대를 바탕으로 시작됐다. 지난해 8월 현대차·기아가 연구개발, 생산공정, 품질, 특허 등 전 부문에 소속된 인력을 모아 '배터리 안전확보 TFT'를 구성할 것을 제안했고, 이에 배터리 3사가 화답해 1년동안 긴밀하게 협업을 진행해왔다.
현대차·기아와 배터리 3사는 협업의 일환으로 배터리 품질 및 안전을 강건화하기 위한 △안전 특허 △디지털 배터리 여권 △설계 품질 △제조품질 △소방기술 등 5대 협업과제를 선정했다.
'안전특허' 과제는 각사가 개발한 소재와 설계, 부품구조 등 안전 특허기술 공유를 목표로 한다. '디지털 배터리 여권'은 유럽연합이 주도해 배터리의 생산부터 폐기 및 재활용까지 모든 생애주기 정보를 디지털화 하는 제도에 대응하기 위한 과제다. 현대차·기아와 배터리 3사는 국제 표준을 만족하고, 나아가 안전 특화 항목을 추가한 신규 배터리 품질 추적 시스템을 구축 중이다.
'설계품질' 과제는 배터리 화재 원인을 사전에 검증하기 위해 배터리 셀에 강건화 설계를 적용하고, 궁극적으로 배터리 안전성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배터리 셀을 구성하는 인자의 설계 방식에서부터 개선점을 도출하고, 표준 검증 기준과 관리방안을 고도화해 셀을 설계하는 과정에 반영한다. '제조품질' 과제는 배터리 제조 공정에 신기술을 도입해 양산셀의 안전성과 품질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셀 제조공정을 점검해 생산 안정화 및 불량률을 감소하는데 협력하는 내용이다.
'소방기술' 과제는 전기차 배터리 셀의 데이터를 국립소방연구원에 제공해 소방청에서 기초 연구 목적으로 활용하고, 실제 화재 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기술의 실효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배터리 셀 화재 감지 시스템과 화재 진압 기술을 공동연구한 특허를 출원하고, 국립소방연구원과 함께 전기차 화재 발생 대응 가이드를 개정했다. 향후에는 소방 기술을 고도화하는데 지속 협력할 계획이다.
현대차·기아 R&D본부 양희원 사장은 "이번 협력은 현대차·기아 및 배터리 기업 경영층의 의지, 연구진들의 헌신과 전문성, 그리고 정부 부처의 도움이 있었기에 가능했다"며 "앞으로도 배터리 기업과 긴밀한 협력을 지속해 더욱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전기차를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LG에너지솔루션 대표이사 김동명 사장은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은 '국가 대항전'으로 우리가 살아남는 길은 경쟁을 넘어선 협력"이라고 말했고 삼성SDI 대표이사 최주선 사장은 "이번 협업은 산업 안전 기준과 기술 방향을 새롭게 정의한 진보로, 생태계 전반의 책임있는 변화"라고 밝혔다.
SK온 대표이사 이석희 사장도 "K-배터리 3사가 현대차·기아와 함께 전기차 배터리 안전을 위해 힘을 모았다는 점에 큰 의미가 있다"며 "이번 협력을 통해 배터리 안전 품질이 한 단계 도약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