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하이닉스가 세계 최초로 개발에 성공한 6세대 고대역폭메모리 'HBM4' 양산에 착수했다는 소식에 주가가 최고가를 경신했다. 아직 샘플 공급단계에 머물고 있는 삼성전자와 마이크론 등 경쟁사를 제치고 메모리 시장을 주도하고 있기 때문이다.
SK하이닉스는 HBM4 개발에 성공했고, 이 기술을 기반으로 세계 최초의 HBM4 양산 체제를 구축했다고 12일 밝혔다. HBM4는 기존에 비해 수배에 달하는 데이터 처리속도와 전력효율을 보여 차세대 인공지능(AI) 시대의 필수요소로 여겨진다. SK하이닉스 측은 "HBM4는 현재 엔비디아 차세대 AI 가속기 탑재를 위한 최종 품질테스트 단계에 있다"며 '고객인증이 마무리되면 일정에 맞춰 바로 엔비디아에 공급이 가능할 것"이라고 했다.
HBM4는 대역폭을 기존의 2배로 확대한 것이 특징이다. SK하이닉스는 HBM3보다 데이터 전송 통로(I/O)를 2배 늘린 2048개를 적용했고, 전력효율은 40% 이상 끌어올렸다고 설명했다. 회사 측은 이를 통해 AI 서비스 성능을 최대 69%까지 향상시키고 데이터가 몰리면 속도가 느려지는 '데이터 병목 현상'도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김주선 SK하이닉스 AI 인프라 사장(CMO)은 "세계 최초로 양산 체제 구축을 공식 발표한 HBM4는 AI 인프라의 한계를 뛰어넘는 상징적인 전환점"이라고 자신했다. 이어 "SK하이닉스는 AI 시대가 요구하는 최고 품질과 다양한 성능의 메모리를 적시에 공급해 풀 스택 AI 메모리 프로바이더로 성장해 가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업계에서는 SK하이닉스가 HBM4 개발 및 양상 체제 돌입을 통해 HBM 주도권 경쟁에서 크게 앞선 것으로 보고 있다. 삼성전자, 마이크론 등도 엔비디아 AI칩 탑재를 위해 메모리 개발 경쟁에 뛰어들었지만 선두주자인 SK하이닉스와 거리가 큰 폭으로 멀어진 셈이다.
현재 메모리 3사는 주요 고객사인 엔비디아에 HBM4 샘플을 보내 퀄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다. SK하이닉스가 세계 최초로 지난 3월에, 미국 마이크론이 지난 6월 샘플을 공급했다. 삼성전자는 지난 7월 실적 발표에서 HBM4 샘플을 공급했다.
SK하이닉스의 HBM4는 최종 품질 테스트를 통과하면 내년 출시 예정인 엔비디아 최신 AI 반도체 '루빈'에 탑재될 예정이다.
HBM4 개발완료 소식에 SK하이닉스 주가는 이날 오전 11시 기준 32만9500원을 기록하며 사상 최고가를 경신했고, 이 기세를 유지해 이날 전일보다 7% 급등한 32만8500원에 장을 마쳤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