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느타리버섯 재배에 커피박을 사용하면 생산비를 아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농업기술원은 커피박을 혼합한 느타리 재배 시험 결과, 기존 배지보다 수량이 높거나 동등한 것으로 나타나 자원 재활용과 생산비 절감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25일 밝혔다.
배지는 버섯을 재배하기 위해 사용하는 인공배양 기질이다. 주로 톱밥, 볏짚, 쌀겨 등 유기물과 물, 영양 보충제를 혼합해 살균 처리한 뒤 쓰인다. 현재 국내 버섯재배에 사용되는 배지 재료는 연간 약 100만톤에 달하며, 이 가운데 약 60만톤은 해외에서 수입되는 곡물 부산물이다.
기술원은 곡물 가격 상승과 공급 불안정에 따른 농가 부담을 줄이고자 2023년부터 커피박을 대체재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해 왔다. 그 결과 톱밥 50%, 비트펄프 20%, 면실박 10%, 커피박 20% 혼합배지에서 느타리 버섯 수확량이 기존 배지보다 8% 증가했다.
올해 4~7월 여주·양평 2곳 농가에서 실시한 실증 재배에서도 커피박 배지는 기존 배지와 동등한 수확량을 보였으며, 비트펄프와 면실박을 각 10% 수준까지 대체할 수 있다고 기술원은 설명했다.
가격도 커피박은 1kg당 200~240원으로, 기존 면실박과 비트펄프(500~700원)대비 절반 이하다. 커피 소비량이 꾸준히 늘면서 안정적인 공급이 가능해, 재료비 절감에도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기술원은 추후 연구의 경제성 평가를 거쳐 현장 보급 확대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하태문 경기도농업기술원 친환경미생물연구소장은 "커피박을 배지로 전환하는 것은 단순한 재료 대체가 아닌 농식품 부산물의 활용 가능성을 실증한 사례"라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