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친구탭이 왜 이래?"...인스타처럼 바뀐 카톡에 불만 폭주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5-09-26 17:05:27
  • -
  • +
  • 인쇄
▲SNS처럼 UI가 바뀐 카카오톡 친구탭(자료=카카오)


카카오톡이 15년만에 야심차게 개편을 단행했지만 이용자들의 불만이 폭주하면서 주가도 6%가량 떨어졌다. 

우리나라 국민 5000만명 가까이 이용하는 '국민 메신저' 카카오톡은 최근 친구들의 프로필 변경내역을 타임라인으로 볼 수 있도록 '피드형 사용자환경(UI)'으로 개편했다. 하지만 이같은 개편에 이용자들은 대문짝만하게 나타나는 친구들의 프로필 사진과 게시물에 당황스러움을 넘어 불편하다는 반응이 대부분이다. 

26일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온종일 카톡 개편에 대해 불평과 불만을 털어놓는 글들이 줄을 이었다. 박모(33)씨는 "카톡 친구목록에 나타나는 대문짝만한 커플 사진이 부담스럽다"며 "친구도 아닌 거래처 사장님의 가족사진을 보고 대체 무슨 반응이 나오길 바라는지 모르겠다"며 개편된 카톡에 대해 기막혀 있다. 김모(28)씨는 "가나다 순서였던 친구목록이 프로필 업데이트 순서로 정렬돼 있다"며 "설정을 통해 바꿀 수 있지만, 굳이 왜 이런 불편을 감수해야 하는지 알 수 없다"고 불만을 털어놨다.

카톡에서 광고 비중이 높아진 것에 대한 불만도 컸다. 기존에는 주로 상단에 배너광고가 있었는데, 개편된 이후에는 친구 프로필 사진 중간중간에 끼어있는 광고가 불편하다는 것이다. 광고 비중을 높인 카톡을 우회적으로 비판하듯, 13년전 카카오가 공지한 글도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빠르게 공유되고 있다. 2012년 당시 카톡이 공지했던 글은 "카카오톡에 광고 넣을 공간도 없고 쿨하지도 않고 예쁘지도 않다"며 "카카오팀은 그렇게 가난하진 않다"는 내용이다. 이용자를 불편하게 하면서 광고를 넣지 않겠다는 카카오의 비장한 각오가 느껴지는 공지가 재소환된 것이다.

당시 공지글에 대해 누리꾼들은 "이젠 가난해졌나보다" "짜증나게 할 거면 광고만 띄우면 되지 앱을 통째로 바꿔놓냐" "모바일 메신저가 왜 SNS 흉내를 내려고 하는지 모르겠다. 인스타가 부러웠나?" 등의 비판적인 반응 일색이었다. 개편된 카톡에서는 광고와 쇼츠가 과도하게 노출되고 있어, 메신저 본연의 기능과 동떨어지게 됐다는 지적이다.

카톡이 15년만에 개편한 것은 이용자 체류시간을 늘려 광고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전략이다. 1인당 월평균 카카오톡 체류시간은 2021년 5월 822분에서 지난 1월 686분으로 급감했다. 10~20대 이용자들은 카톡 대신 인스타그램, 텔레그램 등 SNS 메신저로 주로 소통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카카오는 메신저에 SNS 기능을 결합해 이용자 체류시간을 늘리려고 했다.

하지만 카카오의 의도와 다르게 이용자들의 불만은 폭주하고 있다. 당장 원래대로 되돌려놓으라는 요구가 빗발치고 있다. 이같은 시장반응을 반영하듯, 이날 카카오 주가도 전일보다 6.17% 하락한 5만9300원에 장을 마쳤다.

카카오 관계자는 뉴스트리와 통화에서 이용자들의 비판에 대해 "여러 반응을 지켜보고 있다"며 "다양한 개선점이 제시되고 있고, 필요한 부분은 개선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업데이트 이전으로 되돌릴 수도 있냐는 질문에는 구체적인 답변을 주지 않았다.

한편 온라인에서는 '카카오톡 자동 업데이트 끄기', '카카오톡 되돌리는 법' 등의 글이 공유되고 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농가에서 줄인 탄소, 기업 '탄소크레딧'으로 거래된다

농가에서 줄인 온실가스 감축실적이 인증을 거쳐 기업의 탄소크레딧으로 활용될 수 있게 됐다. 대한상공회의소와 농림축산식품부, NH농협금융지주는 2

"탄소감축 지연되면 수출입은행 BIS비율 8.9%까지 하락"

탄소감축이 지연되면 수출입은행 자기자본(BIS)비율이 8.9%까지 떨어질 것으로 추정됐다.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차규근(조국혁신당) 의원이 수출입은행에

'2050 탄소중립' 물건너가나?...BP "2050년 석유 수요 되레 늘어날 것"

영국 석유대기업 BP가 2050년 석유·가스 수요가 오히려 늘어날 것으로 예측했다.25일(현지시간) 발표된 BP의 연례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2050년 석유

나누고 줄이고...hy, 사내 ESG 캠페인 통해 '탄소 5.4톤 감축'

hy(옛 한국야쿠르트)가 임직원 참여형 ESG 캠페인을 통해 탄소 5.4톤을 감축했다고 26일 밝혔다. hy는 지난해부터 임직원들을 대상으로 에너지 절감과 일

현대차-제주도, 그린수소와 분산에너지 조성에 '맞손'

제주도가 2035년까지 완전한 '탄소중립 도시'로 전환하기 위해 현대자동차그룹도 힘을 보탠다. 현대자동차그룹은 제주도와 손잡고 그린수소, 분산에너

"에코디자인, 선택 아닌 필수…기업·정부·소비자 함께 손잡아야"

25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제1차 에코디자인 정책포럼에서 유럽연합과 한국 정부, 주요 기업들이 지속가능한 제품 설계와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주한E

기후/환경

+

농가에서 줄인 탄소, 기업 '탄소크레딧'으로 거래된다

농가에서 줄인 온실가스 감축실적이 인증을 거쳐 기업의 탄소크레딧으로 활용될 수 있게 됐다. 대한상공회의소와 농림축산식품부, NH농협금융지주는 2

'927 기후정의행진' 내일 광화문에서 열린다

이 시대에 기후정의를 요구하는 '927 기후정의행진'이 오는 27일 서울 광화문에서 열린다.기후정의행진조직위원회는 이날 오후 3시 광화문 동십자각에

"탄소감축 지연되면 수출입은행 BIS비율 8.9%까지 하락"

탄소감축이 지연되면 수출입은행 자기자본(BIS)비율이 8.9%까지 떨어질 것으로 추정됐다.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차규근(조국혁신당) 의원이 수출입은행에

카리브해 섬나라 쓰레기로 '몸살'...관광쓰레기 느는데 처리시설 부족

카리브해 섬나라들이 쓰레기로 몸살을 앓고 있다. 관광객들이 버리는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는 시설이 없다보니, 섬 전체가 쓰레기로 뒤덮이기 시작한

'2050 탄소중립' 물건너가나?...BP "2050년 석유 수요 되레 늘어날 것"

영국 석유대기업 BP가 2050년 석유·가스 수요가 오히려 늘어날 것으로 예측했다.25일(현지시간) 발표된 BP의 연례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2050년 석유

바닷속 폭탄잔해물 처리놓고 '골머리'...해양생물이 다닥다닥 서식

발트해 해저에 버려진 제2차 세계대전 폭발물 잔해에서 다양한 해양 생물이 서식하는 모습이 포착돼 화제다.25일(현지시간) 독일 킬대학교와 헬름홀츠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