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질 벨렝에서 열리고 있는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의 합의문 초안이 공개됐다.
18일(현지시간) 현지 일간 G1과 AP·로이터통신에 따르면, COP30 사무국은 주요 논쟁거리에 대한 선택지를 담은 합의용 초안을 서한 형태로 각국 대표단에 발송했다. 사무국은 이번주 내에 관련 논의를 마무리할 것을 제안했고, 이에 170여개국 대표단은 회의 종료일(현지시간 21일)을 이틀가량 앞두고 본격적인 합의문 도출에 나섰다.
전날 저녁 늦게 전달된 초안에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진일보한 성과 촉구 명문화 여부, 3000억달러(약 438조원 상당) 규모 기후재원 마련과 분배에 대한 세부사항, 기후 무역장벽 해소방안, 투명성 강화대책 등 4개 사안이 '이견을 좁혀야 할' 사안으로 적시된 것으로 알려졌다.
선진국이 청정에너지 전환을 위해 개발도상국에 자금을 지원하는 구체적 방안 그리고 온실가스 감축목표와 지구온도 상승을 막기 위해 필요한 감축량간 격차를 어떻게 해소할 것인지 의제도 일부 포함됐다고 G1은 전했다.
해당 초안을 확인한 환경단체 그린피스 인터내셔널의 재스퍼 인벤터는 "지금 필요한 것은 시급성을 외면한 채 지연을 부추기는 다른 옵션을 제거하는 것"이라며 긍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COP30 개최국인 브라질은 지난주 총회 초반에 공식 의제에 포함하기조차 어렵다고 여겨진 항목들을 포함한 포괄적인 형태의 합의를 먼저 이뤄내고 폐회 전 남은 문제를 마무리하는 또 다른 합의를 체결하는 단계적 패키지 처리를 제의하고 있다고 로이터는 보도했다.
브라질 정부에서 기후·에너지·환경 관련 업무를 총괄하는 안드레 코헤아 두라구 COP30 의장은 "당사국 지지를 기반으로 조기에 결론을 낼 수 있도록 (합의를) 강력히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현지에서는 브라질 지도부 뜻대로 당사국 중지를 모을 수 있을지 우려하고 있다. 최종 합의안이 나오더라도 '필요한 수준'에 미치지 못할 것이라는 목소리도 나온다.
로이터는 협상 참관단을 인용, "(초안에) 모든 민감한 쟁점을 한 방에 모아놓은 셈인데, 논의가 탄력을 받을 때마다 누군가가 다른 주제를 꺼내며 방향을 틀어버리고 있다"는 회의 분위기를 전했다.
화석연료 사용종식을 위해 활동하는 '350.org'의 안드레아스 지버는 "초안은 쓴 뒷맛을 남기는 방식으로 조리됐다"며 화석연료 전환을 핵심에 놓지 않으면 "약하고 텅 빈, 주요 재료가 빠진 요리"가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합의문 도출에 성공해도 과거에 온실가스를 가장 많이 배출한 미국의 '백안시' 여부에 따라 그 의미가 퇴색될 수도 있다. 기후위기를 '사기극'이라 규정하고 화석연료 중심의 에너지 정책을 펼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COP30에 대표단을 파견하지 않았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