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시총 1위 엔비디아가 사상 최고 실적을 갈아치웠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인공지능(AI) 선순환 구조에 진입했다"며, 미국 증시를 짓누르고 있는 '인공지능(AI) 거품론'을 잠재웠다.
엔비디아는 19일(현지시간) 자체회계 3분기(8~10월) 매출액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2% 증가한 570억1000만달러(약 83조4000억원)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특히 데이터 부문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66% 늘어난 512억달러를 기록하며 실적을 이끌었다. 이밖에도 게임 부문은 30% 늘어난 43억 달러, 전문가용 시각화 부문 7억6000만달러, 로봇공학 부문 5억9000만달러를 기록하며 고르게 성장했다.
엔비디아의 실적 상승 랠리는 첨단 AI 칩인 '블랙웰'의 높은 수요가 주도했다. 젠슨 황 CEO는 "블랙웰 판매량은 차트에 표시할 수 없을 정도로 높고, 클라우드 GPU(그래픽처리장치)는 품절 상태"라며 "우리는 AI 선순환 구조에 진입했다"고 선언했다. 이어 그는 투자자들에게 "AI 거품에 대한 논의가 많았다"면서도 "AI 생태계는 빠르게 확장돼 더 많은 스타트업, 더 많은 산업, 더 많은 국가들이 AI에 진출하고 있다"고 말하며 AI 거품론을 부정했다.
엔비디아는 이같은 매출 상승 흐름이 4분기(11~내년 1월)에도 이어져 매출액이 650억 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실적 기대감은 주가에 즉각 반영됐다. 엔비디아는 이날 정규장에서 2.85% 오른 186.52달러에 마감했고, 시간 외 거래에서는 6% 가까이 급등하며 197달러선을 넘었다.
AI 거품론에 대한 우려를 해소한 영향으로 AI 관련 주식들도 줄줄이 상승 중이다. 브로드컴은 2.4%, 마이크론 테크놀로지는 3.4%, TSMC도 3.2% 상승했다. 경쟁사인 AMD는 엔비디아 실적 발표 직후 AI칩 시장 독점 우려로 3% 가량 떨어졌지만 금새 회복해 전장 대비 3.5% 올랐다.
기술주 매수세가 유입되면서 전날 뉴욕 증시 각종 지수들도 강세로 장을 마쳤다. 다우존스 지수는 전장보다 47.03포인트(0.10%) 오른 4만6138.77,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24.84포인트(0.38%) 상승한 6642.16, 나스닥 종합지수는 131.38포인트(0.59%) 오른 2만2564.23을 기록했다.
엔비디아 실적 발표 영향은 국내 증시에도 훈풍이 불었다. 20일 오후 1시 기준 코스피 지수는 4000선을 넘어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고,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주가도 3~4% 급등세를 보이고 있다.
바이탈테크놀로지는 엔비디아의 실적 발표가 "회의론자들을 잠재우고 연말 상승 랠리로 가는 길을 열어줄 것"이라며, "AI 분야에서는 가치 평가에 잠시 숨을 돌릴 필요가 있는 부분들이 분명히 있지만, 엔비디아는 그런 부류에 속하지 않는다"고 평했다.
그러나 일부 금융 분석가들은 "이번 실적 발표가 거품에 대한 우려를 잠재우기 어려울 것"이라고 지적했다.
엔비디아가 오픈AI나 앤트로픽 등에 투자를 하고, 이들이 다시 투자받은 돈으로 엔비디아의 칩을 사들이는 소위 '순환 거래'가 늘어나고 있다는 점 때문이다. 매출의 61%가 4대 주요 고객사에서 발생해 이들 기업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는 것도 우려를 자아내는 요소다. 일부 투자자는 이들 거대 기술기업이 엔비디아 칩을 비롯한 장비의 감가상각 기간을 연장해 인위적으로 수익을 부풀리고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킹가이 챈 서밋인사이트 분석가는 "실적과 전망은 시장 예상치를 상회했지만 투자자들은 고객사의 자본 지출 증가가 얼마나 지속될 수 있는지와 AI 분야 순환 거래에 대해 계속 우려하게 될 것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