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재건 과정에 탄소시장과 기후금융을 결합하는 새로운 모델이 논의되고 있다.
20일(현지시간) 미국 싱크탱크 애틀랜틱카운슬(Atlantic Council)은 보고서를 통해 전쟁으로 파괴된 에너지 인프라를 복구하는 과정에서 우크라이나가 재생에너지 설비를 확충하거나 전력망을 고효율로 재건해 감축되는 온실가스량을 국제 탄소시장에 등록·거래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보고서는 이를 '연대 크레딧(solidarity credits)'이라고 부르며 "전쟁 복구 과정에서 기후금융이 핵심 재원으로 활용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보고서는 파리기후변화협정 6조에 근거해 이같은 방식으로 기후금융을 활용할 수 있다고 짚었다. 6조는 국가간 감축 실적을 탄소크레딧 형태로 거래할 수 있도록 하는 국제 탄소시장 규칙으로, 우크라이나의 감축량을 공식 크레딧으로 발행해 민간자본을 유치하는 데 필요한 법적 틀을 제공한다.
보고서에 따르면 우크라이나의 연간 재건 비용은 약 350억 달러로 추산되며, 이 중 재생에너지 확대와 전력망 복원 등 에너지 인프라 분야만 최소 110억달러가 필요하다. 보고서는 "전력 인프라는 직접적인 공격을 받아 큰 피해를 입은 만큼, 복구과정 자체가 에너지 전환의 기회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대 크레딧' 모델은 우크라이나가 복구 과정에서 달성한 감축실적을 탄소크레딧으로 발행해 국제시장에서 판매하고, 이를 재건 재원으로 활용하는 구조다. 보고서는 이 모델이 실제 적용될 경우 전쟁·재난 국가 복구에 기후금융을 직접 투입하는 첫 사례가 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애틀랜틱카운슬은 "기후, 안보, 재건은 서로 연결된 과제"라며 "우크라이나는 기후금융·탄소시장·ODA·민간투자가 결합한 새로운 복구 모델을 시험하는 장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향후 이 모델이 국제기구나 기후금융 체계에 공식 편입될지, 그리고 파리협정 6조 규칙에 어떻게 반영될지가 주요 관전 포인트다.
이 보고서는 미국 싱크탱크 '애틀랜틱카운슬' 웹사이트에 공개돼 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