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 탄소포집·저장(CCUS) 기술은 적절한 모니터링과 검증없이 성급히 도입하기에는 위험성이 크다는 경고가 나왔다.
20일(현지시간) 유럽 해양위원회 전문가들은 브라질 벨렝에서 열리고 있는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에서 이같은 내용의 보고서를 발표하며 배출량 감축이 최우선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바다가 탄소 흡수에 핵심이 되는 것은 맞지만, 인위적으로 바다에 탄소를 저장하는 기술은 안정성과 환경 영향성이 검증되지 않아 현재로선 상용화가 어렵다고 입을 모았다. 해양 탄소저장 성능을 표방하는 기술들이 우후죽순 개발되고 있지만, 이 기술들이 대규모 확장됐을 때 의도대로 작동하며 새로운 환경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는 보장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해양 CCUS 기술은 해양이 자연적으로 탄소를 흡수하는 능력에 의존한다. 크게 맹그로브숲 등 탄소 흡수력이 뛰어난 해안 생태계를 복원·보호하거나, 플랑크톤 혹은 해조류의 성장을 촉진시켜 탄소 포집을 유도하는 방안 등이 있다. 바닷물에서 탄소를 직접 추출해 해저 퇴적물이나 인공 저장소에 격리하는 방안도 있다.
현재 다양한 해양 탄소 제거 기법이 시험되고 있지만, 대부분 초기 개발 단계에 머물러 있다. 문제는 이 방법들이 실제로 얼마나 잘 작동하는지 판단하는 일이다.
연구를 주도한 헬렌 무리 노르웨이 과학기술대학(NTNU) 선임연구원은 "기업이 자사 기술의 탄소제거량을 어떻게 증명할지, 심해에 저장된 탄소는 얼마나 유지될지, 수많은 국제기관·조약·의정서가 산재한 상황에서 어떤 기관이 감독을 책임져야 하며, 어떻게 검증해야 할지 수많은 과제가 산적해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바다는 육지와 달리 매우 유동적인 환경이어서, 바다에 저장된 탄소는 추적과 관리가 훨씬 더 어려워진다고 짚었다.
그럼에도 CCUS 기술 자체는 필요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전세계 각국이 내세운 2050년 넷제로 목표를 달성하고 지구 기온을 1.5°C로 제한하려면, 이미 배출된 탄소를 제거하고 제거 불가능한 잔류 배출을 상쇄해야 하기 때문이다. 또 화석연료를 모두 재생에너지로 전환해도 항공, 해운 등 일부 산업은 완전한 탄소중립이 불가능하다. 국제기후연구센터(CICERO)에 따르면 2024년 전세계 이산화탄소 배출량만 해도 42.4기가톤이었다. 2018년 나온 IPCC 보고서에서도 CCUS의 필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
전문가들은 우선 배출되는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데 집중하고, 나중에 해양 CCUS 기술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았다. 또 빠르게 성장 중인 해양 CCUS를 대상으로 엄격한 모니터링 및 검증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무리 연구원은 "신용 시스템도 투명하게 보장되고, 환경 영향에 대한 보고도 철저히 이뤄져야 한다"며 "탄소 격리 경로나 저장량, 저장 기간 중 어느 하나라도 확인할 수 없는 기술은 상용화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해양 CCUS가 '만능 해결사'는 아니라고 강조하며 "해양은 기후해결 방안 중 하나가 될 수 있지만, 규모를 확장하려면 과학적 기준을 확립해야 한다"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